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종류와 최종가열온도가 다른 결착제로 제조한 찰현미 쌀엿강정의 물리화학적, 관능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Brown Waxy Rice Yetgangjeong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Types of Binders and End Heating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4, 2014년, pp.463 - 471  

노준희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은옥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애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말식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etgangjeong is a traditional Korean rice cookie which used rice syrup (Chocheong) to bind fried rice grains. Brown waxy rice and binders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types and end heating temperatures were assessed to improve the textural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and to promote global consu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기능성과 맛이 우수한 쌀엿강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결착제의 당 조성과 가열 최종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후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로 제조한 찰현미 엿강정의 품질 및 텍스쳐 특성을 알아보았다. 결착제는 물엿과 설탕을 기본으로 물엿의 일정 양을 조청과 꿀로, 설탕을 트레할로오스로 대체하였고 가열 최종온도를 각각 100과 105℃로 하였다. 결착제의 당도와 pH는 물엿과 설탕으로 제조한 경우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당조성에 따른 변화는 없었고, 수분함량은 15.
  • 결착제의 dextrose equivalent(DE)는 cryoscope(cryoscope 4D3, Advanced Instrument, Inc., Nonwood, MA, USA)로 측정하였고, 당 조성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1200 series,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는 5°Bx 이하로 희석하여 제조하여 0.
  • 결착제의 색도 및 착색도는 당용액을 30°Bx로 희석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Optizen pop, Mecasys Co., Ltd,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흡광도 값으로 측정하였다.
  • 결착제의 점도는 제조 온도인 100℃와 105℃로 가열한 후 해당 온도에서의 점도를 레오메타(Brookfield DV‐Ⅲ Ultra programmable rheometer, Brookfield, Middleboro, M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pindle은 no.
  • 점수는 9점, 대단히 강하다에서 1점, 대단히 약하다로 평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은 외관의 윤기(gloss), 이취(off‐flavor)와 고소한 향(delicate flavor), 맛의 고소한 맛(delicate taste), 단맛(sweetness), 텍스쳐의 바삭함(crunchiness), 촉촉함 (moistness), 끈적함(stickiness)을 평가하였다.
  • 그러므로 전통적인 쌀엿강정의 기능성 및 텍스쳐를 개선하여 품질을 높여 한과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백미대신에 찰현미를 사용하였고, 결착제는 물엿, 조청과 꿀을 일정비율 혼합한 기본당에 설탕 또는 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하여 만들어 쌀엿강정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또한 팽화한 찰현미를 혼합하기 위한 결착제인 당액을 최종 온도를 달리하여 당의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후 쌀엿강정의 품질과 텍스쳐 특성을 비교하였다.
  • 기능성과 맛이 우수한 쌀엿강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결착제의 당 조성과 가열 최종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후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로 제조한 찰현미 엿강정의 품질 및 텍스쳐 특성을 알아보았다. 결착제는 물엿과 설탕을 기본으로 물엿의 일정 양을 조청과 꿀로, 설탕을 트레할로오스로 대체하였고 가열 최종온도를 각각 100과 105℃로 하였다.
  • 당 조성과 최종가열온도에 따라 제조된 결착제의 당도는 굴절당도계(Pocket refractometer PAL‐1, ATAG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pH는 결착제 당용액을 10°Bx로 희석하여 pH meter(pH meter AB15, Fisher Scientific, Leicestershire,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당 조성은 HPLC를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중합도(DP)에 따라 프럭토오스, 글루코오스, DP2‐9, DP10 이상의 당을 각각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물엿과 설탕으로 제조한 C100, C105에서 21.
  • 전기전도도는 결착제를 30°Bx로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당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100℃ 혹은 105℃로 제조된 결착제 1 g에 해사 일정량을 도가니에 담아 섞어 105℃의 dry oven(OF‐11, Jeio Tech., Kimpo, Korea)에서 건조하여 증발시킨 후 잔사의 양으로 측정하였다.
  • 그러므로 전통적인 쌀엿강정의 기능성 및 텍스쳐를 개선하여 품질을 높여 한과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백미대신에 찰현미를 사용하였고, 결착제는 물엿, 조청과 꿀을 일정비율 혼합한 기본당에 설탕 또는 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하여 만들어 쌀엿강정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또한 팽화한 찰현미를 혼합하기 위한 결착제인 당액을 최종 온도를 달리하여 당의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후 쌀엿강정의 품질과 텍스쳐 특성을 비교하였다.
  • , Ltd,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흡광도 값으로 측정하였다. 색도는 420 nm에서 탁도는 720 nm에서 측정한 후 색 도와 탁도의 차로 착색도를 계산하였다.
  • 시료는 2× 2 × 2 cm의 크기로 제공되었고, 외관, 냄새, 맛, 텍스쳐, 전반적인 기호도 등 9개 항목을 평가하였다.
