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A Case of a Huge Mass Due to Pleural Metastasis and Management of Dyspnea in a Patient with Terminal Breast Cancer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2, 2014년, pp.85 - 89  

이나리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방암 환자의 흉막 전이는 흔한 소견이다. 흉수가 가장 흔한 증상이고 흉수를 동반하지 않는 흉막 결절이나 흉막 판은 비교적 드물다. 본 환자는 말기 유방암으로 인해 흉수를 동반하지 않는 빠른 속도로 악화되는 거대 흉막 종양이 생겨났고 그로 인해 심한 호흡곤란을 경험했던 환자로 보기 드문 증례로서 보고를 하며 이와함께 말기암환자의 호흡곤란의 치료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eural metastasis from breast cancer is a common manifestation. While pleural effusion is the most frequent finding, it is relatively rare for pleural nodularity and plaque that do not accompany pleural effusion. We report a patient with a rapidly growing huge pleural mass without pleural effus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흉수가 가장 흔한 증상이고 흉수를 동반하지 않는 흉막 결절이나 흉막 판은 비교적 드물다. 본 환자는 말기 유방암으로 인해 흉수를 동반하지 않는 빠른 속도로 악화되는 거대 흉막 종양이 생겨났고 그로 인해 심한 호흡곤란을 경험했던 환자로 보기 드문 증례로서 보고를 하며 이와 함께 말기암환자의 호흡곤란의 치료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대부분의 흉막 전이는 흉수가 원인이라 호흡곤란이 오면 흉막 천자를 해서 흉수를 제거하면 증상이 호전되나, 본 증례와 같이 흉수는 없이 흉막 종양 때문에 폐기능이 떨어져 오는 증상은 조절이 쉽지 않다. 이에 호흡곤란의 치료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 본 51세 여자 환자는 유방암 말기로 흉막 전이 양상이 흉수를 동반하지 않고 흉막 결절에서 시작하여 폐 전체를 차지하는 거대 흉막 종양으로 변화하는 비전형적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호흡곤란 증상이 심해져 임종을 하였던 증례로 거대 흉막 전이 소견에 대한 보고와 함께 말기암환자의 호흡곤란 치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테로이드는 말기암환자의 호흡부전에 많이 이용되는 약제인데, 논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테로이드는 기도의 염증반응을 줄이고 기관지 확장 효과가 있어 말기암환자의 호흡부전에 많이 이용되는 약제이다. 하지만 무작위 대조연구에서 효과가 입증된 것이 아니라 논란이 있다. 기도 폐쇄, 폐의 림프관성 암종증, 상대정맥 증후군, 방사선 폐렴에서는 효과가 입증되어 사용을 권고한다(19).
흉막 전이의 가장 흔한 양상은? 흉막은 유방암에서 가장 흔한 전이 부위 중 하나이다. 흉막 전이의 가장 흔한 양상은 흉수이다. 그 외에 흉막 결절 또는 비후가 흔치 않게 생길 수 있으나 대부분 흉수를 동반하게 된다(1).
흉막 전이로 인한 흉수나 흉수 결절은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흉막 전이로 인한 흉수나 흉수 결절의 경우 결국 호흡곤란을 초래하게 하며, 특히 말기로 갈수록 호흡곤란의 조절은 어렵게 되고, 환자와 가족은 그로 인해 많은 고통을 겪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ung JI, Kim HH, Park SH, Song SW, Chung MH, Kim HS, et al. Thoracic manifestations of breast cancer and its therapy. Radiographics 2004;24:1269-85. 

  2. Kuwabara H, Tsuji H, Inada Y, Shibayama Y.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forming a huge mediastinal mass and causing atrial fibrillation. Indian J Pathol Microbiol 2012;55:513-5. 

  3. Chang JC, Su KY, Chao SF, Hsu YH, Yang GG, Chang BS. Hypoglycemia in a patient with a huge malignant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pleura. Pathol Int 2007;57:791-3. 

  4. Demura S, Kawahara N, Murakami H, Akamaru T, Kato S, Oda M, et al. Giant cell tumor expanded into the thoracic cavity with spinal involvement. Orthopedics 2012;35:e453-6. 

  5. Pandit S, Mukherjee S, Bhattacharya S, Dattachaudhuri A, Bhuniya S, Deb J, et al. A rare mediastinal tumour in a young male mimicking massive pleural effusion. Lung India 2012;29:66-9. 

  6. Wang W, Quan CB, Li N, Wang XJ, Song JY, Jia SL, et al. Diagnosis of pleural cavity extraskeletal osteosarcoma: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Zhonghua Jie He He Hu Xi Za Zhi 2010;33:202-5. 

  7. Miyazaki H, Goto A, Hino R, Ota S, Okudaira R, Murakawa T, et al. Pleural cavity angiosarcoma arising in chronic expanding hematoma after pneumonectomy. Hum Pathol 2011;42:1576-9. 

  8. Gasiorowski L, Dyszkiewicz W, Piwkowski CT. An unusual case of giant primary mediastinal liposarcoma. Thorac Cardiovasc Surg 2009;57:247-8. 

  9. Castellani C, Di Bella I, Duranti M, Corgna E, Giovenali P, Ragni T, et al. Single cardiac metastasis from colorectal cancer: an unusual localization. G Ital Cardiol (Rome) 2013;14:474-6. 

  10. Gamborg H, Riis J, Christrup L, Krantz T. Effect of intraoral and subcutaneous morphine on dyspnea at rest in terminal patients with primary lung cancer or lung metastases. J Opioid Manag 2013;9:269-74. 

  11. Ben-Aharon I, Gafter-Gvili A, Paul M, Leibovici L, Stemmer SM. Interventions for alleviating cancer-related dyspnea: a systematic review. J Clin Oncol 2008;26:2396-404. 

  12. Man GC, Hsu K, Sproule BJ. Effect of alprazolam on exercise and dyspnea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hest 1986;90:832-6. 

  13. Navigante AH, Cerchietti LC, Castro MA, Lutteral MA, Cabalar ME. Midazolam as adjunct therapy to morphine in the alleviation of severe dyspnea percep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06;31:38-47. 

  14. Ben-Aharon I, Gafter-Gvili A, Leibovici L, Stemmer SM. Interventions for alleviating cancer-related dyspn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ta Oncol 2012;51:996-1008. 

  15. Campbell ML, Yarandi H, Dove-Medows E. Oxygen is nonbeneficial for most patients who are near death. J Pain Symptom Manage 2013;45:517-23. 

  16. Nava S, Ferrer M, Esquinas A, Scala R, Groff P, Cosentini R, et al. Palliative use of non-invasive ventilation in end-of-life patients with solid tumours: a randomised feasibility trial. Lancet Oncol 2013;14:219-27. 

  17. Hwang IC, Lee MK, Kim KK, Lee KS, Suh HS. Applying inhaled furosemide for refractory breathlessnes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 based on seminar of palliative medicine research group,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252-6. 

  18. McIver B, Walsh D, Nelson K. The use of chlorpromazine for symptom control in dying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1994;9:341-5. 

  19. Thomas JR, von Gunten CF. Clinical management of dyspnoea. Lancet Oncol 2002;3:223-8. 

  20. Bredin M, Corner J, Krishnasamy M, Plant H, Bailey C, A'Hern R.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nursing intervention for breathlessnes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MJ 1999;318:901-4. 

  21. Maltoni M, Scarpi E, Rosati M, Derni S, Fabbri L, Martini F, et al. Palliative sedation in end-of-life care and survival: a systematic review. J Clin Oncol 2012;30:1378-8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