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소시지 제조에 적합한 스타터 선발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as a Starter Culture in Fermented Saus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289 - 1295  

유선아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승호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성은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홍석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식품 13종과 천연물 4종에서 27균주를 분리한 후 생육속도가 빠르고 pH 저하 능력이 우수한 3종의 균주를 1차 선발하였으며,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Staphylococcus warneri, Sta. epidermidis, Lactobacillus plantarum과 99% 상동성을 보였다. 선발된 3균주의 발효소시지 스타터로서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발효소시지의 환경과 유사한 model-system에서 배양하며 pH 저하 능력, 총산 생성 능력, 생육 능력, 아질산염 소거 능력을 발효소시지의 스타터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5균주 및 상업용 2균주와 비교하였다. Modelsystem에서 pH 저하능과 총산 생성능, 생육능은 관련성이 있었으며, 상업용 균주보다 분리한 Sta. epidermidis DO 10-1, Lac. plantarum MLK 14-2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에도 분리한 3균주가 상업용 균주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보였다. 분리한 3균주는 발효소지지 스타터로서의 발효 소거 능력은 우수할 것으로 보이지만 Staphylococcus는 잠재적인 위험성이 제기되는 균주이므로 Lac. plantarum이 발효소지지 제조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most suitable starter cultures for production of fermented sausages. A total of 27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and natural substances were characterized with respect to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a fluid (submerged) model system mod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식품과 천연물에 존재하는 젖산균 27종을 분리하고 발효소시지와 유사한 환경(model-system)에서 배양하며 생육 능력, pH 저하 능력, 산 생성 능력 및 아질산염 소거 능력 등을 분석하여 발효소시지 제조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고 동정하여 향후 발효소시지 제조에 실제 적용하기 위한 스타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소시지는 무엇인가? 발효소시지는 세절된 육, 등 지방, 식염, 발색제, 당류 및 향신료 등을 혼합하여 casing에 충진시킨 후 발효 및 건조에 의하여 장기간의 보존성을 부여한 육제품이다(1). 발효소시지의 주재료는 고기와 지방이며, 이외에 미생물을 위한 탄소원으로 사용될 당분, 염지제, 향신료 그리고 스타터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2).
발효소시지 스타터는 보존성을 위헤 첨가하는 어떤 물질에 저항력이 있어야 하는가? 발효소시지 스타터는 소시지의 환경(염 농도, 온도)에 잘 적응하고, 다른 미생물들과 경쟁하여 빠른 성장 능력과 pH 저하 능력을 가져 각종 유해 미생물들의 성장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5). 또한 발효소시지의 보존성을 위해 첨가하는 아질산염에 대해 저항력이 있고 아질산염을 소거시키는 능력이 있는 것이 좋으며(6), 짧은 숙성기간 중 독특한 맛과 풍미, 물성 및 색상을 형성하여 관능적인 특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여야 한다(3).
발효소시지의 스타터는? 스타터로 일부 곰팡이(Penicillium nalgiovense, Pen. chrysogenum)이나 효모(Debaryomyces hansenii)가 사용되고 있기도 하지만, 주로 Lactobacillus plantarum, Lac. pentosus, Lac. sakei, Lac. curvatus, Pediococcus pentosaceus, Ped. acidilactici 등의 lactic acid bacteria와 Staphylococcus carnosus, Sta. xylosus, Micrococcus varians 등의 catalase-positive cocci가 발효소시지 제조를 위한 스타터로 사용되고 있다(4). 발효소시지 스타터는 소시지의 환경(염 농도, 온도)에 잘 적응하고, 다른 미생물들과 경쟁하여 빠른 성장 능력과 pH 저하 능력을 가져 각종 유해 미생물들의 성장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ampbell-Platt G. 1995. Fermented meats - a world perspective fermented meats. Springer, New York, NY, USA. p 39-52. 

  2. Lucke FK. 1997. Fermented sausages. Springer, New York, NY, USA p 441-483. 

  3. Kunz B, Lee JY. 2003. Produc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361-375. 

  4. Leroy F, Verluyten J, De Vuyst L. 2006. Functional meat starter cultures for improved sausage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106: 270-285. 

  5. Lee JY, Kim CJ, Kunz B. 2006.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studies on their suitability for application as starter culture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sausages. Meat Sci 72: 437-445. 

