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관련변인과 영유아발달의 관계 : 종일제 보육과 어머니 단독양육의 비교
The Relations between Familial Predictors and Infant-Toddler Development: Comparison between Full-Time Child Care vs. Exclusive Mother Car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4, 2014년, pp.159 - 176  

장영은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유아기 종일제 어린이집 이용 여부에 따라 가족관련 변인이 영유아발달에 가지는 관계성의 강도가 다를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연구의 3차년도 및 4차년도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주당 30시간 이상의 어린이집 이용)집단과 어린이집이나 대리양육자를 이용하지 않는 어머니 단독양육 집단을 추출하여, 일련의 가족관련 변인과 영유아의 발달적 결과 간의 관계성의 양상과 그 강도를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이변량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상관계수 간의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만2세의 경우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유형이 영아의 의사소통을 정적으로 예측하는데 있어 종일제 어린이집을 사용하는 가족에서 그 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만 3세 때에는 가정환경검사 중 다수의 하위변인에서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가족의 경우,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강한 상관관계로 표현어휘 및 수용어휘 발달을 예측하였다. 즉, 어린이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 가정환경 외에 다른 요인이 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들 변인 외에 분석에 사용된 다양한 변인과 영유아 발달 간의 상관관계에 집단차는 발견되지 않아 발달에 기여하는 가족과정이 종일제 어린이집과 어머니 단독양육 집단 간에 유사 또는 차별적이라고 단순히 결론 내릴 수 없고, 발달연령, 가족과정 내의 예측요인, 그리고 발달적 결과에 따라 다소 복잡한 유형으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ggestions by studies that family predictors are related to developmental outcomes more strongly for children reared principally by their parents compared to those with extensive child care experience. Zero-order correlations between family predictors and developme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런 가족변인의 발달적 예측력을 집중적인 어린이집 이용여부에 따라 비 교해본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연구 참여가족 중 종일제 어린 이집이용 유아와 대리양육을 이용하지 않는 어머니단독양육 집단의 하위샘플을 구성하여 영유아의 발달적 결과의 차이와 가족관련요인이 영유아의 발달과 가지는 상관관계의 유의성 및 강도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 2세와 만 3세 시기의 발달적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이는 보육관련 연구가 생애 초기 보육경험이 아동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보고, 만 3세 이전 보육경험이 가지고 올 수 있는 장단기적 영향력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온 것(Burchinal, 2000; NICHD ECCRN, 2000; 2001)에 기초하였다.
  • 본 연구는 영유아의 어린이집 이용이 증가하는 시기에, 가족 및 어머니 관련 요인이 자녀의 발달을 예측하는 정도가 어린이집 이용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을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하는 가족 중 종일제 어린이집을 일주일에 30시간 이상 이용하는 가족과 보육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어머니가 가정에서 주양육자로 자녀를 돌보는 가족을 추출하여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영유아 발달상의 두 시점 (만 2세와 만 3세) 의 자료를 분석하여 가족과정의 예측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유아가 일과의 대부분을 어린이집에서 보내는 경우와 어린이집이나 대리양육자를 이용하지 않고, 어머니가 주양육자로서 가정에서 자녀를 돌보는 경우, 가족관련 변인이 영유아 발달에 가지는 관계성의 강도가 다를 수 있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을 한국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인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머니와 보내는 시간이 현저하게 적을 수밖에 없는 종일제 보육이용 영유아의 경우에는 어머니 및 가족변인이 자녀발달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 역시 감소되며, 그 영향력의 공백을 보육이 담당할 것이라는 견해(Dunham & Dunham, 1992; Howes 1990)가 존재하는가 하면, 비록 어머니가 낮시간 동안의 주양육자가 아니라고 해도 영유아발달을 예측하는 가족과정의 일부는 크게 다르지 않거나 가족변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NICHD ECCRN, 1998).
  • 본 연구는 영유아의 어린이집 이용이 증가하는 시기에, 가족 및 어머니 관련 요인이 자녀의 발달을 예측하는 정도가 어린이집 이용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을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하는 가족 중 종일제 어린이집을 일주일에 30시간 이상 이용하는 가족과 보육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어머니가 가정에서 주양육자로 자녀를 돌보는 가족을 추출하여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영유아 발달상의 두 시점 (만 2세와 만 3세) 의 자료를 분석하여 가족과정의 예측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전국의 만 3세 이하 영유아 중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숫자는? 정부의 영유아무상보육의 확대정책에 따라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비율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 2013년 보육통계자료에 따르면, 2013년 12월 현재, 전국의 만 3세 이하 영유아 중 약 113만 여명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으며(보건복지부, 2014), 이는 2013년 전체 만 3세 이하 인 구의 61.5 %를 차지한다.
정부의 영유아무상보육의 확대정책에 따라 무엇이 증가하고 있는가? 정부의 영유아무상보육의 확대정책에 따라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비율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 2013년 보육통계자료에 따르면, 2013년 12월 현재, 전국의 만 3세 이하 영유아 중 약 113만 여명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으며(보건복지부, 2014), 이는 2013년 전체 만 3세 이하 인 구의 61.
영유아의 발달을 예측하는 가족변인 중 대표적인 것은? 영유아의 발달을 예측하는 가족변인은 매우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대표적인 변인으로는 사 회인구학적 변인이 있다. 낮은 가계소득 또는 그와 관련된 부모의 저학력과 같은 변인들은 영유 아기 발달과 깊은 관련이 있다(Duncan & Brooks-Gunn, 1997; Perkins, Finegood, & Swain, 2013; Ryan, Fauth, & Brooks-Gun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곽아정(1994).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및 가정의 문해환경과 유아의 읽기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3.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2009).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4. 김정미, 곽금주(2007).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 자극 척도(EC-HOME)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1), 115-128. 

