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돌보미 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우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Provider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1 no.1, 2014년, pp.26 - 35  

이영란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박선남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주민선 (서울여자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providers. Methods: Data were from a convenient sample of 154 child care providers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July 6th to September 26th, 2013.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 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우울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아이돌보미 여성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으로써, 지역의 건강지원센터와 비영리 및 영리단체가 아이돌보미 여성의 직무만족도 향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아이돌보미 여성이 아동을 건강하게 돌볼 수 있도록 하고,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 및 발달하며 가족의 자립역량을 강화되는 양질의 인프라 확충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아동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돌보미 여성의 직무만족 향상을 도모하고, 돌봄 아동들에게 안전한 돌봄을 제공하는 지지망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며, 이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 활동 여성의 일부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에 연구결과를 확대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겠다.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아이돌보미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아이돌보미 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우울과 스트레스 정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고 직무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 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우울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 여성이 인지하는 지각된 건강상태, 우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을 확인하고, 지각된 건강상태, 우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의 탈제도화의 배경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산업화는 도시화를 이끌었고 여성의 교육수준과 사회진출 및 사회적 지위를 변화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가족의 구조, 기능과 가족생활주기의 변화를 가져왔다.
가족의 탈제도화는 어떤 문제를 야기시키는가? 맞벌이 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계의 계승에 대한 가치관이 부부중심의 핵가족으로 단순화되는 가족의 탈제도화(de-institutionalization)경향을 보이고 있다(Hantrais, 2004). 이에 따른 가족의 돌봄 기능이 약화되었고 아동유기와 방임 및 자기보호아동 등의 사회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을 보면 25~29세가 가장 높고, 결혼과 육아 등으로 30~39세는 크게 감소하였다가 40대 초반부터 다시 증가하며 50~5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2.
아이돌보미의 역할은 무엇인가? 아이돌보미는 이러한 사업에 따른 신규직업군으로써 건강가정기본법을 기반 하에 가정 내 아동의 개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이돌보미는 일과 가정을 양립시기키 위한 조력자로써 취업부모들의 양육부담을 줄이고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아동지킴이로서 보육 등을 제공한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3). 2006년 아이돌봄 지원시범사업 이후 중・장년여성의 고용이 촉진되었으며, 아이돌보미 서비스 연계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g, K. S., Chae, S. M., & Park, S. H. (2011). Depression, health status, and parenting stress of caregivers of children in poverty.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4(2), 55-61. 

  2. Byun, M. H., Kang, K. J., & Chung, H. J. (2007). Evaluation the childcarer (IDOLBOMI) demonstration service and policy directio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1(2), 67-83. 

  3. Duffy, M. E. (1995).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behaviors of divorced women with children.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22(3-4), 1-12. http://dx.doi.org/10.1300/J087v22n03_01 

  4. Hantrais, L. (2004). "Family diversification", Family policy matters, responding to family change in Europe. Bristol, UK: The Policy Press. 

  5.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2009). 2009 Child care support project a Results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6. Hong, K. H., & Jung, H. J. (2013).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burnou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Care & Education, 9(1), 263-280. 

  7. Hwang, H. S., & Yun, M. J. (2012).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helpers in seoul c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4), 63-71. 

  8. Jang, E. J., & Lee, S. H. (2009).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Welfare, 7(1), 69-84. 

  9. Jung, I. K., Kwak, D. I., Shin, D. K., Lee, M. S., Lee, H. S., & Kim, J. Y. (1997).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6(1), 103-112. 

  10. Jung, S. H., & Kim, J. H. (2013).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provide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14(2), 275-304. 

  11. Kim, H. J., & Park, Y. S. (1997).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4, 283-300. 

  12. Kim, S. H. (2011).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cusing on activities of people who provide childcar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4), 19-41. 

  13. Kobayashi, F., & Takeuchi, K. (2002). Stress management in European countries and U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4(1), 1-5. 

  14. Koo, E. M. (2007).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97-113. 

  15. Lee, G. J., Won, J. S., Im, S. B., Kim, S. A., Kim, S. J., Lee, S., et al. (2011). Psychiatric nursing, Paju: Soomoonsa. 

  16. Lee, S. M. & Kim S. M. (2011). A basic study on public nanny servic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strateg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4), 51-65. 

  17. Lee, G. J. & Chung, K .(2012) Childcare service providers' care experience and their meanings of social care, Korean of Journal Child Care and Education, 73, 419-441 

  1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3). Outline of child care service in 2013.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19. Moses, T. (2000). Why people choose to be residential child care workers. Child and Youth Care Forum, 29, 113-126. 

  20. Na, S. S., Gu, S. Y., & Park, Y. R. (2013).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in childcare center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14(3), 307-328. 

  21.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956).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Dekalb, Illinoi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2. Park, M. S. (2002). The relationship of the perceived health status with somatic symptoms, family related stress, spousal support and sexual satisfaction in the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1, 33-42. 

  23. Schudrich, W., Auerbach, C., Liu, J., Fernandes, G., McGowan, B., & Claiborne, N. (2012). Factors impacting intention to level in social workers and child care workers employed at voluntary agencie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 84-90. 

  24. Shin, Y. S., Choi, S. O., & Kim, S. N. (2001). A study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matriarch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 44-55. 

  25. Song, E. K., & Son, Y. J. (2011). Impact of body mass index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depression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 376-385. 

  26. Statistics Korea. (2010).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Daejeo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7. Todd, C. M., & Deery-Schmitt, D. M. (1996). Factors affecting turnover among family child care providers: A longitudinal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 351-376. 

  28.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 Leirer, V. O.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7, 37-49. 

  29. Yoo, K. S. (2012). The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care help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 341-353. 

  30. Yoon, H. M., & Chung, K. J. (2008). Effects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pre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Human Ecology, 12(1), 8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