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톳가루의 첨가가 열무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ed Harvey Powder on the Quality of Yulmoo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3, 2011년, pp.435 - 443  

문성원 (영동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이명기 (한국식품연구원 산업진흥연구본부 전통식품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의 세계화를 위하여 성인병 예방의 식품소재로 기대되는 열무와 혈관 내 콜레스테롤 침착 방지 및 항산화와 항암 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가진 톳을 이용하여 건강기능성이 있는 열무김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열무김치에 대한 톳가루 첨가량은 0, 0.1, 0.2, 0.3, 0.4%(w/w)로 하였고, $10^{\circ}C$에서 31일간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보았다. 관능적 특성평가 결과 외관은 발효 전반적으로 대조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냄새는 톳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수가 낮아졌으며 발효 전반적으로 대조구의 냄새를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톳가루 0.1% 첨가구를 선호하였다. 맛과 탄산미는 발효 3일에 톳가루 0.1%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조직감은 발효 6일에 톳가루 0.1% 첨가구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아 선호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발효 13일과 발효 17일에 톳가루 0.1% 첨가구의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pH는 모든 첨가구에서 초기 pH가 비슷하였고, 발효의 진행과 함께 발효 3일과 6일에 크게 낮아져서 전체기간 동안 모든 첨가구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산도는 pH와 비슷한 결과로 모든 처리구의 초기 산도가 비슷하였고, 발효 3일과 6일, 10일에 산도가 크게 증가하여 말기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환원당은 발효초기에는 모든 첨가구가 비슷하였고, 발효의 진행과 함께 모든 첨가구의 환원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였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첨가구에서 발효 10일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가 발효 17일에 크게 감소하여 발효 20일에 약간 증가한 후 말기까지 유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0일에 톳가루 0.3% 첨가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고, 그 이후로는 모든 첨가구에서 약간 증가하여 말기까지 유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항산화 효과는 톳가루 0.1%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총 균수와 젖산균수(Lactobacillus sp.)는 비슷한 결과로 발효 초기에 모든 첨가구가 비슷하였고, 발효 3일과 6일에 크게 증가하였다가 발효 17일에 감소하여 다시 증가한 후 유지하였다. 톳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대 젖산균수에 도달되는 시기가 6일에서 10일로 4일 연장되었다. 젖산균수(Leuconostoc sp.)는 총 균수와 비슷한 결과로 발효 3일에 크게 증가하였다가 17일에 감소한 후 다시 약간 증가하여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열무김치에 건강기능성 소재인 톳가루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관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0.1%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harvey powder on the fernentation of Yulmoo Kimchi, by measuring sensory,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up to 31 days. The Yulmoo Kimchi, with various levels [0, 0.1, 0.2, 0.3, 0.4% (w/w)] of harvey powder, was ferme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치의 세계화를 위하여 성인병 예방의 식품소재로 기대 되는 열무와 혈관 내 콜레스테롤 침착 방지 및 항산화와 항암 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가진 톳을 이용하여 건강기능성이 있는 열무김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열무김치 에 대한 톳가루 첨가량은 0, 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병 예방의 식품소재로 기대되는 열무와 혈관 내 콜레스테롤 침착 방지 및 항산화와 항암 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가진 톳을 이용하여 건강기능성이 있는 열무김치를 개발하고자 톳의 첨가가 열무김치의 맛과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여름철의 대표적인 김치는 무엇인가? 요즘은 채소 재배 기술의 발달로 계절과 관계없이 기호에 따라 주재료를 구입해 다양하게 담가 먹을 수 있다(1). 이중 열무김치는 마늘, 생강, 고추와 소금이 기본재료로서 맛이 담백하여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여름철의 대표적인 김치 이다(2).
해조류의 식이섬유소의 생리적 효과는 무엇인가? 식이섬유소는 건조무게의 33~75%를 차지하고, 수용성 다당류(17~59%)로 구성되며 생리적 효과를 낸다(20). 해조류의 식이성 섬유소는 항산화제, 항 돌연변이성, 항 혈액응고 효과, 항암효과와 같은 중요한 기능성을 보여주고(20), 혈관 내 콜레스테롤 침착방지 및 장관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는 보고(21)가 있어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열무김치와 배추김치를 영양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열무는 어린무로 열무의 잎에는 비타민 A, C 및 인체에 필요한 무기질이 알맞게 들어 있어 혈액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식욕을 증진시키며 만복감을 주는 채소로서 좋은 식품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무가 작고 가늘지만 푸른 잎이 많아 봄부터 여름 내내 김칫거리로 가장 많이 쓰이며 열무김치는 배추김치에 비해 클로로필 함량이 높고(3), 클로로필은 광선이 차단된 상태에서 free radical scavenger로 작용하여 지질의 자동산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성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4-8). 특히 열무의 비타민 A 함량은 2630 IU로 배추나 무에 비해 28~2600배 정도 많고, 당질의 양도 배추보다는 많이 들어 있다(9,10). 또한 열무에는 isothiocyanates, fiber 등 여러 종류의 phytochemical(11)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암을 비롯한 성인병 예방용 식품소재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Choi SY, Hahn YS. 1997. The changes of vitamin C content in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shif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Korean J Soc Food Sci 13: 364-368. 

  2. Kim EJ, Hahn YS. 2007. The effect of Yulmoo extract and cold shock on the growth of kimchi lactic bacteri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8-82. 

  3. Kim GE, Lee YS, Kim SH, Cheong HS, Lee JH. 1998.Changes of chlorophyll and their derivative contents during storage of chinese cabbage, leafy radish and leaf mustard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52-857. 

