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군자추출물의 깍지벌레류에 대한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Chinese Honeysuckle, Quisqualis indica Extracts against Scale Insect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8 no.2, 2014년, pp.104 - 114  

송진선 (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이채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최용화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환경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깍지벌레는 농작물과 도심 및 산림의 수목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깍지벌레류의 환경친화적 대체방제법을 강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는데 기존의 연구에서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에 대하여 온수추출물이 효과가 있었던 사군자(Quisqualis indic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사군자 열매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과 클로르포름,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층으로 분획하여 귤가루깍지벌레(Planococcus citri)와 주머니깍지벌레(Eriococcus lagerstroemiae), 거북밀깍지벌레(Ceroplastes japonicus), 소나무가루깍지벌레(Crisicoccus pini) 약충을 대상으로 살충활성을 검정한 결과 헥산층의 살충 활성이 가장 높았다. 헥산층에서 활성물질을 탐색한 결과 alpha-pinene, methyl palmitate, eugenol, methyl myristate, phthalic acid mono (2-ethylhexyl)ester와 palmitic acid가 확인 되었으며 그들 물질들 중 ${\alpha}$-pinene의 주머니깍지벌레 2령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는 0.0114 ppm이었다. 사군자 추출물은 깍지벌레류의 대체 방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ale insects heavily damaged many agricultural crops and trees in urban and forest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rry out alternative control method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of scale insects. Hot water extract of Quisquali indica produced high mortality against the black pine b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inene은 소나무의 송진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자연계에서는 α-pinene과 β-pinene의 이성질체로 존재하며 두송(Juniperis communis) 열매와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정유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다(Jäger, 2000). 본 연구에서는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살충 활성이 우수한 사군자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깍지벌레류에 대한 살충 활성 검정과 용매분획과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여 활성 화합물을 얻어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는데 사군자 추출물은 깍지벌레류의 대체 방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는 이러한 살충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및 향후 야외 실험을 통하여 살충효과를 재확인하고 활성 화합물이 빠르게 분해되어 살충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보조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 식물체 유래 활성물질 연구들 중 사군자(Quisquali indica)는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살충 효과가 우수한 한약재로 선발된 바 있는데(Song et al., 2013), 본 연구는 후속연구로써 사군자로부터 깍지벌레류[귤가루깍지벌레(Planococcus citri)와 주머니깍지벌레(Eriococcus lagerstroemiae), 거북밀깍지벌레(Ceroplastes japonicus), 소나무가루깍지벌레(Crisicoccus pini)]에 대한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깍지벌레과는 몇 종이 기록되어 있는가? 이 중 깍지벌레과는 전 세계적으로 2,500여종이 알려져 있는데, 주로 수목에 조개껍데기 모양의 깍지를 만들어 피해를 주며, 우리나라에는 72종이 기록되어 있다(Suh et al., 2009).
깍지벌레류는 작물에 2차적으로 어떤 질병을 발생시키는가? 이로 인한 살충제의 남용으로 천적이 급격히 감소하여 깍지벌레들이 대발생하고 있고 특히 약제를 자주 살포하는 가로수와 조경수에는 더욱 피해가 심한 실정이다. 또한 흡즙하면서 바이러스를 매개하고, 충체에서 분비하는 감로로 인해 2차적으로 그을음병을 발생시켜 광합성 작용을 저해시키고, 상품의 가치를 하락시키기도 하며 수입 식물의 검역 과정에서도 검출빈도가 높은 해충이다(Johnson and Lyon; 1991; Jeon et al., 1996; Ji et al.
깍지벌레류가 살충제로는 약제방제효과가 낮아 방제가 어려운 해충인 이유는 무엇인가? 깍지벌레류는 다양한 형태의 왁스 물질(깍지)로 몸을 덮고, 나무의 수피 틈이나 잎에 고착시켜 그 속에서 수액을 흡즙하면서 생활하기 때문에 약제를 살포하여도 충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살충제로는 약제방제효과가 낮아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다(Jeon et al.,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alytical Software (2003) Statistix 8 user's manual. Tallahassee, FL. pp. 369. 

  2. Baser, K. H. C. and G. Buchbauer (2010) Handbook of essential oils: sci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CRC Press. Boca Raton, USA. 

