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주간의 음악 줄넘기 운동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혈청 Adiponectin 농도와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week Music Rope Skipping Exercise on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Abdominal Fat in Obese Boys Student in Present Middle Schoo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7, 2014년, pp.4432 - 4438  

이혜진 (원광대학교 사회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소년층의 비만 증가 추세에 심각성을 고려하여 학생 체육의 활성화를 높이기 위해 음악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비만지표로 활용하는 adiponectin과 복부 지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남자 중학생 14세~16세 중 건강체력평가에서 기초 체력이 부족한 체력 미달로 판정받고 BMI $25kg/m^2$이상인(실험군 11명, 통제군 12명) 23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음악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별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 실시 전과 12주후 adiponectin과 복부 지방을 측정하여 개선정도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체조성의 변화로 BMI가 감소하였으며 음의 상관으로 adiponectin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복부 내장지방, 복부 피하지방, 복부 총지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청소년에서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 실시는 체질량지수 감소가 동반될 때 adiponectin 증가의 개선을 보이고 복부 지방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programs for addressing the growing problem of adolescent obesity by considering the effects of a music rope skipping-based exercise program to increase the student athletic ability on obesity, adiponectin and abdominal fat. The subjects were 23 male midd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처치유형 및 처치기간에 따라 12주간에 음악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혈청 adiponectin과 복부 총지방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또한 adiponectin 농도는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중감소와 체지방 감소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나타난다고 하였다[8,9]. 이에 본 연구는 비만 청소년의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음악 줄넘기로 실시하여 비만지표인 adiponectin과 복부지방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학교체육의 활성화를 위한 여건 마련 및 생활․평생체육으로서의 연계적 추진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체육을 통한 운동처방이 절실한 청소년들에게 줄넘기는 어떤 운동인가? 비만 청소년들의 운동방법은 아주 한정되어 있어 학교체육 시간외에 따로 운동계획을 세운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따라서 학교체육을 통한 운동처방이 절실한 청소년들에게 줄넘기는 심폐기능도 강화되며 전신의 근육이 고루 사용되는 전신운동 중 하나이다. 음악줄넘기는 일반줄넘기보다 30%가량 운동량이 증가되는데 이는 음악과 리듬에 맞춰 스텝을 구사하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가 청소년기의 과체중으로 인한 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 이유는? 청소년 비만의 경우 결코 단기적인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질병이 아니며, 청소년기의 과체중으로 인한 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될 것이라고 세계보건기구는 확신하였다. 그 이유는 소아 비만의 60~85%가 성인기의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이행될 뿐만 아니라, 수십 년 간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오다가 40~50세에 악화되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보고 하였다[1].
청소년기란? 청소년기는 12세~18세 사이로서 제 2의 성장과 더불어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이다. 급성장이 이루어지는 여아의 경우 10~12세에 남아의 경우 13~15세 때는 에너지 대사율이 높아 비만 비율이 낮은 반면, 성장이 끝난 후에는 고 열량식을 하게 되어 비만이 되기 쉽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Ross, R. M.,. & Janssen, I. Physical activity, total and regional obesity: dose-response considerations. Med Sci Sports Exerc, Vol. 33, pp. 521-529,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5768-200106001-00023 

  2. Lim, M. R. Food and nutrient intakes, body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in ubese adulescent Masan and Changwon middle school student's in priority. Kyungnam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2004. 

  3. Song, I. H.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ject method of Rope Skipping and Physical Fitness of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95. 

  4. Kim, D. 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Basic Physical Fitness on Activities with Jump Rop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2000. 

  5. Kim, J. W., Kim, D. Y., Kang, D. K., & O, D. J. Effect of music rope-skippng esercise on health fitness, blood lipids and growth-related factors in male middle school boys.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8, pp. 3405-3416,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8.3405 

  6. Ukkola, O. & Santaniemi, M.. Adiponectin: a link between excess adiposity and associated comparabilities. J Mol Med, Vol. 80, pp. 696-702, 2002. DOI: http://dx.doi.org/10.1007/s00109-002-0378-7 

  7. Robert, R. K., Karam, S. B., Ann, K. C., Robert, J. D., Edmund, O. A., Edward, P. H., Lisa, G. J. & Daniel, V. C. Adiponectin responses to continuous and progressively intense intermittent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pp. 1320-1325, 2003. 

