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수겨 분말 및 추출물 첨가가 유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ukwa Added with 'Donganme' Sorghum Bran Powder and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181 - 1188  

고지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우관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김정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석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재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정미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정태욱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윤영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오인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수의 건강기능성을 산업적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수 품종 중 항산화활성이 높은 '동안메'에서 활성이 가장 높은 부위인 수수겨가 첨가된 유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평가하여 '동안메' 수수겨 첨가에 의한 기능성 증진 및 산패 억제 효과를 검토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동안메' 수수겨 분말을 주정 100%로 추출한 뒤 동결건조를 통해 농축시킨 추출물과 수수겨 분말 자체를 찹쌀유과반대기에 첨가하였는데, 처리 수준은 수수겨 분말 1%, 5%로, 수수겨 추출물 0.1%, 0.5%, 1% 및 대조(찹쌀 100%)로 하였다. 유과의 단백질, 회분 및 무기성분 함량은 '동안메' 겨 추출물 및 대조구에 비하여 겨 분말의 첨가 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항산화성분인 유과 중 flavonoid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동안메' 겨 수수겨 1, 5% 및 수수겨 추출물 0.1, 0.5, 1% 첨가 시 1.6~17.1배,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8~7.4배, 2.3~13.6배 증가하였다. 가장 높은 항산화성분 및 활성을 나타낸 것은 '동안메' 수수겨추출물 1%가 첨가 시이며, 다음으로 겨 분말 5%, 겨 추출물 0.5%, 겨 분말 1%, 겨 추출물 0.1%의 순이었다. 색도와 팽화도로 유과의 품질 변화를 살려본 결과 수수겨가 첨가된 유과반대기 및 튀겨진 유과의 색도는 첨가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팽화도는 수수겨 분말 1%, 수수겨 추출물 0.1%, 0.5%가 첨가된 경우 대조구와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수수겨 분말 5%, 수수겨 추출물 1% 첨가 시 현저히 감소되었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팽화도와 마찬가지로 수수겨 5%, 수수겨 추출물 1% 첨가 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수수겨 추출물 0.5%를 첨가한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수수겨 분말 1%, 수수겨 추출물 0.1~0.5% 첨가로는 기호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수겨 가루 및 추출물이 첨가된 유과의 고온저장 중 산가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저장 20일부터 산가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의 산가가 높게 나타나고 수수겨 분말 첨가 시 증가가 완만히 일어나는 경향이었다. ABTS 라디칼소거능은 산가와는 달리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리별로는 초기의 항산화활성 차이가 35일까지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산화성, 산가 변화 및 유과의 품질특성 등을 고려할 때 '동안메' 수수겨는 분말로서 1%, 추출물로서 0.5% 미만으로 유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ukwa added with 'Donganme' sorghum bran powder and its extracts. 'Donganme' variety ha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sorghum varieties in Korea. The added contents of sorghum bran to Yukwa were 1% and 5% b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수수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활성 및 건강기능성을 식품 산업적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수 중 항산화활성이 높은 ‘동안메’에서 활성이 가장 높은 부위인 수수겨를 유과에 첨가하고 유과의 화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동안메’ 수수겨 첨가에 의한 유과의 기능성 증진 및 산패 억제 효과를 검토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 수수의 건강기능성을 산업적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수 품종 중 항산화활성이 높은 ‘동안메’에서 활성이 가장 높은 부위인 수수겨가 첨가된 유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평가하여 ‘동안메’ 수수겨 첨가에 의한 기능성 증진 및 산패 억제 효과를 검토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 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수는 무엇인가? 수수(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는 외떡잎 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밀, 옥수수, 쌀, 보리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중요한 식량작물로서 전 세계적으로 57백만 톤, 38백만 ha에서 재배되고 있다(1). 수수의 특징 적인 기능성은 phenolic compound가 풍부하다는 것으로 곡물 중 함량이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품종에 따라서는 수수의 약 6%에 이르기도 한다(2-5).
수수 신품종인 동안메의 특징은 무엇인가? 수수 ‘동안메’는 2009년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분양 받은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에서 분리육종법으로 육성하여 2013년 신품종 보호 출원한 수수품종이다. 수수 중에서도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대조품종인 ‘황금찰 수수’에 비하여 30% 이상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고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수수 유전자 원들 평균의 2배에 이르는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특징을 지닌 수수이다(15).
유과는 제조과정 중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유과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과자의 하나로 찹쌀을 주원 료로 탄수화물과 지질을 함유한 고칼로리 식품으로 높은 온도의 기름에서 제조되는 다공성 팽화식품으로 수침시간이 길며 미생물의 작용으로 발효식품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16). 유과는 제조과정 중 기름을 이용하여 팽화과정을 거치 는데 이로 인하여 저장 및 유통기간 중 기름의 산패가 발생 하여 악취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유과의 제조시 산패기간을 지연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래, 공기, 자갈, 소금 등 기름을 이용하지 않는 새로운 팽화방법 및 장미추출물, 유색미, 쑥 등 항산화 활성이 높은 부재료 첨가에 의한 산패의 연장 및 기능성의 증진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17-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FAO). 2011. FAOSTAT agricultural database 2012. http://faostat.fao.org/site/567/DesktopDefault.aspx?PageID567#ancor. 

