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의 기회 확대 제공을 위한 온라인 교육 도입 방안 연구
A Study on Introduction of Online Education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preading University-level Program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5 no.3, 2014년, pp.117 - 124  

한옥영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정미현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and Health Informatics, CHA University) ,  김재현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특정 학문 영역에서 적성과 능력이 뛰어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수준의 심화학습을 제공하여 학생의 학습욕구를 충족하고, 잠재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수월성 교육의 가치를 제공하는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온라인 교육의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학생 및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분석 결과 고등학생은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의 온라인 교육 운영에서 효율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다음으로 진학도움, 교육방식, 만족도, 주위추천 순으로 긍정적 관점이 나타났다. 교사 역시 효율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진학도움, 교육 방식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을 활성화하고, 지역 간 교육기회 격차를 해소하여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도입 및 운영 방안과 운영 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tudies on introduction of online education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preading university-level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The university-level program can be defined as the fulfillment of learning needs and the value offer of excellence e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의 온라인 교육과 관련하여 도입방안 및 운영 방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의 온라인 교육 도입방안 관련의 연구 문제는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들의 도입에 관한 입장을 파악하는 것이며, 운영 방안 관련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의 수도권 편중 운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교육을 도입하는데 있어 당사자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조사하는 것은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실질적인 방안 마련을 위한 의미 있는 일이라 할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온라인 교육의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온라인 교육의 도입 및 운영 시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월성교육 종합 대책의 목적은? 교육인적자원부는 평준화 제도 하에서 고등학교 교육의 근간을 이루면서 학교교육의 보편성과 수월성을 조화롭게 추구하기 위하여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수월성교육 종합 대책(2004. 12.
수월성교육 종합 대책의 일환은 무엇이 있는가? 22)’을 발표하였다[1]. 그 일환으로 2007년 ‘대학과목선이수제(University-level Program; UP)’가 우리나라 정식 교육제도로 출범하게 되었으며, 현재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대학이 주관이 되어 집체교육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2]. UP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UP 운영 준칙에 따라 표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실제 운영은 각 대학들이 하도록 하고 있으며, 2007년 19개 대학에서 57개 강좌가 시범 운영되어 858명이 수강한 이후 2008년부터 현재까지
대학과목선이수제도와 미국의 AP제도의 공통점은? 우리나라의 대학과목선이수제도(UP)와 유사한 대표적인 제도로는 미국의 AP (Advanced Placement)[4], 유럽의 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5] 등이 있다. 이들의 운영 방식과 체제는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고등학생들에게 대학 수준의 과목을 이수하도록 하고, 대학입학 후 대학 이수학점으로 인정해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며, 표 1과 같이 교육목적,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결과의 활용 등에서 차이가 있다. 특히 AP와 IB는 국내에서도 운영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 외에 호주와 일본에서는 특정 대학에서 유사한 고교-대학 연계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of Excellence in Education", Press Release of MEHRD, 2004. 

  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ction Plan of Promote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Information Package of Open Briefing Session for Promote Strategy of Smart Education, 2011. 

  3.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ctivation Plan of University-Level Program", Press Release of MEST, 2012. 

  4. W. Curry, W. MacDonald, and R. Morgan, "The Advanced Placement Program: Access to Excellence,"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Vol. 11, no. 1, pp. 17-23, 1999. 

  5. M. Hayden and C. Wong,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nternational education and cultural preservation," Educational Studies, Vol. 23, Issue 3, pp. 349-361, 1997. 

  6. I. Kang, H. Hong, and Y. Sung, "A comparative study of AP and IB : Curricula that work for advance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16, no. 4, pp. 207-235, 2006. 

  7. S. Park, H. Kim, K. Kim, T. Lee, and I. Park, "A Study on Operation Condi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for University-level Program,"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08. 

  8. I. Park, S. Park., K. Kim, H. Kim, and T. Lee, "An Explor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level Program,"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13, no. 1, pp. 1-23, 2010. 

  9. Y. Pyo and J. Park,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Subjects in the University-level Program",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ol. 23, no. 2, pp. 279-296, 2009. 

  10. K. Chung and D. Jo, "A Study on th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Focused on Japan and Australia",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21, no. 2, pp. 23-4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