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엑시머레이저 치료를 경험했던 백반증 환자가 한방복합치료와 엑시머레이저 병행치료로 호전된 치험 4례
Four cases of vitiligo patients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reatment who have experienced Excimer Laser treatment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7 no.3, 2014년, pp.205 - 212  

이진혁 (우보한의원) ,  김세윤 (우보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e effects of an oriental medical complex therapy on vitiligo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Eximer laser therapy. Method: The study conducted its investigation targeting these four patients who have not been observed with any satisfactory reaction to the Eximer l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는 양방병원에서 백반증으로 진단받고 20회 이상 꾸준히 엑시머레이저 치료를 하였으나 큰 호전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던 환자에게 백반증치료를 위한 한방복합치료를 시행하고 엑시머레이저 치료를 병행한 결과 빠른 시간 안에 유의한 호전반응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반증이란? 백반증은 멜라닌 세포의 소실로 인해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피부에 나타나는 백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탈색소 질환이다. 유병율은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0.
백반증의 원인은 무엇인가? 백반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가면역설, 신경체액설, 멜라닌세포 자가파괴설 등이 논의되고 있다3).
백반증의 유병율은? 백반증은 멜라닌 세포의 소실로 인해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피부에 나타나는 백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탈색소 질환이다. 유병율은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0.5∼2% 정도로 비교적 흔하며 인종이나 성별의 차이는 없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 HG, Yun SJ, Lee JB, Kim SJ, Won YH, Lee SC. A Clinical Study of 265 Patients with Vitiligo in the Gwangju Chonnam province. Korean J Dermatol. 2005;43:1316-20. 

  2. Jeon EK, Park YO, Seo YJ, Lee JH, Park JK.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Vitiligo Patients. Korean J Dermatol. 2008;46:874-80. 

  3. Yu HJ, Park KC, Ahn JS, Lim JG, Kwon TE, Koh WS, et al. Clinical Study of Vitiligo. Korean J Dermatol. 1998;36:1037-42. 

  4. Lee Y, Seo YJ, Lee JH, Park JK. Therapeutic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High-dose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and PUVA in Vitiligo Patients. Korean J Dermatol. 2006;44:288-94. 

  5. Zhang XY, He YL, Dong J, Xu JZ, Wang J. Clinical Efficacy of a 308 nm Excimer Laser in the Treatment of Vitiligo.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2010;26:138-42. 

  6. Choi KH, Park JH, Ro YS. Treatment of Vitiligo with 308-nm xenon-chloride Excimer Laser: Therapeutic Efficacy of Different Initial Doses according to Treatment Areas. J Dermatol. 2004;31:284-92. 

  7. Chao YF. Treatise o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Diseases. Taipei; Jiwenshuju. 1965:302. 

  8. Lee SD. A Documentary Study on Herd, Dmgs used for Vitiligo:With an Emphasis on Classifying Kinds, Excess and Weakness Syndrome, the Changes of Medical Methods and Factors by each Epoch Mentioned in the Relative Documentary Records. J Korean Orient Med. 1995;16(2):44-61. 

  9. Lee SD. A Study of Vitiligo on the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Approch. The Journal of Wonkwang Oriental Medicine. 1991;1(1):61-9. 

  10. Lee SD. A Study of Vitiligo on the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Approch. The Journal of Wonkwang Oriental Medicine. 1992;2(1):214-20. 

  11. Kim Jung Ho, Chae,BY. Clinical study on patient with vitiligo.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1987;8(2):90-4. 

  12. Moon Na Rang, Kim SY, Lee JH, Lee JB, Park SM. Stimulating Effect of Modified Goa-Gi-Um Herbal Remedy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Korea J Herbol. 2013;28(3):69-74. 

  13. Novak Z, Bonis B, Baltas E, Ocsovszki I, Iqnacz F, Dobozy A, et al. Xenon Chlride Ultraviolet B Laser is More Effective in Treating Psoriasis and Inducing T cell Apoptosis than Narrow-band Ultraviolet B. Photochem Photobiol B. 2002;67:32-8. 

  14. Hadi SM, Spencer JM, Lebwohl M. The Use of the 308-nm Excimer Laser for the Treatment of Vitiligo. Dermatol Surg. 2004;30:983-6. 

  15. Hong SB, Park HH, Lee MH. Short-term Effects of 308-nm Xenon-chloride Excimer Laser and Narrow-band Ultraviolet B in the Treatment of Vitiligo: A Comparative Study. J Korean Med Sci. 2005;20:273-8. 

  16. Choi KH, Park JH, Ro YS. Treatment of Vitiligo with 308-nm Xenon-chloride Excimer Laser: Therapeutic Efficacy of Different Initial Doses according to Treatment Areas. J Dermatol. 2004;31:284-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