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으름 열매 식초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Supplemented Added with Akebia quinata Fruit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217 - 1227  

이은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권우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지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진아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정강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병춘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안정희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으름 열매를 각각 0, 1, 3, 5 및 7%를 첨가하여 2단계 발효한 으름 열매 식초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은 pH, 총산, 알코올, 총당, 아미노산으로 평가하였고, 항산화 활성은 $ABTS^{{\cdot}+}$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환원력으로 평가하였다. 알코올 발효 중 총산과 알코올 함량은 증가하였고 총당 함량은 감소하였다. 초산 발효에서는 총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평가에서는 으름 열매 7% 첨가군에서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대조군과 으름 열매 첨가 1%에서는 총 폴리페놀 함량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으름 열매첨가군 3, 5, 7%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각각 136.6, 381.59, 415.35 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대조군이 21.73 mg/100 g, 으름 열매 첨가군 1, 3, 5, 7%에서 각각 15.79, 15.15, 26.19, 26.87 mg/100 g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으름 열매 첨가량에 따라서도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탄닌의 함량도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대조군이 0.2042 mg/100 g, 으름 열매 첨가군 1, 3, 5, 7%에서 각각 0.2004, 0.1255, 0.1384, 0.1255 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ABTS^{{\cdot}+}$ 라디칼 소거 활성은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5 mg/mL 농도에서 대조군이 5.87%, 으름 열매 첨가군 1, 3, 5, 7%에서 각각 12.59, 25.63, 34.02, 35.25%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SOD 유사활성능도 5 mg/mL 농도에서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대조군이 8.22%, 으름열매 첨가군 1, 3, 5, 7%에서 각각 17.49, 16.86, 16.89, 15.68% 증가하였다. 환원력은 으름 열매 첨가군 7%에서 발효 1일째에 0.527, 발효 13일째에 1.539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항산화 활성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하였고 으름 열매 첨가량에 따라서도 증가하였다. 으름 열매 식초가 발효됨에 따라 $ABTS^{{\cdot}+}$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환원력이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높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의 함량이 밀접하게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으름 열매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식초 및 기타 식품에서 기능성 소재로 이용될 것으로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added with different levels (0%, 1%, 3%, 5%, and 7%) of Akebia quinata fruit during two-step fermentati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negar evaluated were pH, total acidity, alcohol, and total suga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으름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으름 식초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노화 방지나 질병 예방에 대한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개발과 건강식품의 유용성을 제시 및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란 어떤 상태인가? 일반적으로 활성산소는 노화나 질병을 일으키는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는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와는 완전히 다르게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산소를 말하며 이것은 사람 몸속에서 산화작용을 일으켜 세포막, DNA, 그 외의 모든 세포 구조를 손상시키고 그 범위에 따라 세포가 기능을 잃거나 변질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으름의 분포지역은? 으름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속 으름 덩굴과의 낙엽 덩굴 식물로서 학명은 Akebia quinata로 분포지역은 한국(황해도 이남), 일본, 중국 등에서 자생되고 있다(23). 으름의 덩굴은 목통(木通)으로 불리며 창달인후(暢達咽喉), 진해(鎭咳), 해열(解熱), 소염(消炎), 배농(排膿), 구충(驅蟲), 부종(浮腫) 치료 등의 약재로 사용되어 왔고 phenol성 물질과 saponin 함유가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다(23).
항산화 능력을 갖는 식초의 연구로 무엇이 있는가? 항산화 물질은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고 질병 예방 및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이러한 항산화 능력을 갖는 식초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4). 이와 관련하여 포도를 원료로 만든 발사믹 식초(balsamic vinegar)의 항산화 활성(5,6), 미나리 발효액을 이용한 식초 제조를 통해 glioma C6 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1), 인칼균을 첨가한 식초의 항산화 활성(7), 오이 식초의 항산화 및 숙취 해소 효과(8), 오미자 식초에서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활성(9), 그 외에도 복분자(10), 사과(11), 토마토(12), 오디(13), 녹차(14), 허브(15), 버섯(16) 식초 등에서 항산화 활성이 보고되었다. 식초의 여러가지 효능이 과학적으로 규명되면서 식초 소비량은 점차 증가되고 고급화되어 단순한 조미 용도에서 발전하여 식초음료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Kim MJ, Lee SP, Choi JH, Kwon SH, Kim HD, Bang MH, Yang SA. 2013.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vinegar using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amage in rat glioma C6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50-355. 

