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를 위한 융합교육(STEAM)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STEAM Education Materials for Gifted Student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4, 2014년, pp.703 - 728  

태진미 (숭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의적 지식의 생산자 양성을 위한 융합형 영재교육의 일환으로서 STEAM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문헌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문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영재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STEAM교육 자료를 개발했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타당도 및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영재 STEAM교육 자료는 교재 구성의 적절성과 학습 만족도, 융합적 사고능력의 함양 면에서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의 상황은 STEAM 중심의 융합형 교육의 정책적 강조와 활성화 노력에 비해 영재를 위한 STEAM교육의 필요성이나 방향 등에 대한 근본적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영재 STEAM교육에 관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STEAM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cademically examined about whether STEAM education is really needed, as part of the convergence-style gifted education for training a producer in creative knowledge, through the documentary and Delphi survey. Based on the results, it developed STEAM education materials available for be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란?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영재’란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영재교육진흥법 제2조)’를 말한다. 한편 국내 영재교육현장에서 지칭하는 ‘영재’의 조작적 정의는 ‘공식 선정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선발된 영재교육대상자’를 말하며, ‘영재교육’은 영재학생들의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국가‧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시행한다(영재교육진흥법 제1조).
창조경제의 정의는 무엇인가? 2013년 10월에 발표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에 따르면 정부는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 인재 육성 방안’의 세부 후속 계획으로서 ‘영재교육을 통한 개인의 창의성과 잠재력 발현의 지원’을 통해 미래 국제사회에서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도모하고 있다. 현 정부가 제시한 ‘창조경제’의 정의는 창의성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발전시킨 과학기술과 ICT 를 활용하여 산업과 산업, 산업과 문화가 만나서 새로운 일자리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경제를 말한다(김도훈, 2014). 물론 창조경제의 용어에 대한 해석과 견해는 다양할 지라도, 독창적 원천 과학기술과 인간의 감성과 필요에 호응하는 과학기술, 문화로서 향유되고 소통하는 과학기술 등을 실현하는 창의적 과학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며(김왕동, 2012; 송진웅, 2008), 이것이 곧 향후 국내의 영재교육이 지향해야할 비전이라는 점에서 많은 전문가들이 공감하고 있다.
도적으로 ‘타 분야의 지식’과 ‘기능’ 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할 때 혁신적인 창조적 성취로 연결될 수 있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반면에 Cox(1926), Cranefield(1966), Milgram과 Hong(1993), White(1931) 등과 같은 심리학자들은 의도적으로 ‘타 분야의 지식’과 ‘기능’ 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할 때 혁신적인 창조적 성취로 연결될 수 있다고 본다. 높은 수준의 혁신과 창조적 성취를 가능하게 하는 다중적 능력들은 결코 저절로 개발되거나, 유전적으로 타고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즉, 일반인보다 훨씬 더 창의적인 사람일수록 박식가적 성향이 강해 심도 깊은 관심분야가 많았고 다양했으며, 폭넓은 호기심의 표출과 발현이 가능한 환경에서 성장했다고 보는 견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STEAM 가이드북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 교육부 (2013). "영재교육 최적화를 통한 창조적 인재육성"을 위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서울: 교육부(창의인재정책관) 

  3. 김권숙, 최선영 (2012). 과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16-226. 

  4. 김도훈 (2014). 창의성과 창조경제. 2014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17. 

  5. 김진수 (2012). STEAM 교육론. 서울: 양서원. 

  6. 김왕동 (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7. 김태미 (2014). STEAM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중등 수학 영재의 창의성 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8. 김태훈 (2013).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9. 맹희주 (2013).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영재교육연구, 23(6), 981-1001. 

  10. 박병열, 이효녕 (2014).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3), 421-444. 

  11. 박인호 외 (2014). 융합형 과학영재교육 모델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보고서.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2. 백윤수 외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13. 백희수 (2013). 수학영재를 위한 STEAM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학교수학, 15(4), 867-888. 

