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에 관한 연구 -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ototype Landscape of Dosangugok - Focused on Valley4 Booncheon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2 no.2, 2014년, pp.95 - 105  

박은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장운기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윤민규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조병상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산구곡(陶山九曲)은 경북 안동시 도산면에 소재한 도산구곡 중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원형경관을 분석하였다.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을 추정하기 위하여 "농암집(聾巖集)", 시 문(詩文) 등 고문헌을 조사한 뒤 경관요소를 추출하고 현지조사에서 확인 가능한 경관요소를 제시하였으며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분천마을의 배치를 추정하였다. 시문분석에서는 29개의 경관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현지조사 결과 이중 점암(자리바위), 농암(聾巖:귀먹바위), 사자석(獅子石: 사자바위), 상암(象巖: 코끼리바위), 대(臺), 분강 등 6개소가 현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회화 작품에서는 분강과 인접한 바위 위의 애일당과 그 뒤쪽 마을 안에 분천서원, 분강변의 귀먹바위, 점암 등 바위가 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측량은 분천마을의 농암종택 옛 터를 중심으로 농암 이현보의 17대 종손(이성원 박사)과 인터뷰 및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도면화 하고 이 일대의 추정도를 작성하여 원형경관을 재현코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sangugok is located at Dosan-myeon, Andong City, Gyeongbuk and its original landscape was analyzed based on Valley4 Buncheon among Dosangugok. In order to estimate original landscape of Dosangugok, landscape elements were extracted after investigating ancient literatures including 'Nongamjib'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분천이 표현된 회화작품은 분천헌연도(汾川獻燕圖)와 분강촌도(汾川村圖)가 유일하며 이외에 도산도와 도산서원도에 분천마을과 애일당이 간단하게 위치정도만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천헌연도, 분강촌도 두 작품과 강세황(姜世晃,)의 도산서원도(陶山書院圖, 1751)에 표현된 분천마을을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안동시 도산면에 조성된 도산구곡의 경관요소를 파악하고 제4곡 분천의 측량과 추정도 작성을 시도하여 원형경관을 재현하고자 하였으며, 분천마을의 애일당을 진경산수화수법으로 추정하여 그림으로써 도산구곡 원형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산구곡의 제4곡 분천과 관련된 시문, 고서화, 경관요소,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경관요소와 분천마을의 건물 위치 등을 파악하여 원형경관을 재현하고자 진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곡명이 명시된 도산구곡시는 대부분 18세기 중・후반에 창작되었으며 명칭이 인물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량산과 관련된 퇴계의 시(詩)・문(文) 등을 모아 기록한 봉강(鳳岡) 이만여(李晩與: 1861~1904)의 『오가산지(吾家山誌)4)』에 명시되어 있는 곡명을 바탕으로 진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곡원림을 본받아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무엇을 하였는가? 구곡원림(九曲園林)은 중국 복건성에 위치한 무이산(武夷山) 무이천(武夷川)에 남송(南宋)의 유학자 주희(朱熹: 1130∼1200)가 아홉 굽이를 설정하고 이를 무이구곡(武夷九曲)이라한데서 기원하였다. 유교를 숭배하던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은 이를 본받아 산수가 수려한 명산에 정사(精舍)를 짓고 경치를 감상하였으며 무이구곡을 자연과 일체되는 천인합일의 영감을 얻는 정신적 지향이자 주희의 철학, 자연관, 생활태도가 전승되는 유교적 성지로 여겼다. 조선시대의 구곡문화는 무이도가(武夷櫂歌)의 수용으로부터 시작 되었으며.
구곡원림은 무엇에서 기원하였는가? 구곡원림(九曲園林)은 중국 복건성에 위치한 무이산(武夷山) 무이천(武夷川)에 남송(南宋)의 유학자 주희(朱熹: 1130∼1200)가 아홉 굽이를 설정하고 이를 무이구곡(武夷九曲)이라한데서 기원하였다. 유교를 숭배하던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은 이를 본받아 산수가 수려한 명산에 정사(精舍)를 짓고 경치를 감상하였으며 무이구곡을 자연과 일체되는 천인합일의 영감을 얻는 정신적 지향이자 주희의 철학, 자연관, 생활태도가 전승되는 유교적 성지로 여겼다.
조선시대의 구곡문화는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는가? 유교를 숭배하던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은 이를 본받아 산수가 수려한 명산에 정사(精舍)를 짓고 경치를 감상하였으며 무이구곡을 자연과 일체되는 천인합일의 영감을 얻는 정신적 지향이자 주희의 철학, 자연관, 생활태도가 전승되는 유교적 성지로 여겼다. 조선시대의 구곡문화는 무이도가(武夷櫂歌)의 수용으로부터 시작 되었으며. 구곡원림 경영과 시가 (詩歌)나 구곡도(九曲圖)의 형식으로 전승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