  5. 김현옥(2013). 어머니의 우울이 영아의 심리.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3, 1-21. 

  6. 도현심(1997). 사회적 지지 및 부모역할만족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5(6), 127-135. 

  7. 민하영(2010). 어머니가 보고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행동조절 및 정서조절 관계에서 애정-거부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1-12. 

  8. 박성연, 도현심, 정승원(1996).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서울 : 학지사. 

  9. 백미정(2006).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표현어휘발달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보건복지부(2014). 2013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11. 신숙재, 정문자(1998).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12. 이강이, 성미영, 장영은(2008). 가정문해환경과 유아의 어휘 및 읽기 능력. 대한가정학회지, 46(10), 97-106. 

  13. 이근영(2000). 아동의 읽기 태도와 가정의 문해환경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재림, 옥선화(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5), 49-63. 

  15. 이정윤, 장미경(2009).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자녀양육관련 비합리적 사고의 매개 효과. 인지행동치료, 9(2), 1-16. 

  16. 이형민, 박성연, 서소정(2008).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2), 97-111. 

  17. 임순화, 박선희(2010).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51-278. 

  18. 조병은, 서동인, 신화용, 정현숙(1998). 편모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자원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1), 13-21. 

  19. 허계형, Squires, J., 이소영, 이준식(2006). K-ASQ(한국형 Ages & Stages Questionnaires) 부모작성형 유아 모니터링 체계.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 Abidin, R. R. (1983).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Charlottesville, VA : Pediatric Psychology Press. 

  2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Charlottesville, VA : Pediatric Psychology Press. 

  22. Abidin, R. R. (1995). Parenting Stress Index(PSI ) manual (3rd ed.). Charlottesville, VA : Pediatric Psychology Press. 

  23. Abidin, R., Jenkins, C., & McGaughey, M. (1992). The relationship of early family variables to children's subsequent behavioral adjustmen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1), 60-69. 

  24. Andersson, B. (1989). Effects of public day care: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0(4), 857-866. 

  25. Belsky, J. (1988). The effects of infant day care reconsidere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3), 235-272. 

  26. Bornstein, M. H. (1985). How infant and mother jointly contribute to developing cognitive competence in the child.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82(21), 7470-7473. 

  27.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M. O., Painter, K. M., Galperin, C. Z.,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28. Bradley, R. H., Caldwell, B. M., Rock, S. L., Ramey, C. T., Barnard, K. E., Gray, C., Hammond, M. A., Mitchell, S., Gottfried, A. W., Siegel, L., & Johnson, D. L. (1989). Home environ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first 3 years of life: A collaborative study involving six sites and three ethnic groups in North America. Developmental Psychology, 25(2), 217-235. 

  29. Bradley, R. H., Corwyn, R. F., Burchinal, M., McAdoo, H. P., & Garcia Coll, C. (2001).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2: Relations with behavioral development through age 13. Child Development, 72(6), 1868-1886. 

  30. Breznitz, Z., & Sherman, T. (1987). Speech patterning of natural discourse of well and depressed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8(2), 395-400. 

  31.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32. Bronfenbrenner, U., & Morris, P. (1998). The ecology of developmental processes. In R. M. Lerner (Ed.),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Vol. 1 of the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5th ed.) (pp. 993-1028). Editor-in-chief: William Damon. NY : Wiley. 

  33. Burchinal, M. R., Roberts, J. E., Riggins, R., Zeisel, S., Neebe, E., & Bryant, M. (2000). Relating quality of center child care to early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longitudinally. Child Development, 71, 339-357. 