  2. Deshpande SS, Cheryan M, Salunkhe DK. 1986. Tannin analysis of food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24: 401-449. 

  3. Beta T, Rooney LW, Marovatsanga LT, Tayler JRN. 1999. Phenolic compounds and kernel characteristics of Zimbabwean sorghums. J Sci Food Agric 79: 1003-1010. 

  4. Awika JM, Rooney LW. 2004. Sorghum phytochemicals and their potential aspects on human health. Phytochemistry 65: 1199-1221. 

  5. Dicko MH, Guppen H, Traore AS, Voragen AGJ, van Berkel WJH. 2006. Phenolic compounds and related enzymes as determinants of sorghum for food use. Biotechnol Mol Biol Rev 1: 21-38. 

  6. Brown DE, Rashotte AM, Murphy AS, Normanly J, Tague BW, Peer WA, Taiz L, Muday GK. 2001. Flavonoids act as negative regulators of auxin transport in vivo in arabidopsis. Plant Physiol 126: 524-535. 

  7. Parr AJ, Bolwell GP. 2000. Phenols in the plant and in man. The potential for possible nutritional enhancement of diet by modifying the phenols content or profile. J Sci Food Agric 80: 985-1012. 

  8. Hahn DH, Rooney LW. 1986. Effect of genotype on tannins and phenols of sorghum. Cereal Chem 63: 4-8. 

  9. Hahn DH, Rooney LW, Earp CF. 1984. Tannins and phenols of sorghum. Cereal Foods World 29: 776-779. 

  10. Beta T, Rooney LW, Marovatsanga LT, Tayler JRN. 2000. Effects of chemical treatments on polyphenols and malt quality in sorghum. J Cereal Sci 31: 295-302. 

  11. Woo KS, Seo MC, Kang JR, Ko JY, Song SB, Lee JS, Oh BG, Park GD, Lee YH, Nam MH, Jeong HS.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95-1699. 

  12. Devi PS, Saravanakumar M, Mohandas S. 2011. Identification of 3-deoxyanthocyanins from red sorghum (Sorghum bicolor) bran and its biological properties. Afr J Pure Appl Chem 5: 181-193. 

  13. Sa YJ, Kim J, Kim MO, Jeong HJ, Yu CY, Park DS, Kim M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lpha}$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98-604. 

  14. Kil HY, Seong ES, Ghimire BK, Chung IM, Kwon SS, Goh EJ, Heo K, Kim MJ, Lim JD, Lee D, Yu CY.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rude sorghum extract. Food Chem 115: 1234-1239. 

  15.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New variety and cultivation techniques of cereal crops. Miraecom, Suwon, Korea. p 123. 

  16. Lee SA, Kim C, Kim HI. 2000. Studies on the drying method of Gangjung pellets. Korean J Soc Food Sci 16: 47-56. 

  17. Lee JM. 2003. Antioxidant capability of a rose extract and its for making yukwa.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YS, Jung HO, Lee JO.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repared with pigmented r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29-533. 

  19. Yang 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repared with mugwort powder using different puffing proces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40-348. 

  20.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1.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2.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3.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 115-119. 

  24. Ko JY, Woo KS, Kim JI, Song SB, Lee JS, Kim HY, Jung TW, Kim KY, Kwak DY, Oh IS. 2013. Effect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y noodles with added sorghum flour by characteristics of endosper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227-1235. 

  25. Shi H, Noguchi N, Niki E. 2001. Galvinoxyl method for standardizing electron and proton donation activity. Methods Enzymol (Flavonoids and Other Polyphenols) 335: 157-166. 

  26. Grimmer HR, Parbhoo V, McGrath RM. 1992. Antimutagenicity of polyphenol-rich fraction from Sorghum bicolor grain. J Sci Food Agric 59: 251-256. 

  27. Ha TY, Cho IJ, Lee SH. 1998. Screening of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cereal and legu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24-229. 

  28. Wang J, Roe B, Macmil S, Yu Q, Murray JE, Tang H, Chen C, Najar F, Wiley G, Bowers J, Van Sluys MA, Rokhsar DS, Hudson ME, Moose SP, Paterson AH, Ming R. 2010. Microcollinearity between autopolyploid sugarcane and diploid sorghum genomes. BMC Genomics 11: 261-278. 

  29. Sung NY, Kweon SY, Park JN, Choi JI, Song BS, Kim JK, Kim JW, Kim JH. 2011. Effect of Yukwa containing green tea powder on lipid composition and body weight change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77-182. 

  3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994. Guideline of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technique on the Korean traditional cookie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ngnam, Korea. p 63. 

  31. Jo HB, Lee KK, Jeong HJ, Kim AK, Park KA, Yoon YT, Son YJ, Kim DI. 1998.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ukwa with storage condition. Rep Seoul Res Inst Public Heal Environ 34: 8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