  8. Hulver, R. H., Pedwell, J. & Rissanen. Effects of energy restriction and exercise on adiponectine and adipose tissue in women as measured dy MRI. Am J Clin Nutr, Vol. 61, pp. 1179-1185, 2002. 

  9. Robert, R. K., Karam, S .B., Ann, K. C., Robert, J. D., Edmund, O. A., Edward, P. H., Lisa, G. J., & Daniel, V. C. Adiponectin responses to continuous and progressively intense intermittent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pp. F1320-1325, 2003. 

  10.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01. 

  11. KOREA Music Rope-Skipping. http://www. iumprope. co. kr 2005. 

  12. Daily newspapers. Health and Medicine, June 02, 2005. 

  13. Matsuzawa, Y. T., Funahashi, T. & Nakamura. X. J. Molecular mechanism of vascular disease in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omplications, Vol. 16, No. 1, pp. 17-18, 2002. DOI: http://dx.doi.org/10.1016/S1056-8727(01)00194-5 

  14. Reaven, G. M., Strom, T. K. & Fox, B. Syndrome X. The silent killer. The new heart disease risk, 2001. 

  15. Holland, C. B., Hyde, B. L., DeMourelle, K. & Syndrome, X. A case study. Adv. Nurse Pract, Vol. 8 No. 8, pp. 53-55, 2000. 

  16.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Innovative ways school sports. 2005. 

  17. Tanner, J. M. Growth and endocrinology of the adolescent. In Gardner L I. Endocrine and genetic disease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Philadelphia, Saunders pp. 14-63, 1975. 

  18. Malian, R. M., & Bouchard, C. Growth. Maturation and physical activity.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p. 87-150, 1991. 

  19. Watson, A. W. S. Quant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body fat content on selected physical performance variables in adolescent boys. Isr J Med Sci, Vol. 157, pp. 383-384, 1988. DOI: http://dx.doi.org/10.1007/BF02948374 

  20. Kim, H. M. The effects of rope skipping on physical fitness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ho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999. 

  21. Cho, S. B., & Bae, S. O. The Effect of the Jump Rope Exercise on Pelvis Correction and Abdominal Obes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19, No. 3, pp. 999-1011, 2010. 

  22. Sin, S. J. http://www.sportnest.kr/766. 2010. 

  23. http://www.taekwonrope.com. 2012. 

  24. Kim, J. W., Kim, D. Y., Kang, D. W., & Oh, D. J. Effects of Music Rope-Skipping exercise on health fitness, blood lipids and growth-related factors in male middle school Boy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8, 3405-3416,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8.3405 

  25. Hulver, R. H., Pedwell, J., & Rissanen. Effects of energy restriction and exercise on adiponecrine and adipose tissue in women as measured. dy MRI. Am J Clin Nutr, Vol. 61, pp. 1179-1185, 2002. 

  26. Boudou, P., Sobngwi, E., Mauvais, F. J., & Gautier, J. F. Absence of exercise-induced variations in adiponectin levels despite decreased abdominal adiposity and improved insy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men. European Jourmal of Endocrinology, Vol. 149, pp. 421-424, 2003. DOI: http://dx.doi.org/10.1530/eje.0.1490421 

  27. Toshimitsu, Y., Yuichiro, N., Shoichiro, N., Tomoatsu, N., Kumpei, T., Munehiro, S., Hiroaki, T. & Shun, I.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training-induced increase in insulin sensitivity and adiponectinemia in Healthy Men. Endocrine Journal, Vol. 50, No. 2, pp. 233-238, 2003. DOI: http://dx.doi.org/10.1507/endocrj.50.233 

  28. Kim, J. Y., Kim, E. S., Jeon, J. Y., & Jeka, Y. Improved Insulin Resistance, Adiponectin and Liver Enzymes without Change in Plasma Vaspin Level after 12 Weeks of Exercise Training among Obese Male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 20, No. 3, pp. 138-147, 2011. DOI: http://dx.doi.org/10.7570/kjo.2011.20.3.138 

  29. Maeda, N., Takahashi, M., Funahashi, T., Kihara, S., Nishizawa, H., Kishida, K., Nagaretani, H., Matsuda, M., Komuro, R., Ouchi, N., Kuriyama, H., Hotta, K., Nakamura, T., Shimomura, I., & Matsuzawa, Y. PPARgamma ligands increase expression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adiponectin, an adipose-derived protein. Diabetes, Vol. 50, pp. 2094-2099, 2001. DOI: http://dx.doi.org/10.2337/diabetes.50.9.20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