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을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매체 적용
Development and Effect of a 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using Mobile Applicatio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3, 2014년, pp.205 - 214  

강한규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태빈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규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민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진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용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염경훈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이가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영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비동등성대조군 사전사후설계인 유사 실험연구와 질적 자료분석인 내용분석방법을 접목한 연구 방법간 트라이앵귤레이션을 적용하였다. 서울시 노원구 소재 S대학교 재학생 4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통계 $x^2$-test, t-test, Fisher's exact test를 구하였다. 결과 본 대사증후군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주 메뉴는 기본교육, 영양교육, 운동교육, 식사일기, 운동체크, 팁의 총 6개로 구성되어있고,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F=7.919, p=.007), 대상자들은 비만, 고혈압, 당뇨 등이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으며 예방을 위한 실천방안으로 식습관 개선과 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스마트폰에 친숙한 대학생에게 어플리케이션을 교육매체로 한 대사증후군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어 그 개발의 필요성과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 of a 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program using mobile appli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content analysis as a triangulation method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49 university st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체력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결과에서 심폐체력을 주요한 체력지표로 사용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DuBose, Eisenmann, & Donnelly, 2007). 걷기 파트에서는 걷기의 장점과 올바른 걷기 자세를 소개함으로 심폐체력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근지구력 역시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질환 위험요인에 상관성이 있으며 청소년의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체중조절과 함께 체력(심폐체력, 근지구력, 유연성) 증진이 중요하다(DuBose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대학생을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교육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대상자의 요구에 맞게 교육이 가능하며, 대학생들에게 가장 친숙한 대화법인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교육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평생 건강관리 측면에서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세대에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대사증후군 예방교육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교육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대상자의 요구에 맞게 교육이 가능하며, 대학생들에게 가장 친숙한 대화법인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교육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평생 건강관리 측면에서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대사증후군이란? , 2011). 대사증후군이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한 질병 진행과정이 치료단계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병태 생리학적으로 곧 발병할 가능성이 있으며 심혈관 질환 위험이 3-4배 높은 경우를 말한다(Lim et al., 2011).
20대 대학생들의 비만 원인은? 2%에서 2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청소년후기인 20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학생들의(Kim & Song, 2013)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운동부족이 그 원인으로 보고되었다(Chang & Chaung, 200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Yun & Cho, 2005). 특히 대학교시절의 비만과 체력 저하는 중장년기 만성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Jeka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ng, O. J., & Chaung, S. K. (2000). Eating habits and workout patterns of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4, 415-430. 

  2. Cho, K. S., Kim, H. K., Park, S. O., Bae, Y. S., Hwang, O. N., Kwon, B. E., et al. (2013). Adult Health Nursing. Seoul: Hyunmoonsa. 

  3. Choi, J. H., Park, S. H., Youn, H. S., Kim, M. Y., & Lee, Y. J. (2011). Sex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ulmonary function: The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ndocrine Journal, 58, 459-465. 

  4. DuBose, K. D., Eisenmann, J. C., & Donnelly, J. E. (2007). Aerobic fitness attenuates the metabolic syndrome score in normal-weight, at risk for overweight and overweight children. Pediatrics, 120, e1262-1268. 

  5. Eckel, R. H., Barouch, W. W., & Ershow, A. G. (2002).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working group on the pathophysiology of obesity-associated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105, 2923-2928. 

  6. Faul, E.,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http://dx.doi.org/ 10.3758/brm.41.4.1149 

  7. Hong, S. P. (2012, Feburary 28). The smartphone distribution rate grew up to 80% this year. The Cellular News, Retrieved from http://www.cellular. co.kr/37336 

  8. Jekal, Y., Lee, M. K., Park, S. K., Lee, S. H., Kim, J. Y., Kang, J. U., et al. (2010).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hysical fitness, and hemoglobin A Ic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Diabetes Journal, 34, 182-190. 

  9. Jeon, E. J., Park, H. A., Min, Y. H., & Kim, H. Y. (2014). Analysis of the information quality of Korean obesity-management smartphone applications.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20(1), 23-29. http://dx.doi. org/10.4258/hir.2014.20.1.23 

  10. Kang, M. J., Paik, H. Y., Wie, G. A., & Joung, H. J. (2012). Development of healthy Han-si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eaturing consumption of Korean foods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45(6), 552-561. 

  11. Keller, J. M., & Song, S. H. (2005). Charming instruction design. Seoul: Kyoukkwahaksa. 

  12. Kim, D. I., Kim, J. Y., Lee, M. K., Lee, H. D., Lee, J. W., & Jeon, J. Y.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fitness, BMI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Obesity, 21(2), 99-107. http://dx.doi.org/10.7570/kjo.2012.21.2.99 

  13. Kim, D. K., & Yu, J. C. (2005). Mass media research. Seoul: Nanam. 

  14. Kim, J. S., Shin, Y. C., & Hwang, K. Y. (2006). Simple pathology. Paju: MDCEAN. 

  15. Kim, K. D., & Lee, O. J. (1986). Methods in social research. Seoul: Pakyoungsa. 

  16. Kim, K. S., & Song, Y. A. (2013). Human growth.development & health across th life span. Seoul: Shinkwang Publishing Co. 

  17.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2012). A research on discovering new vulnerabilities and analyzing methods in domestic mobile environment. Retrieved November 30, 2012, from http://www.kisa.or.kr 

  18. Krippendorff, K.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Beverly Hills: Sage. 

  19. Im, M. Y., Lee, Y. R., Han, S. J., & Cho, C. M. (2012). The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3(1), 13-21. 

  20. Lim, S., Shin, H., Song, J. H., Kwak, S. H., Kang, S. M., Yoon, J. W., et al. (2011).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 2007. Diabetes Care, 34(6), 1323-1328.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9-ist year).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22. Moon, H. K., & Kong, J. E. (2010).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 for middle aged with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using 2005 and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3(1), 69-78. 

  23. Mosa, A. S., Yoo, I., & Sheets, L. A. (2012). Systematic review of healthcare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12, 67. 

  24. Na, I. J. (2005). Web-based education. Seoul: Kyoukkwahaksa. 

  25. Park, J., Kweon, S., Kim, Y., Jang, M. J., & Oh, K. (2012).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5), 664-675. http://dx.doi.org/10.5720/ kjcn.2012.17.5.664 

  26. Patrick, K., Griswold, W. G., Raab, F., & Intille, S. S. (2008). Health and the mobile phon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5(2), 177-181. 

  27.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available from www.dietaryguidelines.gov [cited 2010 Devember]. 

  28. Yoo, J. J., & Kim, Y. H.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1(6), 510-517. 

  29. Yun, H. S., & Cho, Y. C. (2005). A study on the preventive attitudes and health behavior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is colleges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 229-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