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접객업소 종사자들의 식품안전관리 인식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서울시 식품 접객업소 사업주 및 종사자들 535명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10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응답자 및 업체의 일반사항, 기후변화와 식품위생관리에 관한 인식, 식품위생관리 기준 중요도 및 수행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 조사에서 절반 이상인 277명(52.2%)이 '기후변화를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는 39명(7.3%)이었다. 기후변화가 식품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459명(86.6%)의 응답자들이 '기후변화가 식품안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위생관리 기준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74^{\circ}C$에서 1분 이상 식품을 완전히 익혀서 제공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접객업소의 식품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자 역할을 조사한 결과, 위생 관리 지침과 자체적 환경 정화 및 방역 수준은 높은 반면, 소비자 대상 정보 제공은 낮은 수준이었다. 응답자들 중에서 기후변화 대응 식품안전 관리 지침을 본적이 있는 경우가 163명(32.5%)이었으나 '본 적 없음'과 '모름'으로 응답한 비율이 각각 237명(47.2%), 101명(20.1%)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접객업소 종사자들은 기후 변화 및 식품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잘 인식하고 있지만, 위생 교육과 식품안전 관리 지침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위생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employees in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concerning climate change, food safety against climate change and performance of food safety management.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535 respondents from June 10~13, 2013. Exactly 52.2% of respondents answered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식품접객업소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등에 관한 연구 결과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접객업소 종사자의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시 식품접객업소 사업주 및 종사자 535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식품위생관리에 대한 인식, 식품위생관리 기준 중요도 및 수행도에 관한 인식, 기후변화대응 식품안전 관리 지침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접객업소의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관련 기준 및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접객업소 종사자들의 식품안전관리 인식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서울시 식품접객업소 사업주 및 종사자들 535명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10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아열대 기후 변화는 어떠한가? 74℃가 상승하였으며, 겨울은 짧아지고 여름은 길어지고 있으며, 한국 근해의 해수면도 매년 1∼2 mm 씩 상승하는 것이 관측되었다(Climate change information portal 2014). 또한 20세기 우리나라의 아열대 기후는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만 포함되어 있었지만, 2100년에는 아열대 기후가 북상 하여 서울을 포함한 모든 지역이 아열대 기후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Kwon YA et al 2007). 이처럼 기온이 상승 하는 아열대 기후로의 변화는 생산할 수 있는 작물의 종류 및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며, 식품 및 환경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곰팡이 등의 출현 및 증식을 촉진하여 관련 식품으로 인한 식중독을 증가시킬 수 있다(Tirado MC et al 2010, Choi SY et al 2012).
지구온난화에 의한 표면 온도 상승은 어떠한가? 지구온난화에 의해 지난 100년 동안 지구 표면 온도는 0.74℃가 상승하였으며, 겨울은 짧아지고 여름은 길어지고 있으며, 한국 근해의 해수면도 매년 1∼2 mm 씩 상승하는 것이 관측되었다(Climate change information portal 2014). 또한 20세기 우리나라의 아열대 기후는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만 포함되어 있었지만, 2100년에는 아열대 기후가 북상 하여 서울을 포함한 모든 지역이 아열대 기후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Kwon YA et al 2007).
아열대 기후로 변화는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는가? 또한 20세기 우리나라의 아열대 기후는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만 포함되어 있었지만, 2100년에는 아열대 기후가 북상 하여 서울을 포함한 모든 지역이 아열대 기후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Kwon YA et al 2007). 이처럼 기온이 상승 하는 아열대 기후로의 변화는 생산할 수 있는 작물의 종류 및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며, 식품 및 환경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곰팡이 등의 출현 및 증식을 촉진하여 관련 식품으로 인한 식중독을 증가시킬 수 있다(Tirado MC et al 2010, Choi SY et al 2012). 또한, 이러한 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는 식품의 생산, 유통, 제조, 가공 및 조리 각 단계에서 직․간접적으로 식중독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여러 요인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식품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Woo BR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won YA, Kwon WT, Boo KO, Choi YE (2007) Future projections on subtropical climate regions over South Korea using SRES A1B data. J Korean Geogr Soc 42: 355-367. 

  2. Bae HJ, Lee HY, Ryu K (2009) Field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83-296. 

  3. Choi SY, Jeong SH, Jeong MS, Park KH, Jeong YG, Cho JL, Lee SH, Hwang IG, Bahk GJ, Oh DH, Chun HS, Ha SD (2012) A monitoring for the management of microbiological hazard in rice-cake by climate change. J Food Hyg Safety 27: 301-305. 

  4. Chong YK, Kwak TK (2000) Perceive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for school food service manag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5: 100-108. 

  5. Climate Change Information Portal (2014) www.gihoo.or.kr, Accessed 13, January 

  6. Hong WS, Yim JM, Choi YS (2010) The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252-262. 

  7. Jang MH, Kang KO (2011) Status of sanitary education and recogni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cooking operation related to sanitation for cooks in a super deluxe hote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746-755. 

  8. Jung HA, Kim AN, Joo NM, Paik JE (2011)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facilities in Gyeongbuk pro 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385-391. 

  9. Lee KH, Lyu ES, Lee KY (2001) A study on the sanitary status at various types of restaurants in Changwon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47-759. 

  10. Lee HY, Chang HW, Bae HJ (2011)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performed by school food service work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1-11. 

  11. Lee YS, Lee SH, Ryu K, Kim YS, Kim HL, Choi HC, Jeon DH, Lee YJ, Ha SD (2007) Survey on practical use of sanitizer and disinfectant on food utensils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J Food Hyg Safety 22: 338-345.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www.mfda.go.kr Accessed 16, January.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www.mfda.go.kr. Accessed 13, January. 

  14. Park SH, Lim YH (2005)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jeon and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10: 234-242. 

  15. Shin DH, Sho GS, Kim HE, Kim YS (2007) 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with step-by-step working process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Food Hyg Safety 22: 165-172. 

  16. Sho GS, Kim YS, Shin DH (2007) 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Food Hyg Safety 22: 63-75. 

  17. Tirado MC, Clarke R, Jaykur LA, McQuatters-Gollop A, Frank JM (2010) Climate change and food safety: A review. Food Res Int 43: 1745-1765. 

  18. Woo BR, Cha MH, Lee SY, Chung MS, Kim KH, Ko SI, Ryu K (2011) Analysis of food safety guidelines against climate. Safe Food 6: 31-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