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학습탄력성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정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n the Factors of Scholar Resilience for Self-efficiency and Scholar Attainment of High School Student : An Analysis on the Control Effects of Stress Scale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9 no.8, 2014년, pp.187 - 196  

이신숙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  강길현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탄력성에 관한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과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한 다음,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탄력성 요인인 인지능력과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정도가 낮은 고등학생일수록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이 높다는 점에 그 의의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업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factors of studying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control effect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str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the cause and effect model and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literature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청소년에게 개인발달 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탄력성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 그 결과는 학업성취감이 부진하면 비행행동을 하게 되고, 학교와 교사에 대한 애착을 감소시키며 교육적 목표에 대한 관여와 교육에 대한 열망 수준을 낮아진다고 하였다. 또한 학교에 대한 애착이 낮아져 비행친구와 접촉하게 되고, 결국에는 비행으로 연결되는 인과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적응은 학습에 대하여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수업의 내용에 대한 즐거움과 수업시간에 적극적인 흥미를 통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가정 하였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로서 학습탄력성요인의 인지능력, 의사소통, 교우관계, 사회적 지지를 선정하였으며, 매개변수로 자기효능감 조절변수는 스트레스 정도, 종속변수는 학업성취감으로 보았다.
  •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탄력성으로 보고,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두 가지 요인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긍정적인 면에서 청소년이 살아가면서 직면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높은 인지 능력, 긍정적 기질이나 성격, 긍정적 자아개념 또는 개인의 정상적 발달 결과와 성공적인 적응의 결과 등을 역동적인 과정으로 보았다.

가설 설정

  •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이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또한 학교에 대한 애착이 낮아져 비행친구와 접촉하게 되고, 결국에는 비행으로 연결되는 인과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적응은 학습에 대하여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수업의 내용에 대한 즐거움과 수업시간에 적극적인 흥미를 통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가정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탄력성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 학습적응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얻지 못하게 되어 학교를 싫어하게 되고 학교의 권위에 대해서 거부하게 되는 것을 가정 하였다. 그 결과는 학업성취감이 부진하면 비행행동을 하게 되고, 학교와 교사에 대한 애착을 감소시키며 교육적 목표에 대한 관여와 교육에 대한 열망 수준을 낮아진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들을 위해 학교가 해야하는 역할은? 청소년은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성장해 가는 과도기에서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다. 특히 청소년들은 여러 가지 발달상의 미성숙으로 자신의 통제력을 갖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학교는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교육시키는 사회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송인섭[1]은 우리사회에서 청소년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청소년 스스로 창의성과 자율성이 요구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나가야 한다고 하였다.
자아탄력성을 가진 학생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나요? Block과 Block[4]은 자아탄력성은 내외적인 스트레스에 대해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일반적인 능력으로 스트레스나 역경을 잘 극복할 수 있는 일종의 성격유형으로 탄력성(resiliency)을 제안하였다. 탄력성을 가진 학생들은 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문제 해결 책략을 가지고 있고, 학교생활에 능동적인 참여와 융통성이 있는 적응을 하며, 인지적 측면에서도 유능함을 지닌다. 그러나 열악한 학생들은 새로운 상황에서 틀에 박힌 반응을 나타내고, 경직되어 있으며, 스트레스상황에서 산만하게 행동하고 경쟁 상황에서 매우 불안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청소년 시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은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성장해 가는 과도기에서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다. 특히 청소년들은 여러 가지 발달상의 미성숙으로 자신의 통제력을 갖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학교는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교육시키는 사회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ong In-Seob, Self motivated study for field applications, hakjisa ,2007 

  2. Kim Nu-Ri,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Scale of Academic Resilienc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3. Moon Ehun-Shik, "structural analysis of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ehaviors". Graduated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4. Block, J. H., & Block, "J The role of ego-contral and ego-resilience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s.)", Minnesota sysmposium on child, 1980 

  5. Gray, J. P. "The relatios of teacher education, student' resiliency, work, motivation, and school-level resilien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ouston. 2001 

  6. Hernandez, L. P." The role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ford University.1983 

  7. Masten, A. S., & Coatsworth, J. D,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2), 205-220, 1998 

  8. Masten, A. S., Coaswoth, J. D., Neeman, J., Gest, S. D., Tellegen, A., &Garmezy, N, "The structure and coherence of competence from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6, 1635-1659, 1996 

  9. Masten, A. S., Hubbard, J. J., Gest S. D., Tellegen, A., Garmezy, N., & Ramirez, M.. "Competence in the context of adversity: Pathways to resilience and maladaptation from childhood to late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1, 143-169, 1999 

  10. Do Nam-Hee, "Resilience of adolescents in youth-headed family : social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in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9 

  11. Walsh, F.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8 

  12. Kim yoon hee. "Construction of A Model of Internet-Addicted Adolescents' Mental Health". the Graduate School Jung- Ang University.2006 

  13. MoGuire, K. D., & Weisz, J. R, "Social cognition and behavior! correlates of preadolescent chumship". Journal of Child Development, Vol. 53, 1478-1484. 1982 

  14. Moon Hyung Choon, "The human relationship and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Seoul youth counseling center. 1(1). 41-50, 1999 

  15. Kim sun o, "A Study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for Middle Aged Men ". Department of Nursing, Dongnam Health College. 18(2), 177-186, 2000 

  16. Jeong Sun Dol. "Characteristics of al Support Network for the Low Income Elderly People: Analysis of Dyadic Relationship ". Internation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4, 7-29. 2004 

  17. Vaux, A.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Praeger, New York. 1988 

  18. House, J.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 Addison-wesley. 1981 

  19. Katz, L. G., & MaClellan, D. E.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1997 

  20.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7 

  21. Hwang Y대ng Suk.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stress on Elema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Han Yang University.1997 

  22. Wilkinson, Greg. "Understanding stress". British Medical Association Family doctor series Vol. 013. 2005 

  23. Woo so-Yeon.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as moderating factors for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for children", The Graduate School Yeosei University. 2008 

  24. DuBois, D. L.,Felner, R. D., Mears H., & Krier, M. "Prospe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disadvantage,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early adolescence adjustmen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r. 103(3), 511-522. 1994 

  25. Jeong Ok Bun, "adolescents development", HakJisa, 1998 

  26. Cohen, S., & Hobermanl, A.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1983 

  27. Kang Yong Ja, "A Comparative Study of Average Youth and Juvenile Delinquent about the Life Stressors and Coping.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Woment's University, 1996 

  28. park young sin. etc , "Causes and Consequences of Life - satisfaction among Primary , Junior High ,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1), 94-118,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