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아동의 낙상영향요인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Factors Affecting Hospitalized Children's Falls - Using Data in the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7, 2020년, pp.510 - 516  

이정욱 (신라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입원 아동 중 낙상을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유·아동·청소년 낙상의 특성과 낙상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원 중 낙상(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W00-W19)으로 손상(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S00-S99)을 경험한 18세 이하 아동 환자 116건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입원 중 낙상을 경험한 아동은 남자가 여자 보다 많았고, 1세 이상 6세 이하의 연령에서 낙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을 경험한 아동의 질병유형으로는 호흡기 질환이 가장 많았고 낙상으로 인한 상해유형은 열린 상처나 타박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낙상 사고 원인으로는 침대와 관련된 낙상이 가장 많았다. 낙상 관련 요인분석 결과 성별을 제외한 연령(β=.318), 주진단명(β=.231), 손상(β=.169)의 순으로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아동에 대한 낙상예방 교육이 연령, 질병 유형,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과 연령대를 고려하여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활동에 제약이 적은 경미한 질환의 아동이나 과다행동을 보이는 유아기 아동 등 질병의 유형과 연령별 아동 발달 단계특성을 고려한 낙상 사고 위험군에 대한 스크리닝 및 이와 관련한 섬세한 낙상예방 매뉴얼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입원을 필요로 하는 아동 환자, 보호자, 그리고 관련 의료진에게 연령별 아동 발달단계의 특성에 따른 낙상예방 교육 및 매뉴얼 개발의 단초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inpatient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experienced falling, using NHDIS data from 2008 through 2017, The study analyzed data of 116 patients who were under 18 and who experienced injuries (KSCD, S00-S99) by falling (KSCD, W0...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낙상사고가 발생 한 장소는 대부분 침대가 가장 많다는 선행연구[12, 23, 33, 34]와 본 연구결과에 따라 입원 아동 환자는 물론이고 보호자에게 낙상예방에 대한 교육을 철저히 시켜야 할 것이다. 3세 이하 아동의 경우 위험한 상황이나 판단력이 낮으므로 낙상 가능성에 대한 여러 사례들을 보호자에게 주지시킬 것을 제안한다. 특히 아동은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연령대에 맞는 예방교육을 실시해야 하는데, 학령기 아동의 경우 쉬운 책자나 그림판 등을 이용하여 아동 스스로 낙상에 대하여 주의 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2008년∼2017년까지 10년간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입원 아동 중 낙상을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유아·청소년 낙상의 특성과 낙상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아동을 대상으로 낙상의 특성과 낙상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입원 시 낙상을 경험한 아동 환자를 대상으로 아동 낙상의 특성과 낙상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입원을 필요로 하는 아동 환자, 보호자, 그리고 관련 의료진에게 아동의 발달단계의 특성에 따른 낙상예방 교육 및 매뉴얼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 되기를 기대한다.
  • 우선, 환자특성으로 성별은 낙상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8, 15, 16]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거나 관련이 없다는 연구[12, 13, 20] 등 그 연구결과가 다양하다. 연구자의 실무경험에 비추어 볼 때, 환자의 성별이 낙상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추정하고, 성별을 변수로 선정하여 아동 낙상환자의 성별에 따른 특성을 조금 더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 입원환자의 낙상은 아동기 중 낙상 빈도가 가장 높다고 알려진 특정 연령층(3세 미 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6, 12, 15, 16, 21, 22, 23] 가 주를 이루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병원에 입원한 유·아동·청소년 환자 중 낙상을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유·아동·청소년 낙상의 특성과 낙상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Slips, trips and falls in hospital. London: NPSA, 2007", Retrieved from : http://www.npsa.nhs.uk 2007. 

  2. Oliver, D., Healey, F., & Haines, T. P.,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ospital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Vol.26, No.4, pp.645-692, 2010. DOI: https://doi.org/10.1016/j.cger.2010.06.005 

  3. The Joint Commission.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ealth care facilities. Sentinel Event Alert/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15 

  4.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tandard of healthcare accreditation for tertiary hospital: Ver 2.0 [Internet]. Seoul: Author; 2014. 

  5. Child Health Corporation of America Nursing Falls Study Task Force, "Pediatric falls: State of the science.", Pediatric Nursing, Vol.3,. N0.4, pp.227-231, 2009. 

  6. K. R. Shin, S. J. Shin, J. S. Kim, J. Y. Kim,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ctivity related to fall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 No.1, pp.104-112, 2005. DOI: https://doi.org/10.4040/jkan.2005.35.1.104 

  7. S. Y. Park, H. O. Ju, "The Effect of Pediatric Inpatient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Caregivers'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3, No.4, pp.398-408, 2017. DOI:https://doi.org/10.5977/jkasne.2017.23.4.398 

  8. Cooper, C. L., & Nolt, J. D.,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vol.22, No.2, pp.107-112, 2007. DOI: https://doi.org/10.1097/01.ncq.0000263098.83439.8c 

  9. Y. S. Kim, K. S. Choi,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e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5, No.1, pp.74-82, 2013. DOI: https://doi.org/10.7475/kjan.2013.25.1.74 

  10. Rubenstein, L. Z., "Falls in older people: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Ageand ageing, Vol.35, pp.37-42, 2006. 