  • 시료는 5°Bx 이하로 희석하여 제조하여 0.45 μm syringe filter를 통과 후 10 μL의 시료가 주입되었고, 컬럼은 Aminex HPX‐42Q column (300 mm × 7.8 mm, Bio‐rad, California, USA)을 사용하였으며 컬럼의 온도는 80℃이었고, 용매는 0.6 mL/min의 속도의 증류수였으며 RID(refractive index detector,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로 당 조성을 분석하였다.
  • 시료인 쌀엿강정은 2 × 2 × 2 cm의 크기로 준비하였고 1회의 압착시험으로 probe(Φ 20 mm)를 이용하여 deformation은 50%, pre‐test, test post‐test speed는 모두 1.00 mm/sec로 실험을 실시하여 return to start로 hardness(kg)와 fracturability (mm)값을 측정하였다.
  • 백미와 달리 현미는 물에 담갔을 때 물이 쉽게 침투되지 않아 가열로 호화가 어렵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만든 강정용 쌀과 달리 팽화 찰현미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찰현미 3 kg을 물에 3번 반복하여 씻고, 호화가 용이하도록 12시간 수침하였다. 수침한 현미는 물기를 제거한 후 찜 솥에 면보를 깔고 그 위에 1 cm 두께로 펴서 20분 동안 찌고, 골고루 익히기 위해 주걱으로 안쪽과 바깥쪽을 뒤집어 20분간 다시 찐 다음, 다시 뒤집어 15분간 뜸을 들여 김이 없어지면 얇게 펴서 18±2℃의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낟알이 붙지 않도록 건조하였다.
  • 찰현미 엿강정의 수분흡습도는 제조된 다시마 팩(크린 다시백(소) 8.5 × 7.5 cm, 크린랲, 김해, 대한민국)에 찰현미 엿강정을 증류수를 넣어 포화시킨 데시케이터(상대습도 100%, Aw=1)에 넣고 저장시간을 1, 3, 5, 12, 24, 48과 72시간으로 넣은 후 찰현미 엿강정의 무게 변화를 측정 하여 저장시간에 따른 수분흡습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 찰현미 엿강정의 텍스쳐 특성치 중 hardness와 fracturability은 Texture Analyzer(TA‐XT plus, Stable micro systems, Surrey,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인 쌀엿강정은 2 × 2 × 2 cm의 크기로 준비하였고 1회의 압착시험으로 probe(Φ 20 mm)를 이용하여 deformation은 50%, pre‐test, test post‐test speed는 모두 1.
  • 팽화미와 결착제는 약한 불로 가온하면서 2분 30초간 저어준 후 꺼내어 가로, 세로, 높이가 26 ×20 × 2 cm 인 틀에 넣고 밀어 핀 후 2 × 2 × 2 cm의 크기로 잘라 시료를 제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백미와 달리 현미는 물에 담갔을 때 물이 쉽게 침투되지 않아 가열로 호화가 어렵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만든 강정용 쌀과 달리 팽화 찰현미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찰현미 3 kg을 물에 3번 반복하여 씻고, 호화가 용이하도록 12시간 수침하였다.
  • 찰현미 쌀엿강정용 결착제는 물엿과 설탕을 배합으로 하는 당조성물을 기준으로 제조하였다(Lee AS 등 2012). 우리나라 전통한과에 사용하는 당류인 쌀로 만든 조청, 다양한 전분으로 만든 시럽인 물엿, 천연 꿀과 설탕, 트레할로오스를 비율에 따라서 Table 1과 같이 구성하여 결착제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비율로 섞인 당조성물을 중탕으로 천천히 가열하여 최종 제조 온도가 100℃ 또는 105℃가 되도록 끓여 사용하였다.
  • 찰현미 쌀엿강정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찰현미의 품종은 신선찰벼로 2013년에 무농약으로 재배된 것을 현미상태로 죽암농장(고흥, 전남,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쌀엿강정용 결착제에 사용할 당 종류로는 물엿 (큐원, 인천, 대한민국), 조청(오뚜기, 경기, 대한민국), 꿀 ((주)가보팜스, 전남, 대한민국), 설탕(백설, 서울, 대한민국), 쌀눈유(백설, 서울, 대한민국)을 마트에서 구입하였고 트레할로오스는 삼양제넥스 연구소(인천, 대한민국)를 통하여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2)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모든 실험은 2번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결과분석은 SPSS 12.0K(SPSS Inc., USA)를 이용하였고 ANOVA(Analysis of Variance)와 Duncan's multiple‐range test로 p<0.05 수준에서 각 시료간의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엿강정은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가? 우리나라의 전통과자인 엿강정은 고대로부터 각종 제례와 혼례, 명절, 연회 등의 행사에 많이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 특산물이나 기호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Lee SK 등 2000). 우리 한과는 주로 곡류, 당, 기름을 사용하여 만들고 엿강정에는 백미나 깨 등을 사용한 쌀엿 강정, 깨엿강정이 있으며 만드는 방법은 자료에 따라 다르게 알려지고 있지만 주로 엿강정은 기름에 튀긴 밥이나 볶은 깨에 조청이나 엿을 결착제로 사용한 우리만의 음식이다(Kim HY와 Shin HH 2003).
유리전이 상태는 어떤 특성을 갖게 되는가? 유리전이 상태는 비평형 상태로 분자의 이동이 매우 느려지는 온도 이하로 고체 특성을 나타내는 액체 상태를 의미한다. 액체가 빠르게 냉각되면서 분자 운동이 빠르게 감소하고, 결정화가 불가능해질 때 액체는 유리 상태로 급냉되어 유리같이 단단하고 쉽게 깨어질 수 있는 특성을 갖게 된다(Kouassi K와 Roos YH 2001, Vanhal I와 Blond G 1999).
엿강정은 어떤 음식인가? 우리나라의 전통과자인 엿강정은 고대로부터 각종 제례와 혼례, 명절, 연회 등의 행사에 많이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 특산물이나 기호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Lee SK 등 2000). 우리 한과는 주로 곡류, 당, 기름을 사용하여 만들고 엿강정에는 백미나 깨 등을 사용한 쌀엿 강정, 깨엿강정이 있으며 만드는 방법은 자료에 따라 다르게 알려지고 있지만 주로 엿강정은 기름에 튀긴 밥이나 볶은 깨에 조청이나 엿을 결착제로 사용한 우리만의 음식이다(Kim HY와 Shin HH 2003). 쌀엿강정은 백미로 밥을 지어 물로 수세하거나 고두밥을 지어 낟알상태로 말린 다음 기름에 튀기거나 가열된 모래나 소금으로 팽화시켜 결착제인 조청, 시럽, 꿀을 사용하여 성형한 것으로(Kim MA 2001), 백미멥쌀이나 찹쌀을 사용하며 어떻게 전처리 하느냐에 따라 향미와 텍스쳐가 달라지고 저장안정성도 달라진다(Kim JM 등 2012, Kim HJ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Gamarini MV, Baeza R, Sanchez V, Zamora MC, Chirife J. 2011. Comparison of the viscosity of trehalose and sucrose solutions at various temperatures: Effect of guar gum addition. Food Sci Biotechnol 44(1):186-190 

