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유아 행동 척도-2(Korean Preschool Kindergarten Behavior Scale-2: PKBS-2) 타당화 연구
A Study on Valida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2(K-PKBS-2)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4, 2014년, pp.79 - 101  

유수옥 (우석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  이기성 (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하승민 (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박수경 (우석대학교 보육교사 교육원 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validate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2(PKBS-2) and develop the Korean version PKBS-2(K-PKBS-2) through the phases of concept and statistical review.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PKBS-2 for teachers with 1,119 young children in Jeonbuk prov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obin 등(1989)의 ‘세 문화의 유치원’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의 동일한 사회적 문제행동에 대한 평가가 각 나라의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관습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매우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념 검토, 요인구조 검토, 그리고 외적 준거 검토의 세 단계의 통계적 과정을 거쳐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특성에 적합하게 검증된 한국판 유아 행동 척도-2(K-PKBS-2)의 사회적 기술 및 문제행동 척도는 가정과 교실에서 부모, 형제, 교사, 그리고 또래와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행동 위험 유아 선별과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계획을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유아 행동 척도-2(PKBS-2)가 한국 유아들에 대해서도 타당하고 신뢰로운 검사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검사 도구에 대한 개념 검토 단계 후, 우리나라 유아 1,119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후, 요인 구조 검토 단계와 외적 준거 검토 단계를 거쳐 한국판 유아 행동 척도-2(K-PKBS-2)의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의 심각한 문제행동은 어떠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가? 특히 저소득층이 재원하고 있는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에 재원하는 문제행동 위험 유아는 또래 보다 더 많은 신체적 공격성과 최고 40%의 유아가 매일 하나나 혹은 그 이상의 문제행동을 보인다고 교사들은 보고하고 있다(Kupersmidt, Bryant, & Willoughby, 2001). 유아기의 심각한 문제행동은 초등학교, 중학교 시기의 학업 능력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청년기의 비행, 학교 탈락, 갱 구성원, 성인 투옥의 하나의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Reid, Gonzales, Nordness, Trout & Epistein, 2004), 유아교실에서 이들 유아들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행동을 보일 때 함께 교육을 받는 교실의 교실내 문제 행동은 또래에게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업의 질과 교사들의 교수 효능감과도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Kang & Lee, 2006; Kim, 2007). 이와 같이 문제행동은 유아 개인의 생애 전반에 걸친 삶, 수업의 질, 그리고 교사 효능감뿐만 아니라 국가적 비용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문제행동을 무엇이라 정의하는가? 영유아가 부모, 교사, 그리고 또래 등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장난감, 교구 및 교재, 그리고 물리적 환경과 적절하지 못한 상호작용을 할 때 우리는 문제행동을 보인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문제행동이란 유아가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 자신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키는 행동, 새로운 기술 습득에 방해되는 행동, 그리고 물리적 환경에 손상을 가져오는 행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Doss & Reichle, 1991).
국내 유아 및 아동의 정신적 건강에 대한 강력한 정책적 지원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 정부의 여러 부처가 유아 및 아동의 정신적 건강에 대한 강력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차(2005∼2009년), 2차(2010∼2014년) 학교 폭력 예방대책(Ministry of Education, 2005, 2010)을 발표 하여 학교, 사회, 가정에서 발생하는 폭력 행위에 대한 적극적 대처를 강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013년부터 예비교원은 교직 소양과목인“학교 폭력의 예방 및 대책”을 반드시 이수토록 규정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2). 보건복지부에서는 유아를 포함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우울증 검사 실시, 전국 시, 군, 구에 정신 건강 지원 센터 설치 및 정신보건 전문요원을 파견, 그리고 취약 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Dream Start에서는 정서․행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2). 이와 같이 정부의 각 부처가 유아 및 아동의 정신적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강력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것은 유아 및 아동의 심각한 문제행동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Anthony, B., Anthiny, L. G., Morrel, T., & Acosta, M. (2005). Evidence for social and behavior problems in low-income, urban preschoolers: Effects of site, classroom and teacher.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 31-39. 

  2. Benson, J. (1998). Developing a strong program of construct validation: A test anxiety example.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7(1), 10-17. 

  3. Chae, G. M. (2013). Research methods in social Welfare. Paju: Yangsewon. 

  4. Cho, K. S., & Choi, J. Y. (2003).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 version of the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BASC): Parent Rating Scale-Preschool (PRS-P).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8(1), 291-314. 

  5. Choi, E. J., Kim, M. S., Kim, J. E., & Park, J. Y. (2011). A study on mental health improvement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enhancement policy and future plan.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6. Chun, H. Y. (2003). Developing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 Identification of children needing early interven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3), 151-164. 

  7. Demaray, M. K., Ruffalo, S. L., Carlson, J., Busse, B. T., Olson, A. E., McManus, S. M., & Leventhai, A. (1995). Social skills assessment: A comparative evaluation of six published rating scales. School Psychology Review, 24, 648-671. 

  8. Doh, H. S. (1994). Social competence of kindergartners and sixth graders: Its relationships to parental attention, parental protectiveness, the children's sex and their birth categ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 Doss, S., & Reichle, J. (1989). Establishing communicative alternatives to the emission of socially motivated excess behavior: A review.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14, 101-112. 

  10. Han, M. H., & Yoo, A. J. (1995). The validat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6(2), 5-21. 

  11. Hwang, H. J. (2005). The development of tests for use by parents and teachers in the diagnosis of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2), 235-257. 

  12. Hwang, H. J., Yun, M. H., Kang, S. B., Seong, N. U., & Hwang, H. S. (2002).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test for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2(1), 73-88. 

  13. Jeon, S. Y. (2009, August, 24). 13% of red light, mental health of elementary, middle, highschool students. Yonhapnews, Retrieved January. 25, 2014, from http://media.daum.net/press/newsview?newsid20090824103111799/article. 

