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축산물 중 천연유래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유량 조사
The Naturally Occurring Levels of Nitrate and Nitrite in Livestock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3, 2015년, pp.265 - 271  

최재천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포장과) ,  박소라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포장과) ,  임호수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포장과) ,  고경육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포장과) ,  김미혜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포장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 및 축산가공품에서 천연적으로 유래되는 질산염아질산염의 함유량을 조사하였다. 식육 223건, 식육가공품 51건, 원유 30건, 유가공품 142건, 알류 5건 및 알가공품 7건으로 총 458건에 대해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를 이용하여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분석하였다. 이 때, 축산물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의 전처리법과 기기조건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축산물 및 축산가공품에 적용하여 시험법 검증(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재현성측정불확도)을 실시한 결과, 모두 양호한 값으로 나타났다. 총 458건을 분석한 결과, 질산염이 167건에서 아질산염이 40건에서 검출되어 질산염이 아질산염에 비해 검출된 건수가 많았다. 질산염의 경우, 조제분유류에서 ND~40.23 mg/kg으로, 양념육류에서 ND~37.97 mg/kg으로, 가공치즈류에서 ND~32.40 mg/kg으로, 알가공품에서 4.92~31.50 mg/kg으로, 분유류에서 ND~27.73 mg/kg으로, 소시지류에서 ND~22.45 mg/kg으로, 베이컨류에서 ND~22.45 mg/kg으로, 자연치즈류에서 ND~21.55 mg/kg으로, 햄류와 발효유류에서 ND~20.82 mg/kg으로, 알류에서 ND~13.57 mg/kg으로, 버터류에서 ND~12.77 mg/kg으로, 우유류에서 ND~9.31 mg/kg으로, 식육류에서 ND~3.88 mg/kg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질산염은 알가공품에서 1.84~17.35 mg/kg으로 나타났으며 식육류에서는 ND~1.92 mg/kg의 범위로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aturally occurring levels of nitrate and nitrite in livestock products. Total samples of 458 consisting of meats (n = 223), processed meat products (n = 51), raw milks (n = 30), processed milk products (n = 142), eggs (n = 5) and processed egg prod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축산물 및 축산가공품 중 천연 유래 질산염과 아질산염에 대한 함유량을 조사하여 인위적 첨가 여부에 대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산염에 대한 우려는 무엇인가? 또한, 이 성분들이 체내에서 아민류와 반응할 경우 N-nitrosamine이라는 발암성 물질을 생성한다는 보고가 있었다9,14). 한편, 질산염은 아질산염에 비해 독성이 낮고 안정하지만 식품에서 미생물을 매개로한환원 반응(microbial reduction)을 통해 아질산염이 되는 것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15-18).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급원과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보고는 어떤 것이 있었는가? 식품에 함유된 질산염이 인체에 독성이 있다는 보고가최초로 1973년에 있었으며 이로 인해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급원과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다8). 이의 상관관계를 통해 유아에게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유발시키며 이로 인해 산소 운반능력의 저하, 무기력증, 구토, 설사, 청색증 및 무산소혈증이 일어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9-13). 또한, 이 성분들이 체내에서 아민류와 반응할 경우 N-nitrosamine이라는 발암성 물질을 생성한다는 보고가 있었다9,14). 한편, 질산염은 아질산염에 비해 독성이 낮고 안정하지만 식품에서 미생물을 매개로한환원 반응(microbial reduction)을 통해 아질산염이 되는 것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15-18).
질산염과 아질산염의 첨가 용도는 무엇이고 어디에서 발견될 수 있는가? 질산염(nitrate)과 아질산염(nitrite)은 일반적으로 식육가공품 중 식육의 색소 고정작용, 보툴리누스균(Clostridium botulinum)에 의한 독소 생성의 방지작용 및 유해한 병원균과 질병 유발 세균에 대한 생장의 억제작용 등을 위해인위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으나1,2) 토양, 물 및 식품 원료에도 자연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3) 이는 미생물에의한 질소고정작용에서 순환에 의해 천연적으로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4). 식품 원료 중에는 채소 및 과일류에많은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질소비료의 과다시비와 시설재배로 인한 일조량의 부족 등으로 인해 가식부내에 축적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아일랜드의 국가식품 잔류물질 데이터베이스(NFRD, national food residue database)에 따르면 질산염은 탈지분유에 5~120 ppm, acidcasein에 5~88 ppm, rennet casein에 5~56 ppm, 아질산염은각각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Monitoring of naturally occurred sulfur dioxide and nitrite in raw materials and processed foods. The Annual Report of KFDA (2011). 

