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스커트 길이 스타일 변화주기에 관한 연구 - 1950년부터 2013년까지 Vogue 자료를 중심으로 -
Style changes on women's hemline length - Focus on daywear in Vogue's 1950~2013 magazine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2 no.4, 2014년, pp.543 - 554  

안인숙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ether hemline cycles exist and whether hemlines show greater within-year variability over time. Utilizing US Vogue data from 1950 to 2013 on hemline length of women's daywear, total 2102 day-dresses or skirts on full fashion pictures were analyzed. The skirt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60여년 자료만으로 세기나 그 이상 기간에 발생하는 장기적인 스타일 변화주기를 연구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패션사진이 사용된 이후 시점인 1950년대 이전 시대를 포함함과 동시에 2013년 이후의 스타일 변화를 분석하여 주기성을 연구하는 것과 더불어 치마길이의 변화만 분석하기 보다는 실루엣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요인, 즉 치마길이의 폭, 허리선, 그리고 네크라인 등을 포함하여 연구하기를 제안한다. 둘째, 보그지가 패션에 있어서는 그 역사성이나 명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나, 이 자료만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것은 편향된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1950년 이후 2013년에 이르는 63년간의 일상용 치마와 드레스의 길이 변화분석을 통해 5번의 주기 중 네 번의 완성된 주기와 한 번의 현재 진행 중인 주기를 관찰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도 이후 스타일 요소 중의 하나인 치마길이가 일정한 패턴과 주기성을 갖고 변화하는지, 그리고 연도가 지남에 따라 해당 연도 내에 다양한 치마길이가 공존하는 가변성이 커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와 반대적인 결과는 위 세 논문이 사용한 방식과 다른 측정방식 사용에 기인할 가능성도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본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하는 연구들은 단지 주기성의 유무만을 보고하였지만, 본 연구는 보다 상세한 주기결과를 관찰하였다. 즉, 1950년에서 2013년간 치마길이의 변동 주기를 총 5회 관찰하였는데, 첫째와 셋째 주기는 15년 이상에 걸쳐 일어났으며, 둘째와 넷째 주기는 10년 이하로 단기적으로 발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시간으로 세계의 다양한 지역 소비자들에게 공유되고 있는 유행정보에 따른 현상은? 최근에는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이 대중화 되고 모바일(스마트폰과 태블랫) 사용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시장의 유행정보는 시간과 지역, 그리고 국가경계를 넘어 실시간으로 세계의 다양한 지역 소비자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유행예측을 통해 판매기간보다 한 시즌 앞서 상품 생산을 하여야 하고, 더욱이 계절성이 뚜렷하고 유행에 민감한 상품속성을 다루는 의류업계는 업체가 소비자의 유행에 적합한 상품을 갖추지 못할 경우, 사업에 치명적 손실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패션 스타일의 변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변화 주기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대부분이 2000년대 이전의 연구이다.
패션관련 학자들과 인류학 학자들의 논점이 되어온 질문은? 어떤 요인이 패션스타일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가?’라는 질문은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패션관련 학자들과 인류학 학자들의 논점이 되어 왔다. 패션주기이론(Fashion cyclic theory)에 의하면 패션의 변화는 패션의 자체적이고 점진적인 변화 특성에 따라 조금씩 일정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시계추처럼 움직인다고 한다(Belleau, 1987; Sproles, 1981).
패션주기이론에 의한 팬션의 변화는? ‘어떤 요인이 패션스타일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가?’라는 질문은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패션관련 학자들과 인류학 학자들의 논점이 되어 왔다. 패션주기이론(Fashion cyclic theory)에 의하면 패션의 변화는 패션의 자체적이고 점진적인 변화 특성에 따라 조금씩 일정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시계추처럼 움직인다고 한다(Belleau, 1987; Sproles, 1981). 최근에는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이 대중화 되고 모바일(스마트폰과 태블랫) 사용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시장의 유행정보는 시간과 지역, 그리고 국가경계를 넘어 실시간으로 세계의 다양한 지역 소비자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lleau, B. D.(1987). Cyclical fashion movement: women's day dresses: 1860-1980.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5(2), 15-20. 

  2. Blumer, H.(1969). Fashion: From class differentiation to collective selection. The Sociological Quarterly, 10(3), 275-291. 

  3. Curran, L.(1993). The search for the Euro-consumer: An analysis of French and British fashions, 1950-1990. The Journal of Clothing Technology and Management, 10(2), 1-10. 

  4. Curran, L.(1999). An analysis of cycles in skirt lengths and widths in the UK and Germany, 1954-1990.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2), 65-72. 

  5. Docherty, C. A., Hann, M. A., & Schgor, K. V.(2000). Stylistic change in womenswear products -A reappraisal.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91(2), 127-142. 

  6. Duggan, M., & Smith, A.(2013, September 16). Cell Internet Use 2013. In Pew Research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pewinternet.org/2013/09/16/cell-internet-use-2013/ 

  7. Fay, M.(2006). Cyclical patterns in the content of advertisements: Replication, confirmation, extension and revis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0(1/2), 198-217. 

  8. Hann, M. A., & Jackson, K. C.(1987). Fashion: An interdisciplinary review. Textile Progress, 16(4), 1-58. 

  9. Horn, M. J.(1968).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Boston: Houghton Mifflin. 

  10. Jack, N. K., & Schiffer, B.(1948). The limits of fashion control.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3(6), 730-738. 

  11. Kroeber, A. L.(1919). On the principle of order in civilization as exemplified by changes of fashion. American Anthropologist, 21(3), 235-263. 

  12. Lowe, E. D., & Lowe, J. W.(1990). Velocity of the fashion process in women's formal evening dress, 1789-1980.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1), 50-58. 

  13. Lowe, J. W., & Lowe, E. D.(1982). Cultural pattern and process: A study of stylistic change in women's dress. American Anthropologist, 84(3), 521-544. 

  14. Lowe, J. W., & Lowe, E. D.(1984). Stylistic change and fashion in women's dress: Regularity or random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1), 731-734. 

  15. Platt, E.(2012, February 20). Skirts are getting shorter and that's bullish for the economy. Businessinsider. com. Retrieved from http://www.businessinsider. com/hemline-index-2012-2 

  16. Richardson, J., & Kroeber, A. L.(1940). Three centuries of women's dress fashions: A quantitative analysis. Anthropological Records, 5(2), 111-153. 

  17. Robinson, D. E.(1958). Fashion theory and product design. Harvard Business Review, 36(6), 126-138. 

  18. Solomon, M. R.(1985). The psychology of fash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19. Weeden, P.(1977). Study patterned on Kroeber's investigation of style. Dress, 3(1), 9-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