  2. Halliwell B, Gutteridge JMC, Aruoma OI. 1987. The deoxyribose method: A simple "test-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s of hydroxyl radicals. Anal Biochem 165: 215-219. 

  3. Moon JH, Park KH. 1995. Func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ea. J Korean Tea Soc 1: 177-193. 

  4. Ramarathnam N, Osawa T, Ochi H, Kawakishi S. 1995.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Technol 6: 75-82. 

  5. Verzelloni E, Tagliazucchi D, Conte A. 2007.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in traditional balsamic vinegar. Food Chem 105: 564-571. 

  6. Masino F, Chinnicib F, Bendini A, Montevecchi G, Antonelli A. 2008.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chemical, physical, and qualitative assessment in traditional balsamic vinegar. Food Chem 106: 90-95. 

  7. Woo KS,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Oh BG, Nam MH, Jeong JH, Jeong HS, Seo MC.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negars fermented from cereal crops with Incalgyu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71-1178. 

  8. Hong SM, Moon HS, Lee JH, Lee HI, Jeong JH, Lee MK, Seo KI. 2012. Development of functional vinegar by using cucumb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927-935. 

  9. Mo HW, Jung YH, Jeong JS, Choi KH, Choi SW, Park CS, Choi MA, Kim ML, Kim M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41-449. 

  10. Park S, Chae KS, Son RH, Jung J, Im YR, Kwon JW.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okbunja (black raspberry) vinegars. Food Eng Prog 16: 340-346. 

  11. Jeong JH. 2013. Development and antioxidant effect of vinegar with concentrated apple juice.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12. Hong SM. 2012. Antioxidant effect of tomato vinegar.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13. Choi SY. 2010.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and beverage development of extracts from mulberry. PhD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 Korea. 

  14. Jo YL. 2013. Manufacturing of green tea-treated Maggeolli and vinegar.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5. Choi SK.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herb vinegar prepared with puffed rice and lemon balm.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16. Chung BH, Seo HS, Kim HS, Woo SH, Cho YG.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fermentation vinegars with Phellinus linteus, Inonotus obliquus, and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113-117. 

  17.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 18-24. 

  18. Kang SM, Lee HN. 2010. The effect of imbibing collagen and vinegar simultaneously on the serum of climacteric women. J Kor Soc Cosm 16: 1051-1064. 

  19. Ann YG, Kim SK, Shin CS. 2001. Studies on wax gourd-ginseng vinegar. Korean J Food & Nutr 14: 52-58. 

  20. Lee MK, Choi SR, Lee J, Choi YH, Lee JH, Park KU, Kwon SH, Seo K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diabetic effect of yacon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9-86. 

  21. Lee DS, Ryu IH, Lee KS, Shin YS, Jeon SH. 1999. Lipase activity inhibition effect and fermentation conditions of aloe vinegar of using the Acetobacter sp.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05-110. 

  22. Kim MK, Kim MY, Youn EK, Kim SD. 2002. Extraction of citrus bioflavonoid with vinegar and effect on blood pressure. Korean J Food Preserv 9: 411-417. 

  23. Lee JK, Jo HJ, Kim KI, Yoon JA, Chung KH, Song BC, An JH.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the fruit of Akebia quinata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19-627. 

  24. Kang SS. 1998. Chinese herbal medicine dictionary. Shanghai Science Publisher, Shanghai, China. p 5822-5824. 

  25. Chang KW, Oh IS, Lee JH. 1997. Effect of dietary erythritol supplemented with chitosan, extracts of Akebia and extracts of Ishige on the growth of Mutans streptococci. J Korean Acad Oral Health 21: 545-552. 

