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고교-대학 연계 방안 모색
A Study on High School-College Artic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wareness Surve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9, 2016년, pp.185 - 197  

김경화 (광주여자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진로진학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공교육 정상화를 도모하는 고교-대학 연계 방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K대학교의 재학생 371명 및 고교 교사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반적인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 참여율은 '입시설명회', '전공진로탐색' 프로그램 순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고, 입학전형별 대학진학에 미친 영향을 비교한 결과 '입시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부종합전형(입학사정관 전형)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고교교육 정상화 및 대학진학에 가장 효과적인 고교-대학 연계 방법으로 '전공진로탐색'으로 응답해 전공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교-대학 연계의 다각적인 방법과 개선을 통한 공교육 정상화 촉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high school-college articulation programs during their high school days on their career or college entrance in an effort to explore how to ensure successful high school-college articu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고교-대학연계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진로진학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공교육 정상화를 도모하는 고교-대학연계 방법을 탐구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고교-대학 연계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고교-대학 연계 참여가 진로진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대상은 K대학의 재학생 및 서울 ㆍ경기도 소재 재직 중인 고교교사이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단순한 고교방문 입시설명회로만 홍보 전략을 세우는 것은 지원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1 입시상담으로 지원자가 알고 싶은 내용, 지원자에게 맞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고교방문 입시설명회는 대학 입학팀의 직원이나 입학사정관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는데 학과교수나 대학원생, 또는 재학생으로 팀을 구성하여 전공진로 탐색이 병행될 수 있도록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 세부전공, 졸업 후 진로, 취업 전망, 비전제시, 학교생활 등의 내용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둘째, 조사방법을 질문지만으로 함으로써 질문지 조사법의 단점을 간과할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을 위한 고교-대학 간 협력을 위해 대학은 무엇을 실천해오고 있는가?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은 고교-대학 간 협력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은 정보교류, 전공진로탐색, 입시설명회 및 상담, 대학의 인적⋅물적 지원, 모의전형 및 컨설팅, 컨퍼런스, 교사자문단 간담회 및 교사와의 공동연구, 동아리연계, 봉사활동 연계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고교-대학 연계를 실천해오고 있다. 그러나 고교 현장에서는 대학의 더 많은 정보제공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고, 대학은 사회적 책무성 실현 및 고교교육의 정상화에 효과적인 고교-대학 연계방법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이란 무엇인가? 학생부종합전형은 입학사정관 등이 참여하여 대학의 건학이념 및 인재상에 부합하는 학생을 선발하기 위하여 학생의 소질, 적성, 인성, 환경, 창의성 및 잠재가능 성 등을 학업 성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형요소를 총 체적, 다면적, 정성적 평가로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2007년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된 이후 학생부종합 전형(입학사정관 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대학의 수는 꾸준히 증가해 왔다.
2017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의 특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2007년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된 이후 학생부종합 전형(입학사정관 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대학의 수는 꾸준히 증가해 왔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발표한 2017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의 특징은 전체 모집인원 감소, 수시모집 선발비중 증가, 학생부종합전형 비중의 지속적 증가, 수시는 학생부 위주, 정시는 수능 위주 선발 정착 등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보도자료, 2017학년도 대입전형 시행 계획 발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 

  2. 정광희, 박병영, 조덕주, 한혜정, 이관희, 윤나경,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입전형 연구(VII): 고교-대학 연계 실천 모델 및 운영 방안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0. 

  3. 정광희, 고교-대학 연계의 다양한 모델현안보고, OP2011-03-19, 한국교육개발원, 2011. 

  4. 교육인적자원부, 학교교육정상화를 위한 2008년 이후 대학입학제도개선안, 교육인적자원부, 2004. 

  5.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보도자료, 대입전형선진화를 위한 공동선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9. 

  6. 김경화, 대학입학전형의 사교육 영향 평가, 미간행물, 2016. 

  7.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제 운영 공통기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0. 

  8. 정광희, 조덕주, 외국의 '고교-대학 연계' 방식과 실천 사례 분석-일본과 호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23-49, 2011. 

  9. 김무봉, 김경범, 김권섭, 김원명, 박성용, 입학사정관제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2011-19-366, 2011. 

  10. 오성근, 입학사정관제 도입 성과와 발전과제(입학사정관제 도입 5년: 성과와 발전과제). 입학사정관제 성과보고 컨퍼런스 자료집,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2. 

  11. 양명희, 입학사정관제의 성과: 입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측면(입학사정관제 도입 5년: 성과와 발전과제), 입학사정관제 성과보고 컨퍼런스 자료집,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2. 

  1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제 5년간의 성과 및 발전과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2. 

  13.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9. 

  14. 조영하, 임호용,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과 대학입학사정관전형 연계 방안 탐색-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제43권, 제2호, pp.197-225, 2012. 

  15. 이광우,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급별 창의적 체험활동 모형 개발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6. 이미숙, 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교육과정 방향탐색-창의적체험활동(CRC 2013-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7. W. Camp, "Participation in student activities and achievement: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83, 1990. 

  18. M. Grabe, "School size and the importance of school activities," Adolescence, Vol.61, 1981. 

  19. L. Otto,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spirations in the ststus attainment process," Rular Sociology, Vol.41, 1976. 

  20. 김미숙, 박소영, 강영혜, 이희숙, 황여정, 고교-대학 연계 사례연구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6. 

  21. 김현진, 새로운 인재선발방식, '고교대학연계전형'을 제안한다, 교육개발 1월 143호, 2004. 

  22. 소성규 외, 고교-대학 연계 강화를 위한 활성화 방안 연구, 대진대학교, 2014. 

  23. 김대석, 대학입시 현황과 대학 중도탈락률을 분석을 통해서 본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 연구, 고려대학교,박사학위 논문, 2010. 

  24. 이관희, 고백순, 소성호, 최은주, 고교와 대학이 연계한 진로진학체험 프로그램 연구, 한동대학교, 2014. 

  25. 한옥영, 정미현, 김재현,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 정의 기회 확대 제공을 위한 온라인 교육 도입 방안 연구," JICS, 제15권, 제3호,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