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VID-19에 따른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online class oper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COVID-19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359 - 366  

유은혜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  조건상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  양동석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  권용철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초·중·고교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의 차이와 온라인 교육의 개선점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체육교과연구회에 소속 된 166 명의 체육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교차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개학을 시작으로 성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용 유형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의 방법과 동기에 차이가 있었고 개선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직 경력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 동기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교육 및 교사의 적응 및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improvement of online education. To this e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66 physical educ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중등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 하는 것에 있어 한계가 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유행병으로 온라인이 전환이 되었기 때문에 포스트코로나(Post-COVID)에 대비하여 중등체육교사들의 온라인 체육수업 실시방식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에 앞으로 온라인 체육 수업이 점차적으로 보완되어야함을 알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변화될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중등체육교사들의 인식 개선과 콘텐츠 개발 및 교육에 대해 합리적인 논의를 이어나갈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또한 이러한 목적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COVID-19의 종식 이후 또 다른 신종 감염병의 유행에 대비하여 온라인 수업을 위한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비한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에 있어 성별, 교직경력, 재직유형에 따른 수업진행 방식에 대한 교사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COVID-19의 종식 이후 또 다른 신종 감염병의 유행에 대비하여 온라인 수업을 위한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대면 체육 수업이 전면 중단된 후 체육교사들의 온라인 수업이 실시된 상황에서 교사들의 수업방식과 교사들의 고충 및 개선점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 비대면 교육 상황에 대비하여 온라인 수업구축의 보완 및 필요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비한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에 있어 성별, 교직경력, 재직유형에 따른 수업진행 방식에 대한 교사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자가 체육실기 수업 지도방법에 변화가 있을 거라 생각한 이유는? 본 연구의 B도시 초‧중‧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은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체육실기 수업에 대한 학교현장에서의 지도방법에 대해 변화가 있어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갑작스러운 온라인 수업에 대하여 교사 및 학생들 간에 적응 불편 및 상호작용 어려움 속에서 현재 4차 산업에 대해 변화되고 연구되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느낀점을 의견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염병 및 4차 산업의 변화로 현장 수업과는 다른 보편적인 온라인 수업으로 수업진행방식이 발전될 것을 기대한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대두에 따라 교육부가 실시한 정책은? 신종바이러스인 COVID-19는 비말과 호흡기, 그리고 공기 중으로 바이러스가 침투되어 전염이 되기 때문에 비접촉 외에는 백신이 완전히 자리 잡기까지 달리 방법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에 마스크와 소독제를 긴급 지원하여 대비하였고 3월부터 총 4차에 걸쳐 개학을 연기하였다[4]. 그리고 결국 사상 처음으로 온라인 개학을 발표하였고, 초·중·고등학생 540만 명이 사회적 거리두기 (social distancing)’를 유지하며 ‘온라인 개학’을 시작하였다. 이로써 국내 교육체계는 새로운 교육방식을 맞이하는 계기가 되었다.
온라인 개학이 시작되며 일어난 상황은? 온라인 개학이 시작되면서 수업일수는 기존의 수업일수보다 1/10 범위 내로 감축되었으며, 휴업 3주차 까지 학습콘텐츠, 일일학습 안내 등 갑작스러운 수업진행 변화에 교사들은 많은 혼란과 동시에 수업 준비로 바빠졌다. 이런 온라인 수업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가는 중에 체육수업은 실기 수업 진행을 온라인으로 준비해야하기 때문에 또 다른 문제에 직면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 Y. Lee, Y. S Heo & K. H. Kim. (2020). Analyzing Global National Scientific Funds for Korea National R&D planning : In Case of Coronaviru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4), 95-108. DOI: 10.15207/JKCS.2020.11.4.095 

  2. M. H. Oh. (2020.02.23). Deciding to postpone the opening of new semeste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preparing supplementary measures to protect and manage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China.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Online]. https://www.moe.go.kr 

  3. J. H. Eom. (2020). A Public Legal Review of Big Data Governance in COVID-19. Korea National Public Law Association, 16(2), 69-91. DOI: 10.46751/nplak.2020.16.2.69 

  4. J. H. Oh. (2020). From Corona 19's future, from an educated era to a learning era.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25. 

  5. Y. L. Choi. (2020). A study on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child care teachers and changes in their daily routine in centers after COVID-19.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2(1), 253-279. DOI: 10.15409/riece.2020.22.1.12. 

  6. M. J. Lyu. (2011). A Case Study on Structure and Possibility of Online Courses in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5(2), 353-370. DOI:10.24231/rici.2011.15.2.353 

  7. M. J. Lyu. (2014). Classroom Community, Interactive Learning, and Class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mplemented via Online Cafe among Highschool Femal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8(4), 1225-1238. 

  8. J. H. Yoon. (2020). [Brain Change TV Co-planning] Solar Body Gymnastics Responsive with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Korea Institute of Brain Science, 82, 64-65. 

  9. H. H. Shin, J. H. Lee, K. H. Kim, B. J. Kim, S. C. Jin & H. M. Park. (2020). Application of Mobile Hospital Computed Tomography in a State-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 und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ituation by Example. Korean Society for Radiological Society, 43(2), 71-77. DOI: 10.17946/JRST.2020.43.2.71 

  10. Y. H. Lee, Y. J. Park & J. H. Yun. (2020). Exploring the"Types"through Case Analysis on Operation of Dist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Responding to COVID-19.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8(3), 211-234. DOI: 10.18230/tjye.2020.28.3.211 

  11. S. Y. Kim. (2020). A convergence study of stress caused by the epidemic of COVID-19,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6), 423-431. DOI:10.15207/JKCS.2020.11.6.423 

  12. B. B. Pereira. (2020). Challenges and cares to promote rational use of chloroquine and hydroxychloroquine in the management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 timely review.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B. 23(4), 177-181. DOI: 10.1080/10937404.2020.1752340 

  13. M. J. Kim. (2020). A Study on the Expression for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based on Disease Data. Design Research, 5(1), 188-199. DOI:10.46248/kidrs.2020.1.188 

  14. Peiser, G. (2015). Overcoming barriers: Engaging younger students in an online intercultural exchange. Intercultural Education, 26(5), 361-376. DOI: 10.1080/14675986.2015.1091238 

  15. S. G. Kim. (2020). A analysis on the Online Physical Education during COVID-19 Pandemic.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6(2), 145-158. DOI: 10.26844/ksepe.2020.26.2.145 

  16. M. S. Jin. (2020). COVID-19, Pull the trigger of the Learning Ecosystem Revolution. The Journal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Research, 5(1), 1-11. 

  17. Y. S. Lee & J. S. Nam. (2019). An Analytical Study of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4(4), 109-123. DOI: 10.26844/ksepe.2019.24.4.109 

  18. S. M. Han. (2020). Explo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27(3), 55-80. DOI: 10.21812/kjsp.2020.7.27.3.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