  26. Kang HS, Kang JS, Jeong WS. 2010.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saponins from Akebia quinata on HepG2 hepatocarcinoma cells. Korean J Food Preserv 17: 311-319. 

  27. Han BJ, Woo SK, Shin HK. 1995.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Akebia (Akebia quinata Decaisne) on the growth of Clostridium perfringens and some intestinal microorganism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633-640. 

  28. Mimaki Y, Doi S, Kuroda M, Yokosuka A. 2007.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stems of Akebia quinata. Chem Pharm Bull 55: 1319-1324. 

  29. Kawata J, Kameda M, Miyazawa M. 2007. Constituents of essential oil from the dried fruits and stems of Akbia quinata (THUNB.) DECNE. J Oleo Sci 56: 59-63. 

  30. Mimaki Y, Kuroda M, Yokosuka A, Harada H, Fukushima M, Sashida Y. 2003. Triterpenes and triterpene saponins from the stems of Akebia trifoliata. Chem Pharm Bull 51: 960-965. 

  31. Rim AR, Kim SJ, Jeon KI, Park E, Park HR, Lee SC.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kebia quinata Decne. J Food Sci Nutr 11: 84-87. 

  32. Kim JY, Yi YH. 2010.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33. Slinkard K, Singleton VL. 1977.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 Am J Enol Vitic 28: 49-55. 

  34.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3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6. Ko YJ, Jeong DY, Lee JO, Park MH, Kim EJ, Kim JW, Kim YS, Ryu CH. 2007.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or Prunus mume vinegar and its quality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1-365. 

  37. Kim DH. 1999.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60. 

  38. Baek CH, Jeong DH, Baek SY, Choi JH, Park HY,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Kwon JH,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arm-made brown rice vinegar via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20: 564-572. 

  39. Shin JS, Lee OS, Jeong YJ. 2002.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onion vinegars by two stages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9-1084. 

  40. Lee JC, Han WC, Lee JH, Jang KH. 2012. Quality evaluation of vinegar manufactured using rice and Rosa rugosa thunb.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02-206. 

  41.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42. Fine AM. 2000. Oligomeric proanthocyanidin complexs: history, structure, and phytopharmaceutical application. Altern Med Rev 5: 114-151. 

  43. Cho YJ, An BJ, Choi C. 1993. Isolation and enzyme inhibition of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Korean Biochem J 26: 216-223. 

  44. Cho YJ, Chun SS, Choi C. 1993. Inhibitory effect of condensed tannins isolated from Korean green tea against xanthine oxidase. J Korean Soc Food Nutr 22: 418-422. 

  45. Kim JK, Cha WS, Park JH, Oh SL, Cho YJ, Chun SS, Choi C. 1997. Inhibition effect against tyrosinase of condensed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73-177. 

  46. Choi IS, Lee KH, Lee SS, Oh SH. 1997. Effect of tannin on lipid metabolism in 6 college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920-926. 

  47. Yoon YD.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ethanol induced hangover in drink added the persimmon vinegar.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48. Shin YK. 2006. Utilization of persimmon pee land its tannin extract for animal feeding.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49. Choi Y, Kim M,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50. Moon YG, Choi KS, Lee KJ, Kim KY, Heo MS. 2006. Screening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c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164-169. 

  51. Yoshino M, Murakami K. 1998.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257: 40-44. 

  52. Hassas-Roudsari M, Chang PR, Pegg RB, Tyler RT.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bioactives extracted from canola meal by subcritical water,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ion. Food Chem 114: 717-726 

  53. Kim HS, Hong MJ, Kang IY, Jung JY, Kim HK, Shin YS, Jun HJ, Suh JK, Kang YH. 2009.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oriental melon extract. J Bio-Enironment Control 18: 442-4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