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황(大黃)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발된 C57BL/6 mouse의 지방조직 염증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ei Radix et Rhizoma on Insulin Resistance and Adipose Tissue Inflammatory Response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C57BL/6 Mic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5 no.2, 2014년, pp.195 - 207  

최승범 (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  마영훈 (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  한양희 (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  정수정 (동신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조홍석 (동수원한방병원 침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Rhei Radix et Rhizoma affects on insulin resistance and adipose tissue inflammatory response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C57BL/6 mice. Methods : Obesity was induced in C57BL/6 mice by high fat diet for 12 weeks. Models were divided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cytokine들은 비만에서도 염증반응과 인슐린 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들로 이 연구는 대황이 비만환자의 지방조직 염증 및 인슐린 저항성을 제어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이번 연구에서는 대황을 실제 비만이 유발된 동물 모델에 투여하여 체중, 인슐린 저항성, 지방조직 및 간의 무게, cytokine, macropahge 등의 수치를 측정하여 지방조직의 염증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대황 추출물의 투여가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지방조직의 염증 및 인슐린 저항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지방세포의 역할에 대해 무엇이 밝혀졌는가? 최근의 연구들을 통하여 비만이 인슐린 저항성과 만성 염증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2 지방세포를 단순히 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동적인 조직이 아닌 내분비기관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cytokine(adipokine)들이 그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4. 비만한 상태에서는 지방조직에서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terleukin(IL)-6와 같은 inflammatory cytokine이 증가하는데, 이는 지방조직의 대식세포 증가와 동반되어 나타난다5. 이러한 cytokine들은 대식세포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지방조직에서의 염증반응과 인슐린 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6. 지방세포에서 시작된 염증반응이 어떻게 전신적인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비만은 무엇인가? 비만은 당뇨병, 동맥경화의 주요 위험인자이며 인슐린 저항성, 고혈압, 지질대사 이상의 집합체로 최근에는 대사증후군의 일종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비만 환자에서는 여러 가지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비만에 의한 여러 질환은 동맥경화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으로 사망률을 높이는 공통적인 결과를 가지고 있다11.
비만의 유발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은 만성적으로 에너지 공급이 에너지 소비를 초과 했을 때 일어나는 에너지의 불균형에 의해 지방세포의 증가 및 분화 이상으로 유발 된다1. 최근의 연구들을 통하여 비만이 인슐린 저항성과 만성 염증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2 지방세포를 단순히 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동적인 조직이 아닌 내분비기관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cytokine(adipokine)들이 그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대한비만학회. 임상 비만학. 서울: 고려의학; 2000, p. 115, 149. 

  2. Xu H, Barnes GT, Yang Q, Tan G, Yang D, Chou CJ, et al. Chronic inflammation in fa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obesityrelated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 2003;112(12):1821-30. 

  3. Flier JS. The adipocyte: storage depot or node on the energy information superhighway?. Cell 1995;80:15-8. 

  4. Serrero G, Lepak N. Endocrine and paracrine negative regulators of adipose differentiation. Int J Obes 1996;20(Suppl 3):S58-S64. 

  5. Weisberg SP, McCann D, Desai M, Rosenbaum M, Leibel RL, Ferrante AW Jr. Obesity is associated with macrophage accumulation in adipose tissu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03;112(12):1796-808. 

  6. Zeyda M, Stulnig T. Obesity,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a mini-review. Gerontology 2009;55(4):379-86. 

  7. Yu C, Chen Y, Cline GW, Zhang D, Zong H, Wang Y, et al. Mechanism by which fatty acids inhibit insulin activation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1(IRS-1)-associated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activity in muscle. J Biol Chem 2002;277(52):50230-6. 

  8. Shulman GI. Cellular mechanisms of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 2000;106(2):171-6. 

  9. 韓醫科大學 本草學 編纂委員會. 本草學. 서울: 永林社; 2004, p. 286. 

  10. 전동주, 차윤엽, 이은. 대황추출물의 염증반응 제어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1):35-46. 

  11. Rajala MW, Scherer PE. Minireview : The adipocyte-at the crossroads of energy homeostasis,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Endocrinology 2003;144(9):3765-73. 

  12. 임채민(보건복지부장관). 2011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 2012, p. 52. 

  13. 이재성, 이성현. 한방치료의 체지방 및 복부비만감소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1;(1)1:33-42. 

  14. 馬原臺, 張隱庵. 黃帝內經素問靈樞解析. 서울: 성보사; 1975, 素問, p. 224. 靈樞, p. 272-3. 

  15. 朱震亨. 新編 丹溪心法附餘. 서울: 대성문화사; 1993, p. 60-1. 

  16. 劉河間. 劉河間傷寒三六書. 서울: 성보사; 1976, p. 43. 

  17. 張介賓. 張氏類經. 서울: 성보사; 1982, p. 586. 

  18. 李仲梓. 醫宗必讀. 上海: 綜合出版社; 1976, p. 10. 