  14. Jung, Y. M. (2010, November, 14). Increasing ADHD with children and adolescence. Kyunghyangsinmun, Retrieved March. 21, 2013,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11141713311&code940601. 

  15. Kaiser, A. P., Cai, X., Hancock, T. B., & Foster, M. E. (2002). Teacher reported behavior problems and language delay in boys and girls enrolled in Head Start. Behavioral disorder, 28, 23-29. 

  16. Kang, E. J. (2007). Korean's children's mental health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28, 60-72. 

  17. Kang, H. K. (200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al behavior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8. Kang, H. K. (2009). Rating scales for social skills: 5 rating scales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3(2), 81-104. 

  19. Kang, J. W., & Kim, S. J. (2006). The effect of children's maladjusted behaviors on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Journal of Childhood, 27(1), 17-30. 

  20. Keyes, C. L. M. (2005). Chronic physical conditions and aging: Is mental health a potential protective factor. Aging International, 30, 88-104. 

  21. Kim, B. J. (2003). Techniques for cross-cultural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questionnaire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4(10), 13-26. 

  22. Kim, K. S. (2010).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eoul: Hannare Academy. 

  23. Kim, Y. H. (2007). Determinant of teachers' quality of instruction: Focusing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quality of instruc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7(6), 213-237. 

  24. Knapp, M., Almond, S., & Percudani, M. (1999). Costs of schizophrenia: A review. Schizophrenia, 2, 407-482. 

  25. Koh, I. S. (2008). A study f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s preschool behavior checkli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6. Kupersmidt, J. B., Bryant, D., & Willoughby, M. T. (2000). Prevalence of aggressive behaviors among preschoolers in Head Start and community child care programs. Behavioral Disorder, 26(1), 42-52. 

  27. Lee, B. R., & Park, H. J. (2012). Self-reported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psychosocial health state in Korean school-age children: Focus o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1), 1-21. 

  28. Lee, H. W. (2005).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9. Lee, H. W., & Yang, O. S. (2006). The development of a social competenc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6(2), 69-92. 

  30. Lee, K. S., Shin, Y. J., Shin, D. J., Chun, Y. J., & Park, J. A. (2003). A pilot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Behavior Assessment for Children; K-BA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4), 175-191. 

  31. Lee, S. H., & Park, E. H. (2006).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in inclusive settings. Seoul: Hakjisa. 

  32. Lee, Y. H., & Kim, Y. Y. (2002). Validation of the Antisocial Behavior Scal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3), 169-121. 

  33. Lee, Y. H., & Min, S. H.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Behavior Scale (AB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8(1), 77-102. 

  34. Lee, Y. O. (2003). The validation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 A teacher-reported measure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7(1), 141-167. 

  35. Mash, E. J., & Wolfe, D. A. (2002). Abnormal child psychology. Wadsworth: Belmont. 

  36. Merrell, K. W. (1994).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s: PKBS. Clinical Psychology Pub. 

  37. Merrell, K. W. (2001). Assessment of children's social skills: Recent developments, best practices, and new directions. Exceptionality, 9(1-2), 3-18. 

  38. Merrell, K. W. (2002).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ur Rating Scales (PKBS-2). Austin, TX: PRO-ED. 

  39. Ministry of Education (2005). Primary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 (2005-2009). Seoul: Korea. 

  40. Ministry of Education (2010). Secondary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 (2010-2015). Seoul: Korea. 

  41. Ministry of Education (2012). Improving teacher recruitment system. Seoul: Korea. 

  4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05). Role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mental hospital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of general popul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43. Ministr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2). Psychology emotional healing service innovation for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 (1st year). Seoul: Korea. 

  44. Moon, S. W. (2013).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elementary level, student form(K-SSRS-S: Elementary level).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1), 199-215. 

  45. Moy, S. (1992). A culturally sensitive, psychoeducational model for understanding and treating Asian-American clients.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4, 358-367. 

  46. Mun, J. S. (2006, August, 3). 1 in 4 elementary studens have emotional disturbance. Saegyeilbo, Retrieved March. 15, 2012, from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60803210411193. 

  47. Nam, K. S. (2006). How to do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Seoul: Freedom Academy. 

  48. Oh, M. S. (2008). A discriminant validation study of K-C-TRF.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9. Oh, S. H., & Kim, B. J. (2002). New concept of validity for psychological assessment instruments and its usage.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3(3), 111-126. 

  50. Park, J. H., & Rhee, U. H. (2001). Development of a peer competence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 221-232. 

  51. Qi, C. H., & Kaiser, A. P. (2003). Behavior problems of preschool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Review of the literature.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3, 188-216. 

  52. Reid, I. (1993). Prevention of conduct disorder before and after school entry: Relating interventions to developmental finding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5, 243-262. 

  53. Reid, R., Gonzalez, J. E., Nordness, P. D., Trout, A., & Epstein, M. H. (2004). A meta-analysis of the academic status of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turbance.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8(3), 130-143. 

  54. Reid, R., Gonzalez, J. E., Nordness, P. D., Trout, A., & Epstein, M. H. (2004). A meta-analysis of the academic status of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turbance.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8(3), 130-143. 

  55. Suh, M. O. (2004). 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preschool level (K-SSRS: Teacher and Parent Form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2), 223-242. 

  56. Tobin, J. J., Wu, D. Y., & Davidson, D. H. (1989). Preschool in three cultures: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Yale University Press. 

  57. Webster-Stratton, C. (2000). Oppositional defiant and conduct disordered children. In M. Hersen, & R. T. Ammerman (Eds.). Advanced abnormal child psychology (2nd ed.) (pp. 387-412). Mahwah, NJ: Lawence Erlba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