[국내논문]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원문보기
본 논문은 1992년도부터 2013년까지 대한수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한 두 학술지에 실린 논문 중 수학 교사교육 관련 논문 111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측면에서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시기 측면에서는 2000년대 후반 이후로 관련 논문의 편수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전체 논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최근에는 교사 지식이나 지향과 관련된 논문도 비중있게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 중 특히 사례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비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한다.
본 논문은 1992년도부터 2013년까지 대한수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한 두 학술지에 실린 논문 중 수학 교사교육 관련 논문 111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측면에서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시기 측면에서는 2000년대 후반 이후로 관련 논문의 편수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전체 논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최근에는 교사 지식이나 지향과 관련된 논문도 비중있게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 중 특히 사례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비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timings, topics, methods, and subjec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1 articles dealing wit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ublished since 1992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timings, topics, methods, and subjec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1 articles dealing wit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ublished since 1992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such articles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has been the most frequent topic but the studies dealing with teacher knowledge or orientation tend to be popula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pecifically case study, has been most frequently employed in studying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for research included a similar portion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Given these results, this paper closes with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timings, topics, methods, and subjec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1 articles dealing wit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ublished since 1992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such articles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has been the most frequent topic but the studies dealing with teacher knowledge or orientation tend to be popula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pecifically case study, has been most frequently employed in studying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for research included a similar portion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Given these results, this paper closes with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구체적으로, 1992년부터 2013년도까지 대한수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한 와 에 발표된 논문들 중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고 추후 발전적인 연구 방향에 대해 담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배경을 토대로 본 논문은 수학교육에서 교사교육에 대한 시대적 관심과 요구에 부응하여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1992년부터 2013년도까지 대한수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한 <수학교육학연구>와 <학교수학>에 발표된 논문들 중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고 추후 발전적인 연구 방향에 대해 담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크게 수학교육 관련 동향 연구와 교사교육 관련 동향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에 본 장에서는 이 두 가지 동향 연구를 고찰하면서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기본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편, 국내 초등 수학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로는 권정은과 최재호(2008)의 연구와 하수현, 방정숙, 주미경(2010)의 연구가 있는데, 공통적으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수학과 내용영역을 분류기준으로 하였다. 특히 연구주제 중 교사교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하위요소를 교사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연구,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한 연구, 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연구, 교사교육의 개혁에 대한 연구로 하였다. 이러한 교사교육에 대한 분류 기준은 비교적 최근 경향을 반영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성격에 맞게 수정ㆍ보완하면서 하위요소들을 세분화하였다.
본 논문은 학술지 와 에 1992년부터 2013년까지 실린 전체 논문중 수학 교사교육과 관련된 11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에 따라 분석하여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한 것이다.
제안 방법
특히 연구주제 중 교사교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하위요소를 교사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연구,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한 연구, 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연구, 교사교육의 개혁에 대한 연구로 하였다. 이러한 교사교육에 대한 분류 기준은 비교적 최근 경향을 반영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성격에 맞게 수정ㆍ보완하면서 하위요소들을 세분화하였다.
교사교육 관련 동향연구는 본 연구의 목적상 수학 교사교육과 관련된 연구와 기타 교사교육관련 동향 연구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수학교사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송근영과 방정숙 (2013)의 연구가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12년까지 수학과 교사지식에 초점을 둔 7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교사지식의 개념, 연구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수학과 내용영역별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중 교사지식과 관련된 연구주제는 교사지식에 관한 일반연구, 교사지식의 실태, 교사지식과 관행과의 관계, 교사지식의 변화와 발달, 교사지식의 측정과 평가, 기타로 구분하고 하위요소 별로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의 주제들을 일단 ‘교사의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로 통합하여 분류하고, 하위기준을 설정하기로 하였다.
또한 최근 수학교육 동향연구에서 연구대상을 분석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총 4가지 분석기준을 활용하였다.