  19. 傅靑主. 傅靑主男女科. 서울: 대성문화사; 1984, p. 106. 

  20. 권오준, 이승욱, 백선호, 한수련, 안영민, 안세영, 등. 길경 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13;34(1):1-14. 

  21. 이지숙, 노현인, 윤다래, 이서라, 류재환. 상엽의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쥐에 대한 조직학적 및 혈청학적 항비만 효과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33(3)306-16. 

  22. 백선호, 한수련, 안영민, 안세영, 이병철. 신곡 투여가 비만형 제 2형 당뇨병 동물모델의 대사 인자와 지방조직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12;33(3):33-45. 

  23. 최선욱, 김동훈, 최승범, 박근희, 김용성. 단삼투여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당뇨병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33(4):429-37. 

  24. 박종설, 이병철, 두호경, 안영민, 안세영. 수풍순기환 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2):257-69. 

  25. 박상우, 조충식, 김철중. 야관청혈탕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흰쥐의 비만 억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32(2):170-87. 

  26. 임소연. 감비탕을 복용한 비만환자 22례에 대한 임상보고. 동서의학 2011;36(4):51-7. 

  27. 오성원, 김병우. 조위승청탕 추출액이 비만유도 쥐의 지질대사, 항산화계 및 염증반응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3;34(1):1-13. 

  28. 유은주, 서병관, 남상수, 강성길.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생쥐에서 창출약침의 항비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10;27(6):31-42. 

  29. 한수련, 백선호, 권오준, 안영민, 이병철, 안세영. 산수유, 산약, 지각, 상엽으로 구성된 복합처방 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당뇨병 동물모델의 대사인자 및 지방세포 염증반응 조절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12;33(3):184-99. 

  30. 류혜선, 김성필, 김승만, 이동근, 이욱재, 이주희, 등. 脾兪(BL20) 大黃약침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肥滿白鼠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의학회지 2012;29(3):9-18. 

  31. 박철환, 정인철, 이상룡. 大黃이 Alzheimer's Disease 病態 모델에 미치는 影響. 동신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1):67-80. 

  32. Arita Y, Kihara S, Ouchi N, Takhashi M, Maeda K, Miyagawa J, et al. Paradoxical decrease of an adipose-specific protein, adiponectin, in obesity.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999;257:79-83. 

  33. Bjorntorp P. The regulation of adipose tissue distribution in human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1996;20(4):291-302 . 

  34. Bonora E, Targher G, Alberiche M, Bonadonna RC, Saggiani F, Zenere MB, et al.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closely mirrors the glucose clamp technique in the assessment of insulin sensitivity. Diabetes Care 2000;23:57-63. 

  35. Martin BC, Warram JH, Krolewski AS, Bergman RN, Soeldner JS, Kahn C. Role of glucose and insulin resistance in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results of a 25-year follow-up study. Lancet 1992;340:925-9. 

  36. Maeda N, Shimomura I, Kishida K, Nishizawa H, Matsuda M, Nagaretani H, et al. Diet-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mice lacking adiponectin/ACRP30. Nature Medicine 2002;8(7):731-7. 

  37. Cai D, Yuan M, Frantz DF, Melendez PA, Hansen L, Lee J, et al. Local and systemic insulin resistance resulting from hepatic activation of IKK- and NF-B. Nature Medicine 2005;11:183-90. 

  38. Oliver E, McGillicuddy F, Phillips C, Toomey S, Roche HM. The role of inflammation and macrophage accum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obesity-induced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he possible therapeutic effects of long-chain n-3 PUFA. The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2010;69(2):232-43 . 

  39. Li P, Lu M, Nguyen MTA, Bae EJ, Chapman J, Feng D, et al. Functional heterogeneity of CD11c-positive adipose tissue macrophages in diet-induced obese mice. Jou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10;285(20):15333-45. 

  40. Hotamisligil GS, Spiegelman BM. Tumor necrosis factor $\alpha$ : a key component of the obesity-diabetes link. Diabetes 1994;43:1271-8. 

  41. Peraldi P, Spiegelman B. TNF- $\alpha$ and insulin resistance: Summary and future prospects. Molecular and cellular biochemistry 1998;182:169-75. 

  42. 이귀녕, 권오헌. 임상병리파일. 서울: 의학문화사; 2003, p. 720. 

  43. Thompson KC, Trowern A, Fowell A, Marathe M, Haycock C, Arthur MJ, et al. Primary rat and mouse hepatic stellate cells express the macrophage inhibitor cytokine interleukin-10 during the course of activation in vitro. Hepatology 1998;28(6):1518-24. 

  44. Pietilainen KH, Kannisto K, Korsheninnikova E, Rissanen A, Kaprio J, Ehrenborg E, et al. Acquired obesity increases CD68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decreases adiponectin gene expression in adipose tissue: a study in monozygotic twin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6;91(7):2776-8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