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수준 대비 산재사망지수 비교를 통한 건설분야 산업재해 분석 및 저감대책
A Comparison of Income Level and Work-Related Fatalities for Finding Causes and Measures for Construction Sector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4, 2014년, pp.3 - 10  

이규진 (한경대학교 토목안전환경공학과)

초록

소득수준이 높으면 이와 함께 사회 경제 문화적 기대수준도 함께 향상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산업안전에 대한 기대수준도 함께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소득수준은 그동안 많이 향상되었으나, 산재사망률은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산재사망이 지난 10여년간 전혀 줄어들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소득수준 대비 산재사망률을 관련 국가들과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분석하여 근로자 중심의 산재예방 대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소득반영 산재사망지수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국가 중에 그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산업재해에 대한 법집행실적에 대한 비교를 한 결과 위반 사업주에 대한 법집행에 중점을 두는 영국의 경우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법집행 실적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나 건설공사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향후 법집행 강화의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income level of a country gets improved, people'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expectation will grow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 income level of Korea has been remarkably improved, her work-related fatality rate is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Moreover, the rate hasn't been reduc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통계자료 등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소득수준 대비 산재사망률을 관련 국가들과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분석하여 근로자 중심의 산재예방 대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업재해예방 정책의 방향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난 10년간의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발간된 “산업재해현황분석”과 영국 HSE (Health and Safety Executive) 등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사고발생과 규정미준수 등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업재해예방 정책의 방향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난 10년간의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발간된 “산업재해현황분석”과 영국 HSE (Health and Safety Executive) 등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사고발생과 규정미준수 등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산업안전보건동향보고와 산업재해현황분석보고 등을 통해 건설업분야 안전시설 등 관련규정준수여부와 법집행수준 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산재예방을 위한 향후 정책의 방향을 제시한다.
  • 영국의 법 집행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영국 HSE에서 발표된 2011/12년도 Annual Statistics Report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Fig.
  • 우리나라의 산재사망률이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심각하게 높은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산재사망률이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영국과 우리나라의 현황 및 정책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업 분야에서 실효성 있는 산재예방 대책을 제안하기 위해 산재통계를 중심으로 소득과 산업재해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OECD국가에 비해 소득수준 대비 산재사망률이 매우 높다. 이는 사회 정책적 측면에서 야기되는 문제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산업재해율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영국과의 비교를 통하여 원인을 도출하고 대책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우리나라의 구매력 기준(Purchasing Power Parity) 일인당 GDP는 어떠한가? 소득수준이 높으면 이와 함께 사회·경제·문화적 기대 수준도 함께 향상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산업안전에 대한 기대수준도 함께 높아질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의하면 2011년 우리나라의 구매력 기준(Purchasing Power Parity) 일인당 GDP는 $31,753로 185개국 중 27위이며 선진 34개국 중 22위이다. 이는 EU 평균 $31,673과 유사한 수준으로 스페인 $30,478, 이탈리아 $30,464보다 높으며, 영국($35,974)이나 일본($34,362)과도 큰 차이가 없다.
우리나라의 소득수준 대비 산재사망률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소득수준 대비 산재사망률을 관련 국가들과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분석하여 근로자 중심의 산재예방 대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소득반영 산재사망지수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국가 중에 그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산업재해에 대한 법집행실적에 대한 비교를 한 결과 위반 사업주에 대한 법집행에 중점을 두는 영국의 경우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법집행 실적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나 건설공사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향후 법집행 강화의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이나 스위스의 산재사망률은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어떠한가? 이는 EU 평균 $31,673과 유사한 수준으로 스페인 $30,478, 이탈리아 $30,464보다 높으며, 영국($35,974)이나 일본($34,362)과도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재사망률은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9). 영국이나 스위스의 산재사망률은 각각 우리의 1/10 이하 수준에 불과하며, 심지어는 구매력 기준 일인당 GDP가 우리나라의 절반수준에도 못 미치는 멕시코조차도 산재사망률이 우리의 절반이하 수준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수준이 소득 수준에 비해 매우 심각한 수준임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ua, D. K. H. and Goh, Y. M. (2005). "Poisson Model of Construction Incident Occurren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1(6), pp. 715-722. 

  2.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11/2012). Construction - Work related injuries and ill health, p. 12. (2013.07.11) 

  3.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11/2012). Health and Safety Executive Annual Statistics Report, pp. 10-12. 

  4.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1).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2013.07.11) 

  5.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02-2011),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2013.07.11) 

  6. Oh, S. C. (2011).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labor productivity,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p. 5. 

  7. Cho, H. H. (2009). A study on criminal punishment system and penalty case of foreign country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p. iv. 

  8. Kim, S. K. (2009). A comparative study on occupational accidents and socio-economic index variations of OECD countrie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p. 151. 

  9. Park, C. S., Son, C. B. and Hong, S. H. (2000). "An Improvement Strategy of Construction Safety Performance Considering Safety Level of Construction Firm,"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2), pp. 81-88. 

  10. Sin, D. P. and Lee, D. E. (2013). "The structural analysis between safety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construction workers' behavior,"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1), pp. 101-114. 

  11. Yi, K. J. and Langford, D. (2006), "Scheduling-Based Risk Estimation and Safety Planning,"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2(6), pp. 626-6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