그 중 ‘교사교육’과 관련된 논문을 선별하기 위하여, 학회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논문의 제목과 키워드 및 초록에서‘교사교육’, ‘교사 전문성’, ‘교사지식’, ‘교사신념’, ‘교사인식’의 내용이 포함된 논문들을 찾은 뒤 분석 대상 목록을 작성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을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분석대상 논문들로 예비 분석을 거쳐 여러 차례 수정ㆍ보완한 뒤 최종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을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분석대상 논문들로 예비 분석을 거쳐 여러 차례 수정ㆍ보완한 뒤 최종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각 기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학교육학연구>가 처음 발간된 1992년부터 2013년까지 총 22년간의 연구시기를 1년 단위로 분류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이후 연구시기에 따른 연구주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연구 시기를 5년 단위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학교육학연구>가 처음 발간된 1992년부터 2013년까지 총 22년간의 연구시기를 1년 단위로 분류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이후 연구시기에 따른 연구주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연구 시기를 5년 단위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지식 관련 연구는 ‘일반연구’, ‘실태 연구’, ‘교사지식과 수업과의 관계’ 연구로 구분하였다.
둘째, 교사지향 관련 연구는 교사지식과 동등한 수준의 개념으로 교사지식의 하위기준과 대등하게 분류하여 크게 ‘일반연구’, ‘실태연구’, ‘교사지향과 수업과의 관계연구’로 나누었다.
이에 우선 ‘수학내용 지식 관련 실태연구’와 ‘교수학적 지식 관련 실태연구’로 분류하였다.
세부기준은 ‘수업연구 방법 관련 연구’(수업 분석을 위한 구체적 방법 제안)와 ‘수업개선을 위한 관행 관련 연구’(현직교사의 수업 개선을 목표로 교사의 실제 수업을 관행, 규범, 교실문화 등의 관점으로 분석)로 설정하였다.
‘교사’의 하위기준은 ‘경력’, ‘학교급’, ‘국적’, ‘대상특수성’ 총 4가지로 세분하였으며, 이중 ‘대상특수성’은 연구대상인 교사가 일반학급 담임교사인 경우와 그 외(영재학급교사나 다문화학급교사 등)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수학 교사교육과 관련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대상은 과 같이 ‘교사’와 교사가 아닌 경우 ‘기타’로 나누었다.
기본적으로 앞서 제시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별로 마련된 각각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대상 논문이 해당되는 범주에 1회씩 표시하고, 그 빈도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구하여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 때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의 경우, 연구 주제와 결과 및 논의가 다소 다중적인 경우가 있었는데, 논문에서 중심이 되는 연구목적과 내용을 기반으로 논문의 해당 범주와 요소를 판단하였다.
한편 단일 분석기준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논문도 있었는데, 이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해당되는 하위요소와 세부요소를 둘로 나누어 각 0.5회로 빈도를 표시하였다. 예를 들어, 교사지식 관련 연구 중 Ball 외(2008)가 제시한 MKT 개념을 이용하여 교사지식의 실태를 파악한 연구의 경우, MKT라는 개념이 SMK와 PCK 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관련 연구에 대한 분류는 수학 내용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기준에 각각 0.
대상 데이터
학술지가 창간된 1992년부터 2013년 12월까지 수록된 총 1,141편 중 ‘교사교육’과 관련된 주제에 해당하는 논문 111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에서 54편, 에서 57편의 교사교육 관련 논문들을 선정하였다.
1992년부터 2013년도까지 22년의 기간을 1년 단위로 나누어, 해마다 게재된 수학 교사교육 관련 논문 빈도를 살펴본 결과는 과 같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한수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인 와 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론/모형
이 연구에서는 연구분야와 내용의 분류기준으로 국제수학교육심리학회(PME)의 기준을 활용하였는데, 그 기준에는 ‘교사교육’과 ‘교사지식·사고ㆍ 신념’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기준은 최근 국내 수학교육 연구들을 연구방법에 따라 분류한 송상헌, 방정숙, 임재훈, 강옥기, 강현영, 권나영 외(2013) 의 ‘수학교육학 연구 방법’ 틀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성능/효과
첫째, 교사지식 관련 연구의 경우 교사지식에 대한 실태연구가 25.6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9개의 하위기준 중에서도 가장 높다. 교사지식에 대한 실태 연구는 주로 교사의 수학내용 지식 관련 실태연구(13.