  3. Choi, D. S., D. I. Kim, S. J. Ko, B. R. Kang, K. S. Lee, J. D. Park and K. J. Choi (2012) Occurrence ecology of Ricania sp. (Hemiptera: Ricaniidae) and sele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or control. Kor. J. Appl. Entomol. 51:141-148. 

  4. Gillott, C (1995) Entomology. Plenum press. New York. USA. pp. 210-212. 

  5. Ha, P. J., T. S., Kim, S. H. Lee, H. Y. Choo, S. H. Choi, Y. S. Kim and D. W. Lee (2010) Effect of neem and mustard oils on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silkworm. Kor. J. Pesticide Sci. 1:54-64. 

  6. Hwang, I. H., J. Kim, H. M. Kim, D. I. Kim, S. G. Kim, S. S. Kim and C. Jang (2009) Evaluation of toxicity of plant extract made by neem and matrine against main pests and natural enemies. Korean J. Appl. Entomol. 48:87-94. 

  7. Jager, S (2010) Metabolism of terpenoids in animal models and humans. In Baser, K. H. C., and G. Buchbauer (Eds.). Handbook of essential oils: sci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pp. 209-234. CRC Press. Boca Raton, USA. 

  8. Jeon, H. Y., D. S. Kim, M. S. Yiem and J. H. Lee (1996) Modeling temperature dependent development and hatch of overwintered eggs of pseudococcus comstocki (Homoptera: Pseudococcidae). Korean J. Appl. Entomol. 35:119-125. 

  9. Ji, J. Y., Wu, S. and S. J. Suh (2010) A list of mealybugs (Hemiptera: Pseudococcidae) intercepted at the Republic of Korea ports of entry on plants imported from China. Korean J. Appl. Entomol. 49:163-166. 

  10. Johnson, W. T. and H. H. Lyon (1991) Insects that feed on trees and shrubs.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s, a division of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USA. 

  11. Kim, D. W., S. Y. Kang, K. S. Kim, J. U. Hyun, J. H. Somg and K. Z. Riu (2001) Efficacy of a petroleum spray oil for the control of citrus pests, spirea aphid (Aphis citricola) and two scales (Icerya purchasi and Planococcus cryptus) in Jeju island. Kor. J. Pesticide Sci. 5:55-60. 

  12. Kim, J. B. (2005) Pathogen, insect and weed control effe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plants. J. Korean Soc. Appl. Chem. 48:1-15. 

  13. Lee, B. Y. and Y. J. Chung (1997) Insect pest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Seongand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66-193. 

  14. Lehr, P. S (2010) Biopesticides: the global market, ed. BCC Res, Febr. http://bccresearch.com/report/biopesticides-marketchm029c.html. 

  15. Miller, D., Y. Ben-Dov and G. Gibslm (2002) www.sel.barc.usda.gov/catal. 

  16. Paik, J. C. (2000) Homoptera (Coccinea). economic insects of Korea 6. 193 pp.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7. Regnault-Roger, C., C. Vincent and J. T. Arnason (2012) Essential oils in insect control: low-risk products in a highstakes World. Annu. Rev. Entomol. 57:405-424. 

  18. SAS Institute (1999) SAS Online Doc, Version 8. SAS Institute, Cary, NC. 

  19. Seo, M. J., H. S. Shin, S. H. Jo, C. S. Gawk, H. R. Kwon, M. W. Park. S. H. Kim, D. H. Cho, Y. M. Yu and Y. N. Youn (2011) Selec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control agents for controlling the comstock mealybug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Pseudococcidae, Hemiptera]. Kor. J. Pesticide Sci. 4:479-484. 

  20. Song, J. S., C. M. Lee, S. M. Lee, D. S. Kim, Y. H. Choi and D. W. Lee (2013) Insecticidal activities of 7 herbal extracts against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Kor. J. Pesticide Sci. 17:411-418. 

  21. Suh, S. J., S. J. Lee and G. S. Hodges (2009) Notes on armored scale species from greenhouse in Korea (Hemiptera: Diaspididae). Korean J. Appl. Entomol. 48:281-284. 

  22.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1994)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Kon-kuk University Press. Korea. pp. 110-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