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Depression on the Self-Esteem in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3, 2014년, pp.353 - 361  

박태희 (수성구정신건강증진센터) ,  이경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improving self-esteem under the influences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 metropolitan city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from Aug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시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자아존중감과 상관성이 있는 요인을 기초로 청소년기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우울의 다양한 관련 변수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포괄적 으로 규명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 발달이 중요한 이유는? 발달 이론가들은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급격한 변화와 과다한 과업 그리고 이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상태, 역할 혼란, 복잡한 적응 문제 등을 지적하였다(Kim & Lee, 2010; Oh, 2010). 청소년기의 긍정적인 자아발달은 건강하고 성숙한 성인으로서 성장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아존중감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능력, 중요성 등 자신의 가치성을 평가, 판단하고 개인의 행동과 적응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서 생활의 만족과 행복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에 인생의 결정적 시기인 청소년기에서 자아존중감의 형성은 더욱 중요하다 (Coopersmith, 1967; Han & Kim, 2006).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발달단계로서 신체적 변화와 더불어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는 그 어느 발달단계보다도 적응과 발달이 중요한 시기이다. 발달 이론가들은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급격한 변화와 과다한 과업 그리고 이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상태, 역할 혼란, 복잡한 적응 문제 등을 지적하였다(Kim & Lee, 2010; Oh, 2010).
청소년기 아이들이 우울을 경험하는 이유는? 청소년기의 우울은 이들이 경험하는 발달과정 상의 큰 변화와 관련이 있다. 청소년들은 자기 정체감이 형성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주위의 환경이나 자극에 의해 감정변화가 쉽게 일어나며 각종 스트레스나 부담감을 조정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과격하게 표현하거나 위축되어 우울감을 경험하기도 한다. Oh (1998)의 연구에 의하면 우울이 증가하면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낮은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대하여 가장 취약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2. Bowlby, J. (1977).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I. Aetiology and psychopathology in the light of attachment theory. An expanded version of the fiftieth maudsley lecture, delivered before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19 November 1976.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0(3), 201-210. 

  3. Chae, Y. Y. (2006). Correl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ttachment,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Charles, W., & Patricia, K. (2006). Development psychopathology. Boston: McGraw-Hill. 

  5. Cho, H. J. (2006).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anxiety in adolescence: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Choi, B. G., & Jeon, G. Y. (199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esteem inventory(I).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1(2), 41-54. 

  7.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H Freeman. 

  8. Freeman, H., & Brown, B. B. (2001). Primary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Differences by attachment styl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6), 653-674. 

  9. Han, E. G. (1993). Children's and adolescents' depression, attributional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2(3), 147-157. 

  10. Han, S. S., & Kim, K. M. (2006). Influencing factors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1), 37-44. 

  11. Jeong, S. W. (2002).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Kim, G. S., Jeon, Y. S., & Lee, C., W. (2009). The influence of attachment, 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17(1), 209-224. 

  13. Kim, J. Y., & Lee, H. S. (2010). The effects of family and peer relationships on adolescents'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22(1), 21-32. 

  14. Kim, N. H. (2000). Study o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atterns and adolescents' ego-identity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neung University, Gangneung. 

  15. Kim, S. H. (2009).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parent-and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by adolescents' gend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7(5), 101-113. 

  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Retrieved August 30, 2013, from http://kosis.kr/wnsearch/search.jsp 

  17. Kovacs, M. (1981). Rating scales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Acta Paedopsychiat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6(5), 305-315. 

  18. Leathers, S. J. (2000). Behavioral disturbance among foster children: The role of detachment from caregivers and community institution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19. Lee, E. G., & Park, S. Y.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dolescents' depressive experiences,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he importance of self-identity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8(4), 101-123. 

  20. Oh, S. H. (1998). The relation among adolescent's attachment self esteem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gang University, Seoul. 

  21. Oh, S. H. (2010).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elf-esteem form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2. Park, A. G.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s' parental attachment and their depression & social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Park, E. Y. (2011). Protective factors that influence up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University Korea, Gwangju. 

  24. Pope, A. W., McHale, S. M., & Craighead, W. E. (1988). Self-esteem enhance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Elmsford, NY: Pergamon Press. 

  25. So, M. G. (2008). The study on parenting from the perspective of juvenile, their self esteem and mis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