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정서지능,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Smartphone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1 no.1, 2014년, pp.44 - 51  

최정은 (동남보건대학교) ,  서은지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이은희 (동남보건대학교) ,  유문숙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University life is a very significant period for students, during which they have to nurture their personality to help them adapt to life after graduation. However,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has been observed to causes increasingly severe isolation and unstable emotional conditions am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 후기로서 성인에 비해 정서지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고, 자기통제력이 약한 시기로, 이 시기는 인터넷, 약물, 스마트폰 등의 중독성에 매우 취약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지능,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줄이고 예방적 조처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정서지능, 자기통제력을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실태조사와 더불어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지능, 자기통제력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조사하고 정서지능과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의 과다한 사용으로 스마트폰이 주변에 없으면 불안해 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만큼 의존 하게 되는 상태(Yong, 2013)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NIA (2012)에서 개발한 S-척도(성인스마트폰진단척도)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정서지능은 무엇인가? 정서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정확히 지각하고 인식하여 적절히 표현하는 능력이며, 삶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을 말하며(Lee, 2008), 본 연구에서는 Mun (1997)이 개발하고 대교교육과학연구소에서 표준화 과정을 거쳐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율이 중고등학생에 비하여 가장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3%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율이 가장 높았다. 중고등학생의 경우 학교수업, 방과 후 학원, 자율 학습 등이 스마트폰 사용에 제한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나, 대학생의 경우 시간 활용에 대해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있고 다른 연령대에 비해 스마트폰의 사용빈도와 의존정도가 높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은 수면장애, 두통, 기억력 감퇴 등이 발생할 수 있고(Schreier, Huss, & Roosli, 2006), 통제력 상실, 불안과 갈망, 금단, 생활력 상실 등의 심리사회적 증상을 나타내는 등(Leung, 2008), 정신, 신체, 사회성 전반에 걸친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n, Y. S. (2007).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emotional experience on mental health : focusing on addictive behavior, somatic symptom and alexithym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 Bastian, V. A., Burns, N, R., Nettelbeck, T. (2005).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s life skills, but not as well as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i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1135-1145 

  3. Chang, M. H. (2005). Study on moral education as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4. Choi, J. H. (2008).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Finkenauer, C., Engels, R. C. M. E., & Baumeister, R. F. (2005).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1), 58-69. 

  6. Han, J. L., & Hur, K. H. (2004).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8(6), 138-166. 

  7. Hwang, K. H., You, Y. S., & Jo, O. H. (2012).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i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0), 365-375. 

  8. Jo, H. O. (2012).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impulsiveness and perceived stress according to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eagu. 

  9. Jung, Y. C. (2013). KISDISTAT Report 13-05-01.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10. Kang, J. Y. (2012). The effect of stress and the way of stress coping, impulsivity of employees on smart-phone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1. Kang, S. J. (2014). A stud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smartphone use pattern, the stress, self-control and family communi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12. Kim, M. S. (2007).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tudents' internet addition to emotion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13. Kendall, P., & Wilcox, L.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47, 1020-1029. 

  14.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3). The second half of survey on the use of smart phones. Web site: http://www.kisa.or.kr/main.jsp# 

  15. Korea communications commision. (2013). Demographics for wired and wirele communications services. Web site: http://www.kcc.go.kr/user.do 

  16. Lee, H. M. (2008). Commit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7. Lee, K. H. (2008).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making in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18. Lee, M. S. (2011). Smartphone addiction and related social conc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Leung, L. (2008). Linking Psychological attributes to addiction and improper use of the mobile phone among adolescents in Hong Kong Journal of Childern and Media, 2(2), 93-11 3 

  20. Moon, Y. R. (1997). EQ brings Success. Geulirang. 

  21. Mun, E. Y. (2013).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coping with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smartphone addict and internet addi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kwangju. 

  22. Nam, C. Y. (2009). College Students'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1(1), 121-140. 

  2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2012 Internet use survey. Web site: http://www.nia.or.kr/ 

  24. Park, Y. M. (2011). A Study on adults'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 

  25. Song, W. Y. (1998).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Addictive Use of Intern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6. Yong, S. H. (2013). Relationships among severity of smartphone addiction,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7. Schreier, N., Huss, A., & Roosli, M. (2006). The prevalence of symptoms attributed to electromagnatic field exposure: a cross-sectional representative in Switzerland. Soz Praventivmed, 51(4), 202-2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