  34.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Administration Manual. Temple, AZ: Family & Human Dynamics Research Institute, Arizona State University. 

  35. Christian, K., Morrison, F. J., & Bryant, F. B. (1998). Prediction kindergarten academic skills: Interactions among child care, material education, and family literacy environ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501-521. 

  36.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3), 1015-1022. 

  37. Clake-Stewart, K. A., Gruber, C. P., & Fitzgerald, L. M. (1994). Children at home and in day care.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38. Clarke-Stewart, K. A. (1989). Infant day care: Maligned or malignant?, American Psychologist, 44(2), 266-273. 

  39.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40. Crnic, K. A., Gaze, C. and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7-132. 

  41. Crnic, K. A., Greenberg, M. T., Ragozin, A. S., Robinson, N. M., & Basham, R. (1983).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others and premature and full-term infants. Child Development, 54(1), 209-217. 

  42. Cummings, M., Davies, P. T., & Campbell, S. B. (2001). Understanding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 Brown University Child & Adolescent Behavior Letter, 17(5), 1-4. 

  43. Duncan, G. J, & Brooks-Gunn, J. (1997). Incomes effects across the life span: Integration and interpretation. In G. J. Duncan, & J. Brooks-Gunn (Eds.), Consequences of Growing Up Poor (pp. 596-610). New York : Russell Sage Foundation. 

  44. Dunham, P., & Dunham, F. (1992). Lexical development during middle infancy: A mutually driven infant-caregiver process. Developmental Psychology, 28(3), 414-420. 

  45. Erel, O., Oberman, Y., & Yirmiya, N. (2000). Maternal versus nonmaternal care and seven domains of children's development. Psychological Bulletin, 126(5), 727-747. 

  46. Feldman, R., Eidelman, A. I., & Rotenberg, N. (2004), Parenting stress, infant emotion regulation, maternal sensitivity,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triplets: A model for parent and child influences in a unique ecology. Child Development, 75(6), 1774-1791. 

  47. Howes, C. (1990). Can the age of entry into child care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predict adjustment in kindergarten? Developmental Psychology, 26(2), 292-303. 

  48. Jennings, K., & Connors, R. (1989). Mothers' interactional style and children's competence at 3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2(2), 155-175. 

  49.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L. T., Walters, E. E., & Zaslavsky, A.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50. Kitzmann, K. M. (2000).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subsequent triadic family interactions and paren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6(1), 3-13. 

  51. Lamb, M. E. (1999). Nonparental child care. In Lamb, M. E. (ed.).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in Nontraditional Families. Mahwah, NJ : Lawrence Erlbaum. 

  52. Lyons-Ruth, K., Zoll, D., Connell, D., & Grunebaum, H. U. (1986). The depressed mother and her one-year-old infant: Environment, interaction, attachment, and infant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34, 61-82. 

  53. Magill-Evans, J. & Harrison, M. J. (2001). Parent-Child Interactions, Parenting Stress, and Developmental Outcomes at 4 Years. Children's Health Care, 30(2), 135-150. 

  54.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 (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New & Revised. San Francisco, CA : Jossey-Bass Publishers. 

  55. McCartney, K. (1984). Effect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0(2), 244-260. 

  56. Murray, L. (1992). The Impact of Postnatal Depression on Infant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3(3), 543-561. 

  57. Murray, L., Fiori-Cowley, A., Hooper, R., & Cooper, P. (1996). The impact of postnatal depression and associated adversity on early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later infant outcome. Child Development, 67(5), 2512-2526. 

  58.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8). Relations between family predictors and child outcomes: Are they weaker for children in child care? Developmental Psychology, 34(5), 1119-1128. 

  59.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0). The relation of child care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4), 960-980. 

  6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1). Nonmaternal care and family factors in early development: An overview of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2(5), 457-492. 

  61. Perkins, S. C., Finegood, E. D., & Swain, J. E. (2013). Poverty and language development: Roles of parenting and stress. Innovations in Clinical Neuroscience, 10(4). 10-19. 

  62. Ryan, R. M., Fauth, R. C., & Brooks-Gunn, J. (2006). Childhood poverty: Implications for school readines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 Sarachoc, & B. Spodek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nd ed., pp. 323-346). Mahwah, NJ: Erlbaum. 

  63. Schumm, W., Nicols, C., Schectman, K., & Grigsby, C. (1983).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Reports, 53, 567-572. 

  64. Voss, M. M. (1993). "I just watched": Family influences on one child's learning. Language Arts, 70(8), 632-6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