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지역 대학생의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조사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7, 2014년, pp.1122 - 1131  

이경아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및 평소 음식 간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대학 급식소 음식에 대한 간 평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차후 대학 급식소의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는 보통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48.8%로 가장 많았고 짜게 먹는 편이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29.5%이었다. 대학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간에 대해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짜다고 응답한 비율은 42.5%인데 비해 싱겁다고 응답한 비율은 6.8%에 불과하였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의 전체 평균점수는 3.04/5.00점이었으며 남학생(3.09)과 여학생(2.99)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학생에서 21세 이하(3.16)군과 22~23세(3.00)군이 24세 이상(2.93)군보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 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높아 연령이 낮을수록 '짠맛'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급식소 음식 간 평가에 따른 차이에서 급식소의 음식에 대해 '짜다'고 느끼는 군(2.84)이 '싱겁다'(3.18)와 '보통이다'(3.18)고 느끼는 군들에 비해 짠맛 선호도 점수가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는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 달 용돈이 30만원 이상군이 30만원 미만군보다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짠맛 선호도에 따른 차이에서 싱거운 맛을 선호하는 군이 '보통 맛'과 '짠맛'을 선호하는 군에 비해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가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급식소 이용 빈도별 차이에서 급식소를 주 5회 이상 이용하는 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가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급식소 음식 간 평가별 차이에서 급식소의 음식에 대해 '짜다'고 느끼는 군이 '싱겁다'와 '보통이다'고 느끼는 군들에 비해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가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에 대한 15가지 항목의 전체평균 점수는 2.87/5.00점이며, 3.00점 이상의 높은 평가 점수를 나타낸 항목은 '외식을 하거나 배달을 자주 시켜 먹는다', '김치류를 많이 먹는 편이다', '된장국, 찌개, 전골, 탕 등의 메뉴를 자주 먹는다', '라면을 자주 먹는다'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햄, 소시지, 스팸 등 가공식품을 자주 먹는다'(P<0.05), '음식이나 국이 싱거우면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는다'(P<0.01),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다 먹는 편이다'(P<0.01), '된장국, 찌개, 전골, 탕 등의 메뉴를 자주 먹는다'(P<0.01)의 4개 항목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외식을 하거나 배달을 자주 시켜 먹는다' 1개 항목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P<0.01)으로 점수가 높았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차이에서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다 먹는 편이다'와 '된장국, 찌개, 전골, 탕 등의 메뉴를 자주 먹는다'의 2개 항목에서 과체중 이상군이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보다 유의적(P<0.01)으로 점수가 높았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에 따른 소금섭취 식행동 평가 점수는 '술안주로 맵고 짠 음식을 좋아한다'는 항목에서는 '싱거운 맛'과 '보통 맛'을 선호하는 군이 '짠맛'을 선호하는 군에 비해 유의적(P<0.001)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모든 항목에서는 '싱거운 맛'을 선호하는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대학교 급식소 이용 빈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lf-assessed preferences for saltiness as well as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buk-do. Data were collected from subjects, including 175 male and 225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self-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및 평소 음식 간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대학 급식소 음식에 대한 간 평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차후 대학 급식소의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는 보통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48.
  • 따라서 대학생들의 소금섭취 식행동과 염분 선호도를 파악하여 짠맛에 대한 역치를 낮출 수 있도록 싱겁게 먹는 방법에 대한 영양교육이 시급하다(19).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및 평소 음식 간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대학 급식소 음식에 대한 간 평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차후 대학 급식소의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HM. 2006. Nutrition. 3th ed. Kyomunsa Co., Seoul, Korea. p 316-320. 

  2. Blackwood AM, Sagnella GA, Cook DG, Cappuccio FP. 2001. Urinary calcium excretion,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in multiethnic population: results of the Wandsworth Heart and Stroke study. J Hum Hypertens 15: 229-237. 

  3. Takeda Y, Yoneda T, Demura M, Furukawa K, Miyamori I, Mabuchi H. 2001. Effects of high sodium intake on cardiovascular aldosterone synthesis in st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Hypertens 19: 635-639. 

  4.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NS Publ., Seoul, Korea. p 1. 

  5.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2013.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46: 72-85. 

  6. Yon MY, Lee YN, Kim DH, Lee JY, Koh EM, Nam EJ, Shin HH,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CI. 2011.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6: 473-487. 

  7.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2008.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3: 1-12. 

  8. Jang HB, Lee HY, Han YH, Song JH, Kim KN, Hyun TS. 2011. Chang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s students between 1999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6: 324-336. 

  9. Chung EJ, Shim E. 2008.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78-588. 

  10. Kim BR. 2006.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health-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15-1223. 

  11. Yu JY, Ro HK. 2009. Gender differences in obesity rates,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846-855. 

  12. Bae YJ, Lee JC, Kim MH. 2007.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Samcheok. J Korean Diet Assoc 13: 311-330. 

  13. Kwon SJ, Kang JH, Kim NJ, Kim RJ, Kim SY, Kim SI, Han GS. 2012.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behaviors with smoking, drinking situation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J Dental Hygiene Sci 12: 145-153. 

  14. Lee KA, Cho EJ, Yoon HS. 2010. A study o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 of university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Changwon and Masan area. J Korean Diet Assoc 16: 279-290. 

  15. Hwang JH, Lee HM. 2007. A study on lifestyl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Korean J Community Nutr 12: 381-395. 

  16.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 181-191. 

  17. Beauchamp GT, Bertino M, Maller O. 1982. Sodium regulation: sensory aspects. J Am Diet Assoc 80: 40-45. 

  18. Chang SO. 2010. Effect of a 6-month low sodium diet on the salt taste perception and pleasantness, blood pressure and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43: 433-442. 

  19. Shin EK, Lee HJ, Ahn MY, Lee YK. 2008.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alty taste assessment tool. Korean J Nutr 41: 184-191. 

  20. Kim HH, Jung YY, Lee YK. 2012. A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s and dietary behaviors associated with high-salt diets in four region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 38-48. 

  21. Kim MK, Han JI, Chung YJ. 2011.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alty food intake of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according to saline sensitivity. Korean J Nutr 44: 537-550. 

  22. Min KH. 2013.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healthy eating behavior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Jeonbuk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399-406. 

  23. Lee KA, Lyu ES. 2010.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and customer loyalty of university students Busan. Korean Food Cookery Sci 26: 413-421. 

  24. Han MJ, Yoon YJ, Kim NY, Yoo YH. 2004. Satisfaction of meal and service quality in university foodservice institu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545-552. 

  25. Kim SJ, Cho MH, Lee KH. 2009.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alinities of soups preferred by customers and provided at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444-450. 

  26. Kim SH, Hur YK, Choi JK. 2005.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ucrose, NaCl,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young Koreans and the influence of sex, taste preference, and smoking. Korean J Oral Med 30: 149-162. 

  27. Kim SH, Jang SY, Choi JK. 2003. Taste preference and whole-mouth taste threshold in a Korean population in the age of the 3rd decade. Korean J Oral Med 28: 413-426. 

  28. Choi BS, Kim EJ, Park YS. 1997. Study on sodium intake and preference for salty taste in college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54-160. 

  29. Kim JH, Choi MK. 2007. Salt intake behavior and blood pressure: the effect of taste sensitivity and preference. Korean J Human Ecology 16: 837-848. 

  30. Chang SO. 2006. The amount of sodium in the processed foods, the use of sodium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 and the acceptance of sodium reduced ramen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39: 585-59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