  6. Leistner L. 1995. Stable and safe fermented sausages worldwide fermented meats. Springer, New York, NY, USA. p 160-175. 

  7. Gao Y, Li D, Liu X. 2014.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sakei C2 as starter culture in fermented sausages. Food Control 35: 1-6. 

  8. Trzaskowska M, Kolozyn-Krajewska D, Wojciak K, Dolatowski Z. 2014.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fermented sausages with Lactobacillus casei LOCK 0900 probiotic strain. Food Control 35: 184-191. 

  9. Klingberg TD, Axelsson L, Naterstad K, Elsser D, Budde BB. 2005. Identification of potential probiotic starter cultures for Scandinavian-type fermented sausages. Int J Food Microbiol 105: 419-431. 

  10. Han SM, Kim YJ, Lee HC, Chin KB, Oh SJ. 2006.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as starter culture for making fermented saus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511-516. 

  11. Kim RU, Ahn SC, Yu SN, Kim KY, Seong JH, Lee YG, Kim HS, Kim DS. 2011.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soy curd-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J Life Sci 21: 235-241. 

  12. Lee JY, Pack YS, Kim YS, Shin DH. 2002.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metaboli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ces of newborn baby and from Dongchim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72-479. 

  13. So MH, Kim YB.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ajor microbial groups during Baik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0: 350-359. 

  14.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Tokyo 51: 1333-1338. 

  15. Lucke FK. 1994. Fermented meat products. Food Res Int 27: 299-307. 

  16. Schillinger U, Lucke FK. 1989.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 isolated from meat. Appl Environ Microbiol 55: 1901-1906. 

  17. Massey RC, Crews C, Davies R, McWeeny DJ. 1978. A study of the competitive nitrosations of pyrrolidine, ascorbic acid, cysteine and p­cresol in a protein-based model system. J Sci Food Agric 29: 815-821. 

  18. Buchanan RL, Phillips JG. 1990. Response surface model for predicting the effects of temperature, pH, sodium chloride content, sodium nitrite concentration and atmosphere on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J Food Prot 53: 370-376. 

  19. Jin SK, Song DJ, Lee HG, Kim YG, Park TS, Park GB. 1995. Animal products and processing: Effects of sodium lactate addition and lactic acid dipping on the cooking loss, salt, nitrite content, pH, WHC, water activity of sausage. Korean J Ani Sci 37: 379-386. 

  20. Zdolec N, Racic I, Vujnovic A, Zdelar-Tuk M, Matanovic K, Filipovic I, Dobranic V, Cvetnic Z, Spicic S. 2013. Antimicrobial resistance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isolated from spontaneously fermented sausages. Food Technol Biotechnol 51: 240-246. 

  21. Barigye R, Schaan L, Gibbs PS, Schamber E, Dyer NW. 2007. Diagnostic evidence of Staphylococcus warneri as a possible cause of bovine abortion. J Vet Diagn Invest 19: 694-696. 

  22. Incani RN, Hernandez M, Cortez J, Gonzalez ME, Salazar YD. 2010. Staphylococcus warneri meningitis in a patient with strongyloides stercoralis hyperinfection and lymphoma: first report of a case. Rev Inst Med Trop Sao Paulo 52: 169-170. 

  23. Queck SY, Otto M. 2008. Staphylococcus: Molecular Genetics. Caister Academic Press, Norfolk, UK. p 227-255. 

  24. Resch M, Nagel V, Hertel C. 2008. Antibiotic resistance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associated with food and used in starter cultures. Int J Food Microbiol 127: 99-104. 

  25. Lee SK, Son HS, Ji GE. 1993. Comparison of cultured soymilk by Bifidobacterium and various human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94-697. 

  26. Essid I, Hassouna M. 2013. Effect of inoculation of selected Staphylococcus xylos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on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a Tunisian dry fermented sausage. Food Control 32: 707-714. 

  27. Rubio R, Aymerich T, Bover-Cid S, Guardia MD, Arnau J, Garriga M. 2013. Probiotic strains Lactobacillus plantarum 299V and Lactobacillus rhamnosus GG as starter cultures for fermented sausages. LWT-Food Sci Technol 54: 51-56. 

  28. Jin HS, Kim JB, Yun YJ, Lee KJ. 2008. Selection of kimchi starters based on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kimchi and their eff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71-6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