  4. Endo Y, Usuki R, Kaneda T. 1984. Prooxidant activities of chlorophyll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on the phot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JAOCS 61: 781-784. 

  5. Endo Y, Usuki R, Kaneda T. 1985. Antioxidant effects of chlorophyll and pheophytin on the autoxidation of oil in the dark, I. Comparison of the inhibitory effects. JAOCS 62:1375-1378. 

  6. Endo Y, Usuki R, Kaneda T. 1985. Antioxidant effects of chlorophyll and pheophytin on the autoxidation of oil in the dark, II. The mechanism of antioxidation action chlorophyll effects. JAOCS 62: 1387-1390. 

  7. Tan YA, Chong CL, Low KS. 1997. Crude palm oil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 J Sci Food & Agric 75:281-288. 

  8. Gentile JM, Gentile GJ. 1991. The metabolic activation of 4-nitro-o-phenylenediamine by chlorophyll containing plant extracts: The relationship between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Mutat Res 250: 79-86. 

  9. Korean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1989. Food and Nutrient Databases and Dietary Guidance . 5th ed. 

  10.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1996. Food composition table. 5th ed. 

  11. Alegria BC. 1992. Cancer-preventive foods and ingredient.Food Technol 45: 65-68. 

  12. Pie JE, Jang MS. 1995. Effect of preparation methods on Yulmoo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4:990-997. 

  13. Choi SY, Oh JY, Yoo JW, Hahn YS. 1998. Fermentation properties of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ratio ofwater to Yulmoo. Korean J Soc Food Sci 14: 327-332. 

  14. Jang MS, Park JE.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juice on Yulmoo Mul-Kimchi fermenta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511-519. 

  15. Kim HR, Park JE, Jang MS. 2002. Effect of perilla seed paste on the Yulmoo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90-299. 

  16. Kong CS, Kim DK, Rhee SH, Rho CW, Hwang HJ, ChoiKL, Park KY. 2005.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young radish kimchi (Yulmoo Kimchi ) and young radish watery kimchi (Yulmoo Mool-Kimchi ) in literatures.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6-130. 

  17. Ko YT, Kang JH. 2003. Quality of freeze-dried Yulmoo-Kimchi .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54-259. 

  18. Kong CS, Kim DK, Rhee SH, Rho CW, Hwang HJ, ChoiKL, Park KY. 2005.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young radish kimchi and young radishwatery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11-316. 

  19. Yun HJ. 2003. Effect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 Jimenez-Escrig A, Goni-Cambrodon I. 1999.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seaweeds.Arch Latinoam Nutr 49: 114-120. 

  21. Ebihara K, Kiriyama S. 1990.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dietary fiber.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7: 916-925. 

  2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44. 

  23.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4. Joo HK, Cho KY, Park JK, Cho KS, Chae SK, Ma SJ. 1993.Food analysis (I). Yulim Moonwhasa, Seoul, Korea. p356-379. 

  25. Gutfinger T. 1981. Polyphenol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Collins CH, Lyne PM. 1985. Microbiological methods. 5th ed. Butterworth & Co., Ltd., New York, NY, USA. p 73,p 130-133. 

  28. Song MS, Lee YC, Cho SS, Kim BC. 1993. The use of SAS 'Statistical data analysis'-Regression Analysis. Ja-Yu Academi, Seoul, Korea. p 61-84. 

  29. Park WP, Cho YB, Lee SC, Kim JM, Lee MJ. 2001. Changes in kimchi quality 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oiled-driedfusifor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34-838. 

  30. Kim JH, Jang MJ, Choi JI, Ha TM, Chung JW, Chi JH, JuYC. 2005. Quality properties of kimchi by the addition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during fermentation.Korean J Food Preserv 12: 287-291. 

  31. Lee MJ, Kim HS, Lee SC, Park WP. 2000. Effects of sepiae os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92-596. 

  32. Kim SD, Kim MH, Kim ID. 1996. Effect of crab shell on shelf-life enhancement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Nutr 25: 907-914. 

  33. Kim SD, Kim ID, Park IK, Kim MY, Youn KS. 1999. Effects of calcium lactate and acetate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333-338. 

  34. Park MJ, Jeon YS, Han JS.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59-364. 

  35. Kim DK, Kim BG, Kim MH. 1994. Effect of reducing sugar content in Chinese cabbage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73-77. 

  36. Park HO, Kim YK, Yoon S. 1991. A study of enzyme system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7: 1-6. 

  37. Lee TY, Lee JW. 1981. The changes of vitamin C content and the effect of galacturonic acid addit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 Soc 24: 139-144. 

  38. Jang MS, Kim NY. 1999.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akdug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5: 61-67. 

  39. Kim EJ, Hahn YS. 2006. Preparation of tomato kimchi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535-544. 

  40. Lee YO, Park KY, Cheigh HS. 1996.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with various fermentation period on the lipid oxidationof cooked ground beef. J Korean Soc Food Nutr25: 261-266. 

  41. Rock CL, Flatt SW, Wright FA. 1997. Responsiveness of carotenoids to high vegetable diet intervention designed to prevent breast cancer recurrence. Cancer Epidemiol Biomaekers Prev 6: 617-623. 

  42.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20: 102-109. 

  43.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Technol 16: 443-450. 

  44. Park SK, Kang SG, Chung HJ. 1994. Effects of essential oil in astringent persimmon leaves on kimchi fermentation.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217-221. 

  45. Park WP, Ahn DS, Lee DS. 1997. Composi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ole and sliced kimchi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784-789. 

  46. Moon SW. 1999.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quality of Nabak kimchi during fermentation.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