  2. Hotchkiss, J.H.: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on N-nitroso compounds in foods. ADV FOOD RES, 31, 53-115 (1987). 

  3. Yeh, T.S., Liao, S.F., Kuo, C.Y., Hwang, W.I.: Investigation of the nitrate and nitirite contents in milk and milk powder in Taiwan. J. FOOD DRUG ANAL, 21(1), 73-79 (2013). 

  4. Gangolli, S.D., Van Den Brandt, P.A., Feron, V.J., Jan-Zowsky, C., Koeman JHm Spijers, G.J.A., Spiegelhalder, B., Walker, R., Winshnok, J.S.: Assessment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EUR J. PHARM-ENVIRON, 292, 1-38 (1994). 

  5. Sohn, S.M., Oh, K.S.: Influence of nitrogen level on the accumulation of $NO_3\;^-$ o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radish and cucumber. J. Korean Soc. Soil. Sci. Fert, 26(1), 10-19 (1993). 

  6. National Food Residue Database.: Food Residue Database 1995-2000 (final report) http://nfrd.teagasc.ie/.Ireland (2001). 

  7.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NIHS).: Naturally occurring of several food additives in various raw and processed foods. FOOD HYG RES, 47(7), 29-67 (1997). 

  8. Beck, E.G.: Toxic effects from bismuth subnitrate with reports of cases to date. JAMA-J. AM MED ASSOC, 52, 14-18 (1909). 

  9. Walker, R.: The metabolism of dietary nitrites and nitrates. BIOCHEM SOC T, 24, 780-785 (1996). 

  10. Bodansky, O.: Methemoglobinemia and methemoglobin producing compounds. PHARMACOL REV, 3, 144-196 (1951). 

  11. Greenberg, L.A., Lester, D., Haggard, H.W.: The reaction of hemoglobin with nitrite. J. BIOL CHEM, 151, 665-763 (1943). 

  12. Marshall, W. and Marchall, C.R.: The action of nitrites on blood. J. BIOL CHEM, 158, 187-208 (1945). 

  13. Gamgee, A.: Researches on the blood-on the action of nitrites on blood. PHILOS T R SOC LOND, 158, 589-625 (1868). 

  14. Leaf, C.D., Wishnok, J.S., Tannenbaum, S.R.: Endogenous incorporation of nitric oxide from L-arginine into N-nitrosomorpholine stimulated by Escherichia coli lipopolysaccharide in the rat. CARCINOGENESIS, 12, 537-539 (1991). 

  15. Avery, A.A.: Infantile methemoglobinemia: reexamining the role of drinking water nitrates. ENVIRON HEALTH PERSP, 107, 583-586 (1999).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Join FAO/WHO Expert Committe on food additives. Geneva, pp. 29-35 (1995). 

  17. Dennis, M.J., Key, P.E., Papworth, M., Pointer, R.C.: Use of ion chromatography in food and beverage analysis. FOOD ADDIT CONTAM, 7, 455-461 (1990). 

  18. Cassens, R.G.: Use of sodium nitrite in cured mats today. FOOD TECHNOL, 49, 72-81 (1995). 

  19. Chou, S.S., Chung, J.C., Hwang, D.F.: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for determining nitrate and nitrite levels in vegetables. J. FOOD DRUG ANAL, 11(3), 233-238 (2003). 

  20. AOAC International.: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2000). 

  21.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Foodstuffs-determination of nitrate and/or nitrite content. General considerations, BS EN 12014-1 (1997).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Designation of food additives handbook, Seoul, Korea (2013). 

  23.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1-109 (2014).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Toxicological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foo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NO. 35 (1996).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Livestock product in the processing standards and ingredient specifications, Seoul, Korea (2012). 

  26. AOAC.: Guidelines for single laboratory validation of chemical method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botanicals (2002). 

  27. WHO.: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procedural manual, 21 editions (2013). 

  28. Elison, S.L.R., Roesslein, M.I., Williams, A.: Quantifying uncertainty in analytical measurement. EURACHEM. london UK. 32094 (2000). 

  29. Wang, G.F., Satake, M., Horits, K.: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nitrate and nitrite in water and some fruit samples using column preconcentration. TALANTA, 46(4), 671-678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