  2. Kang MJ, Shin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steamed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8(6):865-870 

  3. Kim BS, Park MH, Nahmgung B, Kim DC. 1995. Quality change of starch syrup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5):729-735 

  4. Kim HJ, Shim EK, Kim HR, Kim MR. 2010.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yeotgangjung with added spirulina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6):795-800 

  5. Kim HY, Shin H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snack, yut-gang-jun with perilla and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 Sci 19(6):753-757 

  6. Kim JM, Yu M, Shin MS. 2012. Effect of mixing ratio of white and germinated brown ric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s. Korean J Food Cook Sci 28(6):813-820 

  7. Kim MA. 2001. Quality of popped rice with deep-frying for Salyeotganjung. Korean J Food Cook Sci 17(5):478-482 

  8. Kim YA.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Yut Gangjung (traditional Korean snack) according to the kind of sweetener. Master's thesis. Th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1-3 

  9. Kouassi K, Roos YH. 2001. Glass transition and water effects on sucrose inversion in noncrystalline carbohydrate food systems. Food Res Int 34(10):895-901 

  10. Lee JE, Choi YH, Cho MG, Park SY, Kim EM. 2012. Characteristics of Jochung by wet-milled rice flour and steamed rice. Korean J Food Nutr 25(3):637-643 

  11. Lim KR, Lee KH, Kang SA. 2003. Quality of Yukwa base and popped rice for salyeotgangjung popped with salt. Korean J Food Cook Sci 19(6):729-736 

  12. Lee SA, Kim CS, Kim HI. 2000. Studies on the drying methods of Gangjung pellets. Korean J Soc Food Sci 16(1):48-56 

  13. Lee SK, Baek NH, Shon JS. 2000. Studies of gangjung (I)-Effect of dried insam on the lipid oxida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gangjung. J Fd Hyg Safety 15(4):334-339 

  14. Lee AS, You MJ, Lee MJ, Cho YS, Yun K, Cheong GR, Kim HJ. 2012. Courtesy Food and Korean Set Menu. Published E.G Co. pp 140-143 

  15. Park JS, Na H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tinus edodes powder. Koran J Food Technol 37(5):768-775 

  16. Schiraldi C, Di Lernia I, De Rosa M. 2002. Trehalose production: exploiting novel approaches. Trends 20(10):420-425 

  17. Shin DH, Choi U. 1993. Survey on traditional yukwa (oil puffed rice cake) making method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8(3):243-248 

  18. Teramoto N, Sachinvala ND, Shibata M. 2008. Trehalose and trehalose-based polymers for environmentally benign, biocompatible and bioactive materials. Molecules 13(8):1773-1816 

  19. Vanhal I, Blond G. 1999. Impact of melting conditions of sucrose on i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J Agric Food Chem 47(10):4285-4290 

  20. Verhoeven N, Neoh TL, Furuta T, Yamamoto C, Ohashi T, Yoshii H. 2012. Characteristics of dehydration kinetics of dihydrate trehalose to its anhydrous form in ethanol by DSC. Food Chem 132(4):1638-1643 

  21. Yang MH, Kang YJ. 2007.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acidic citrus juices, natsudaidai and citrus grandis, by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630-6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