둘째, 교사지향 관련 연구에서도 교사지향에 대한 실태연구(11.71%)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중 수학 교수와 학습에 대한 지향 관련 실태연구(10.36%)가 대부분이었다. 반면 학생에 대한 지향 관련 실태연구는 0.
마지막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는 교사지식/지향 신장 관련 연구가 22.9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는 전체 하위기준 중 두 번째로 높다. 주목할 점은 교사지식에 대한 실태연구에서 수학내용 지식 관련 연구(13.
둘째, 양적연구에서는 ‘조사연구(16.22%)’가 ‘실험연구(9.91%)’ 보다 많이 사용되었으나, 두 가지 연구 방법 모두 ‘교사지식 실태연구’, ‘교사 지향 일반연구’, ‘교사지향 실태연구’, ‘교사지식/지향 신장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를 다시 연구주제별 하위기준으로 비교해 보면 ‘교사지식에 대한 실태연구’와‘교사지식/지향 신장에 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후속연구
그러나 교사의 수업관행은 궁극적으로 학생의 학습과 연결되어야 하므로(Hill, Rowan, & Ball, 2005), 추후 교사 지식과 학생의 학습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교사지향 관련 연구’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추후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이와 같이 기존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한 연구대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대상특수성에 따라 살펴보면, 주로 일반학급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드물게 영재학급과 다문화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영재학급이나 다문화학급, 또는 통합학급과 같이 특정한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사지식, 교사지향, 또는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반영하기 때문에 추후 연구 대상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에서 교수학적 지식/지향 신장 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수학 내용 지식/지향 신장 관련 연구도 필요하다. 교사지식 관련 연구에서는 수학내용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관련 실태연구가 어느 정도 대등하게 진행된 반면에, 교사지향 관련 연구에서는 수학교수ㆍ학습에 대한 지향에 치중되어 있고, 전문성 신장에 대한 연구에서도 교수학적 지식/지향에 관련된 연구로 치중되어 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수학 교사교육 연구에서 사례연구, 조사연구, 문헌의 비평ㆍ종합ㆍ검토 연구, 양적·질적 혼합 연구 등이 주로 활용되었는데, 이와 더불어 개발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와 관련하여 Borko(2004)는 교사들 간의 학습공동체 구성이 교사의 수업 관행과 지향의 변화를 가져오는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하였는데, 최근 국내 연구에서도 수석 교사를 활용한 컨설팅이나 교사와 교사교육자 간의 협력적 연계를 통하여 수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보고되고 있다(김상화, 2013;나귀수, 2010). 학습공동체나 수업컨설팅에 대한 연구는 교사의 고착화된 수업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활발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섯째, 보다 다양한 연구방법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수학 교사교육 연구에서 사례연구, 조사연구, 문헌의 비평ㆍ종합ㆍ검토 연구, 양적·질적 혼합 연구 등이 주로 활용되었는데, 이와 더불어 개발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기존의 연구에서 개발 연구의 비중이 낮은 이유 중의 하나는 국내의 수학 교사교육 연구가 여러 가지 분석ㆍ평가ㆍ측정틀, 모형 등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기보다는 기존에 개발된 모형이나 분석틀 등을 연구 실정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활용하는 경향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 고유의 수업 문화를 반영한 독자적인 수업분석틀이나 교사 지식의 분석틀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감안할 때 (김동원, 2010; 송근영, 방정숙, 2013), 향후 개발 연구의 비중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의 의미 있는 수학 학습과 연계되는 핵심 요소 중의 하나는?
학생들의 의미 있는 수학 학습과 연계되는 핵심 요소들 중의 하나는 바로 그 수학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이다. 이에 최근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거나 수학과 수업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교사 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지난 10년 남짓 수학과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있지만, 그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지난 10년 남짓 수학과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예를 들어, 김상룡(2003)은 수학 교사교육의 개혁에 대해 연구했으나, 이는 1960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수학교육의 방향을 소개하고 이에 비추어 국내 수학 교사교육의 전반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국내 수학 교사 교육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것은 아니다.
최근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거나 수학과 수업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교사 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배경은?
학생들의 의미 있는 수학 학습과 연계되는 핵심 요소들 중의 하나는 바로 그 수학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이다. 이에 최근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거나 수학과 수업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교사 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