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성 고령자를 위한 노인요양시설의 치료적 환경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TESS-NH 환경평가척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therapeutic environmental rating scales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 Focused on the TESS-NH environmental rating scale Analysis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0 no.3, 2014년, pp.49 - 55  

이영창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In recent years, the rapid progress of aging and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s becoming a big social issue.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environmental rating scales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n korean nursing homes. Metho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앞에서의 평가항목들을 기초로 하여, 치료적 환경평가척도에 대해서 어떠한 주요척도 요인이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밝혀봄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치매성 노인요양시설에 대해서 적용가능한 치매성 관련의 치료적 차원의 환경평가척도를 개발되는데 참고적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고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성 고령자의 증가로 인한 치매성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치료적 환경평가척도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환경평가척도 개발의 참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노인요양시설에 적용가능한 치매성 고령자를 위한 치료적 환경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가능성 검토의 일환으로, 물리적 특색을 단기간에 관찰하기 위해 만든 평가척도로서 미국에서 개발된 Therapeutic environment Screening Survey for Nursing Homes (TESS-NH)을 중심으로, 이것의 개발과정 및 구조를 파악함으로 주요 항목들의 분류화 작업을 통해 보다 세부적인 성격과 특색을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는 노인복지법을 제정하고 어떠한 변화 조짐을 보였는가? 한편, 정부는 1981년 노인복지법을 제정하고, 노인복지시설의 세분화 이후, 1997년부터 치매관리, 노인재활요양사업의 실시,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 법안의 통과로 인해 노인요양의 정책적 분야에서는 일정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고,2)고령자보건복지시설분야, 특히 급속히 증가하는 치매성 고령자 요양시설환경에 있어서, 기존의 그룹케어로부터 개별적 케어를 위한 개인병실의 제공 변화, 가정적 분위기 등의 생활환경을 요양시설에 적용하는 등, 치료환경에 도움을 주기 위한 시설환경의 변화 조짐을 볼 수 있다.
TESS-NH의 구조는? 그래서 최종적인 TESS-NH의 구조는 Table 2와 같이, 네 가지의 치료목표 ①안전·안심·건강, ②방향감각, ③프라이버시·관리·독립성, ④사회환경과, 12개의 관점, ①출입구 관리, ②유지관리, ③청결도, ④안전, ⑤방향감각·사인, ⑥프라이버시, ⑦병실의 독립성, ⑧옥외를 향한 액세스, ⑨조명, ⑩잡음, ⑪시각·촉각의 자극, ⑫공간·앉는 장소, 이상 32항목(종합평가를 포함)으로 분류되어진다.
TESS-NH의 평가항목은 무엇인가? 물리적 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①바닥표면의 청결및 미끄러움, ②번쩍거리는 빛은 없는가, ③큰소리와 잡음은 없는가, ④청소세제 냄새가 가득하지 않는가, ⑤배설물의 냄새가 가득하지 않는가, ⑥거실에 사유물의 소지가 인정되고 있는가, ⑦가정적 분위기의 공유 스페이스가 있는가, ⑧옥외를 향한 액세스 정도, ⑨소그룹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가, ⑩TV가 장시간 켜져 있는 상태이지 않는가, ⑪조명은 적당한가, ⑫병실 내의 부엌은 이용가능한가, 의 12개 평가항목 으로 되어 있는 관찰수법이다. 이 수법은 각각 0~2점의 Range로 득점화하며 합계는 0~24점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태민 외, 2011,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요양시설 친환경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자연형 설계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인테리어디자인학회지 제20권 제6호, pp.216-217 

  2. 김한덕, 2013, "노인요양시설운영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제8권 제1호, pp.270-271 

  3. 박진경 외, 2011, "노인요양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연구", 한국인테리어디자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5-11 

  4. 이연숙 외, 2011, "치매노인환경을 위한 선도적 디자인 지침의 체계 비교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1호(통권277호), pp.94-96 

  5. 임채숙, 2011, "한국형 노인복지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유니버설 공간.환경디자인 지침 제안", 디자인학연구 제24권 제4호, pp.69-71 

  6. 조주영 외, 2011, "물리적환경과 치유요소를 고려한 치매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 평가도구 연구", 대한건축학회종합논문집 제13권 제1호, pp.103-107 

  7. 추연철 외, 2010, "노인요양시설의 이용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림건축학회논문집 제13권 제3호, pp.58-63 

  8. 통계청, 고령자통계, 2011 

  9. Day K. Carreon D. and Stump C, 2000, "The Therapeutic Design of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Areview of the Empirical Research",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The Gelontologist, Vol.40, No.4, pp.397-416 

  10. Grant L.A., 1996, "Assessing environment in Alzheimer special care unit:The Nursing Unit Rating Scale," Research on Aging, 18, pp.275-291 

  11. JONAS E. ANDERSSON, 2011, "Touching up" Communal Space of a Residential Home Setting: A Comparative Study of Tools for Assessing Changes in the Interior Architectural Space",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vol.25, pp. 175-216 

  12. Kovach C. Weiseman G.D. Chaudhury H. & Calkins C. 1997, "Impacts of a therapeutic environment for dementia care,"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pp.99-110 

  13. Lawton M.P. Weiseman D.G. Sloane P. and Calkins M. 1997, "Assessing Environments for Older People with Chronic Illness, In Teresi M.P. et al (eds.) Measurement in Elderly Chronic Care Population",Springer Publishing Co., pp.193-209 

  14. Mooney, P., Nicell, P.L., 1992, "The importance of exterior environment for Alzheimer residents: Effective care and risk management",Healthcare Management Forum,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Vancouver, BC, Canada, Volume 5, Issue 2, pp.23-29 

  15. Philip D. Sloane. Sheryl Zimmerman, " Therapeutic Environment Screening Scale For Nursing Homes and Residential Care(TESS-NH/RC):MANUAL", Sheps Center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6. Sloane, Philip DView, Mitchell, C Madeline, Weisman, Gerald, Zimmerman, SherylView, Foley, Kristie M Long, et al. 2002, "The Therapeutic Environment Screening Survey for Nursing Homes (TESS-NH): an observational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institutional settings for persons with dementi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7.2, pp.69-78 

  17. Thomas, D.W., 2008, "Ukrainian inpatient dementia care: A case study of two neuropsychiatric hospitals", School of Health Sciences, Eastern Michigan University, Ypsilantim, MI, United States, Volume 7, Issue 2, pp.239-249 

  18. Weiseman G.D., "Creating Places for People with Dementia: An Acton Research Perspective in Schaie K. W. et al(eds.), Aging in the Community: Living Arrangements and Mobility,"Springer Publishing Co.,in press 

  19. Weiseman G.D. Lawton M.P. Calkin M. & Norris-Baker L., 1996, "The Profess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protocol", School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Wisconsin at Milwauke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