  11. Ryan-Wenger, Nancy A., "Challenges and conundrums in the validation of pediatric fall risk assessment tools", Pediatric Nursing, Vol.38, No.3, pp.159-167, 2012. 

  12. H. J. Shin, Y. N. Kim, J. H Kim, I, S. Son, K. S. Bang, "A Pediatric Fall-Risk Assessment Tool for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20, No.3, pp.215-224. 2014. DOI: https://doi.org/10.4094/chnr.2014.20.3.215 

  13. Schaffer, P. L., Daraiseh, N. M., Daum, L., Mendez, E., Lin, L., & Huth, M. M., "Pediatric inpatient falls and injuries: A descriptive analysis of risk factors.", Journal for Specialist in Pediatric Nursing, Vol..17, No.1, pp.10-18, 2012. DOI: https://doi.org/10.1111/j.1744-6155.2011.00315.x 

  14. Bergland, A., & Wyller, T. B., "Risk factors for serious fall related injury in elderly women living at home", Injury Prevention, Vol.10, No.5, pp..308-313, 2004. DOI: https://doi.org/10.1136/ip.2003.004721 

  15. M. S. Cho, M. R. Song, S. K. Cha, "Risk Factors for Pediatric Inpatient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3, No.5, pp. 595-604,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95 

  16. Y. H. Seong, I. K. Kwon, K. H. Kim, J. S. Kim, "A Study on Fall Experience in Inpatients of Children",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Vol. 10, 2006. 

  17. M.R.Kim, "Perception of nurses and caregivers on fall preventive management for hospitaized children:Based on ecological mode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18.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9 birth-death statistics 

  19. J. M. Ryn, M. H. Seo, W. Y. Kim, W. Kim, K. S. Lim, "A Pilot Study on Enviro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Childhood Home Slip-Down Injur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umatology, Vol.22, No.1, pp.51-56, 2009. 

  20. Razmus, I., Wilson, D., Smith, R., & Newman, E., "Falls in hospitalized children", Pediatric Nursing, Vol.32, No.6, pp.568-572, 2006. 

  21. Agran, P. F., Anderson, C., Winn, D., Trent, R., Walton-Haynes, L., Thayer, S., "Rates of pediatric injuries by 3-month intervals for children 0 to 3 years of age", Pediatrics, Vol..111, No.6, pp..e683-e692., 2003. 

  22. Pickett, W., Streight, S., Simpson, K., & Brison, R. J., "Injuries experienced by infant children: A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al analysis", Pediatrics, Vol..111, No.4, pp..e365-e370, 2003. 

  23. Adolph, K. E., "Specificity of learning: Why infants fall over a veritable cliff", Psychological Science, Vol.11, No.4, pp.290-5, 2000. 

  24. E. J. Choi, Y. S. Lee, E. J. Yang, J. H. Kim, Y. H. Kim, H. A. Park,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Falls in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Korena Academy of Nursing, Vol.47, N0.3, pp.420-430, 2017. 

  25. Y. O. Kang, R. Song,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fall episodes and fall- 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22, No.3, pp.149-159, 2015. DOI:http://dx.doi.org/10.5953/JMJH.2015.22.3.149 

  26. Y. S. Kim, K. S. Choi,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5, No.1, pp.74-82,.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74 

  27. Y. S. Kim, K. S. Choi,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e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5, No.1, pp. 74-82,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74 

  28. Y. O. Kang, R. Y. Song, "Validation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South Korea using retrospective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7, No.1, pp.29-38, 2015. DOI: https://doi.org/10.7475/kjan.2015.27.1.29 

  29. Schwendimann R, Buhler H, De Geest S, Milisen K., "Characteristics of hospital inpatient falls across clinical departments", Gerontology, Vol.54, No.6, pp.342-348, 2008. DOI: https://doi.org/10.1159/000129954 

  30. E. H. Choi, M. S. Ko, C. S. Yoo, M. K. Kim, "Characteristics of Fall Events and Fall Risk Factors among Inpatients in General Hospital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 Nursing Research, Vol.23, No.3, pp.350-360, 2017. 

  31. Y. S. Cho, Y. O. Lee, Y. S. Youn, "Risk Factors for Falls in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 A Surviv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12, No.1, pp.57-70, 2019. DOI: https://doi.org/10.34250/jkccn.2019.12.1.57 

  32. C. G. Kim, M. J. Suh,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vol.9, No.2, pp.210-228, 2002. 

  33. H. M. Yang, B. C. Chun, "Falls in the general hospital inpatients: Incidence, associ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Health Care, vol.15, No..2, pp.107-120, 2009. 

  34. Y. J. Lee, M. O. Gu, "Circumstances, risk factors, and the predictors of falls among patients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1, No.2, pp.252-265, 2015. 

  35. I. S. Cho, K. H. Park, M. H. Suh, E. M. Kim,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management of inpatient falls:Adopting the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7, No.1, pp.40-51, 2020. 

  36. H. S. Kim, "Attitudes toward nurses' fall related factors and prevention activiti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 11, pp.1065-1082,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