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복궁 경회루 권역의 식생경관원형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ting Improvement and Original Landscape of Gyeonghoeru Area in Gyongbokkung Palac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6, 2018년, pp.17 - 25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정슬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회루 권역의 경관개선을 위해 원형을 고찰하고, 수목 생장예측모델을 추정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식재경관의 개선방안에 대한 검증을 위해 만세산에 식재된 수목에 대한 사진측량을 진행하였다. 만세산 송림의 생장율을 알아보기 위해 Pressler 공식을 이용하고, 시뮬레이션을 제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조사 및 경관분석 결과, 경회루 권역의 수목들은 수양벚나무와 감나무를 제외하고 흉고직경 30cm 이상의 대교목으로 특히 경관을 차폐하는 만세산의 송림과 북쪽 화계의 수목들에 대한 전정을 통해 관리하거나, 작은 수목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목생장율 측정 결과, 평균 10년을 기준으로 남측 만세산은 근원직경 14%, 수고 5%가 북측 만세산은 근원직경 7%, 수고 2.4% 만큼 생장하였다. 나아가 산출된 수목생장률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작성했을 때 20년 후에는 경회루 2층에서 경관 또한 만세산의 송림이 인왕산의 스카이라인을 차단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경관개선 시뮬레이션을 분석하여 경회루 권역의 경관을 조망하기 위한 수목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회루 권역의 식재경관을 고증하고 효율적인 정비방안을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optimum height of trees, estimating a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ree growth for the landscape improvement of the Gyeonghoeru area. For the verification of measures for management, this study conducted a photographic survey of the Gyeonghoeru area and u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경복궁 경회루 권역을 대상으로 식재경관의 변화를 고찰하여 경관의 원형을 정의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식재경관의 변화는 문헌과 사진자료를 수집하여 해석하고 경관의 원형을 고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회루를 관람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보존과 복원에 치중했던 문화재 관리의 정책이 문화유산의 국민 향유와 지속가능한 활용으로 전환됨에 따라 궁궐 문화유산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과 감상이 확대되고 있다. 경복궁 중에서도 경회루 1층과 2층 내부에 특별 관람 프로그램이 2004년 시범 개방기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경회루에 오르면 만세산(萬歲山)의 울창한 소나무들이 외부로의 조망을 가리고 있어, 인왕산과 북악산의 장엄한 전경을 두루 감상하기 어렵다.
경회루는 태종실록에 어떻게 적혀 있는가? 본래 경복궁 침전 서쪽의 작은 누각으로 지었던 것을 태종 때 크게 연못을 파고 장대하게 조성하였다. 《태종실록》 12년(1412) 4월 기사를 보면 '경복궁에 새로 큰 누각을 서쪽 모퉁이에 지었다.'고 하였다. 공조판서 박자청(朴子靑)이 감독하여 못을 파서 사방을 둘렀다고 하였다.
문화재 관리의 정책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보존과 복원에 치중했던 문화재 관리의 정책이 문화유산의 국민 향유와 지속가능한 활용으로 전환됨에 따라 궁궐 문화유산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과 감상이 확대되고 있다. 경복궁 중에서도 경회루 1층과 2층 내부에 특별 관람 프로그램이 2004년 시범 개방기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B. S. (2000) A Study on the Growth of Landscaping Trees in an Apartment Sites of a New Town in Metropolitan Area: Case Study in Chowon Village of a New Town, Pyongchon. Master's Thesis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2. Choi, J. H., J. K. Lee and Y. K. Kim (2002)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neighbor on rear garden Naksonjae in Changdok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 (1): 60-68.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0) Gyeonghoeru Measurement Survey and Repair. 

  4. Cultural Property Bureau (1994) Gyongbokkung Restoration Maintenance Planning. 

  5. ICOMOS (1981) Historic Gardens. 

  6. Jo, P. Y. and S. R. Choi (2008) Our Culture and History in Photography. Seomundang. 

  7. Kang, T. H., J. H. You, H. X. Zhao and H. Li (2011) Analysis on trail deterioration in Wolseong, Gyeongju-si: Focused on assessing impact rating class. Journal of Korean Insti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 (3): 33-39. 

  8. Kim, J. K., J. H. Yoo and J. H. Hwang (1998)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spatial organization of the Gyeonghoeru in Gyongbokku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 (1): 159-168. 

  9. Kim, C. S., J. Y. Lee and Y. M. Kim (2011) A study on the methods of multiple sight surface and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for the forest scape management around the Myeong-Hwal fortress. Journal of Korean Insti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 (4): 78-86. 

  10. Lee, S. H. and I. C. Zho (2005) On the architecturally planned logic system of Gyeonghoeru Pavilion in Gyongbokkung Palace: Concentrating on the book of Gyeonghoeru Pavilion (慶會樓全圖) written by Jeong Haksu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4 (3): 39-52. 

  11. Lee, O. H. and K. J. Lee (1999) Optimal planting spacing on the basis of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tree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 (1): 34-48. 

  12. 10.9715/KILA.2012.40.6.140 Oh, C. H. and E. H. Park (2012) A study on optimum tree planting density for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 (6): 140-147. 10.9715/KILA.2012.40.6.140 

  13. Sim, J. A. (2016) The Shift in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and Conservation Principles of ICOMOS Charters and Its Significance, Master's Thesi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Korea. pp. 50-53. 

  14. The Institue of Seoul Studies (1994) Seoul Studies Translation Series 1, Gunggueolji (宮闕志) 1, Gyongbokkung․Changdokkung. pp. 31-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