  14. 서예원 외 (2011).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수탁연구 CR 2011-6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서울시교육청 (2013). 제3차 서울영재교육발전계획. 서울시교육청 중등교육과. 

  16. 송진웅 (2008). 과학기술, 교육, 문화의 융합 시너지 효과 제고를 위한 한국과학창의재단 운영방안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과제 2008-26. 

  17. 왕희경 (2014).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영재 지도교사와 예비 영재 지도교사의 인식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18. 이재분 외 (2012). 초중등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의 융합인재교육(STEAM) 적용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정상윤, 손정주 (2013).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학회지, 37(2), 359-373. 

  20. 조선미, 한기순 (2014). 비인지적 영역 영재교육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연구, 24(1), 45-61. 

  21. 조영은 (2013). 초.중학교 융합영재프로그램의 융합요소와 교수학습 전략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2. 조현미 (2014). 영재교육원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내용영역 및 교육형태의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23. 최보라 (2013). 영재학생들의 창의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인재교육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4.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25. 태지훈 (2013). 영재를 위한 차별화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방향 모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26. 태진미 (2010).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26집, 241-273. 

  27. 태진미 (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1011-1032. 

  28. 태진미 외 (2014), 초중등 영재 융합교육 자료집. 서울: 서울시과학전시관. 

  29. 한국교육개발원 (2013). 영재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자료 SM 2013-01 

  30.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 CO: Westview. 

  31. Baer, J. (1998).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in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nal, 11, 173-177. 

  32. Carey, S., & Spelke, E. (1994). Domain specific knowledge and conceptual change. In L. A. Gelman (Eds.), Mapping the mind: Domain specificity in cognition and culture (pp. 169-20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Cox, C. M. (1926). The early mental traits of three hundred geniuse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4. Cranefield, P. (1966). The philosophical and cultural interests of the biophysics movement of 1847. Journal of the History of Medicine, 21, 1-7. 

  35.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36. Davis, G. A. & Rimm, S. B. (2009). 영재교육.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공역]. 서울: 박학사. (원본출간년도: 2004) 

  37. Drake, S. M., & Burns, R. C. (2006). 통합교육과정. [박영무, 강현석, 김인숙, 허영식 공역]. 서울: 원미사. (원본출간년도: 2004) 

  38. Feist, G. J. (2005). Domain-specific creativity in the physical sciences. In J. C. Kaufman & . J. Baer (Eds.), Creativity across domains: Faces of the muse (pp. 123-138). Mahwah, NJ: Lawrence Erlbaum. 

  39.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40. Gardner, H. (1999). Intelligence remin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Basic Books. 

  41. Karmiloff-Smith, A. (1992). Beyond modularity: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cognitive science. Cambridge, MA: MIT Press. 

  42. Kaufman, J. C., & Baer, J. (Eds.). (2005). Creativity across domains: Faces of the muse (pp. 313-320). Mahway. NJ: Lawrence Erlbaum. 

  43.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44. Milgram, R., & Hong, E. (1993).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formance in adolescents as predictors of creative attainments in adults: A follow-up study after 18 years. In R. Subotnik & K. Arnold (Eds.). Beyond Terman: Langitudinal studies in contemporary gifted education. Norwood, NJ: Ablex. 

  45.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Retrieved from http://www3.nd.edu/-nismec/articles/framework-science% 20standards.pdf 

  46. Okoli, C., & Pawlowski, S. D. (2004).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 Information & Management, 42(1), 15-29. 

  47. Plucker, J., Beghetto, R. A., & Dow, G. (2004).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otential,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 83-96. 

  48. Root-Bernstein, R. (2009). Multiple Giftedness in Adults: The Case of Polymaths. In L.V. Shavinina(Eds.), International Handbook on Giftedness (pp. 853-872), Quebec: Springer. 

  49. Sternberg, R. J, Grigorenko, E., & Singer, J. L. (Eds.). (2004).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0. White, R. K. (1931). The versatility of geniu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 4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