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연구 및 패션디자인·미학·복식사 분야 관련 연구동향 - 2004~2013년 및 <복식문화연구>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trends of fashion studies and fashion design·aesthetics·fashion history field - Focused on 2004~2013 and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2 no.4, 2014년, pp.579 - 594  

한수연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김영선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reas of fashion research and fashion design aesthetics & fashion history have been studied under a common research heading as a Humanities subject in the UK and the USA, and as Clothing and Textiles Stud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2004~2013 research tendenci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패션연구 및 패션디자인 및 미학, 복식사분야의 국내외 학술 활동의 동향을 고찰하고자, 최근 10년간 영미 패션연구와 국내 의류학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패션디자인 및 미학, 복식사 분야의 연구동향을 학술지 논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해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4~2013년 간행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ISSN 1362-704X, On-line ISSN 1751-7419, Bloomsbury Journals(이전의 Berg Journals) 출판)> 논문기사 181편과, <복식문화연구(pISSN 1226-0401, 거목문화사)> 논문 중 패션 디자인 미학 및 복식사 분야 359편을 수집하고, 각 논문의 연구동향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논문게재방식과 내용, 즉 연구의 대상, 관련 시대 및 지역, 연구방법론, 주제를 내용분석을 통해 파악한 후, 빈도분석과 χ2-test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미권 패션연구 학술지 와 국내 의류학 학술지 의 논문을 표본으로 삼아,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패션연구 및 패션 디자인ㆍ미학ㆍ복식사 분야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고찰함에 있어서 특히 A & HCI(Arts & Humanities Citation Index)급 학술지  논문기사와 국내 학술지 패션디자인ㆍ미학ㆍ복식사 분야 논문의 게재방식 및 내용을 살펴보고, 그 연구 동향의 차이를 고찰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에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 전체 연구동향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과 병행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술지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χ2- test의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전체 연구동향 및 학회지별 연구동향, 각 세부 변수별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특히 와 의 논문게재방식과 내용, 즉 연구의 대상, 관련 시대 및 지역, 연구방법론, 타 분야와의 연계성과 주제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류학의 학술전개 시도는? 한편, 국내에서는 의류학의 세부분야로서 패션 디자인·미학·복식사 분야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의류학은 생활과학의 일부로서, 패션디자인·미학·복식사 분야 외에도 패션 마케팅, 의복구성, 피복과학 등의 세부 분야에서 다학제적인 학술전개를 시도한다.
패션연구를 토대로 다뤄진 해마다 특화된 주제는? 그를 주축으로 지난 18년간 [Fashion Theory]에 패션에 관한 다양한 영역과 깊이의 학술기사가 꾸준히 발표되어왔다. 해마다 특화된 주제, 즉 패션과 에로티시즘(1999), 패션과 사진(2002), 패션과 오리엔탈리즘(2003), 팜므파탈(2004), 패션과 복식과 소비(2004), 복식과 젠더(2005), <보그>(2006), 무슬림 패션(2007), 전시와 패션 큐레이션(2008), 에코패션(2008), 오스트렐리아 패션(2009), 복식과 아프리칸 디아스포라(2010), 뉴 유러피안 패션(2011), 세계 패션(2012), 패션과 포르노그래피(2014) 등을 통해 시의적절하고 다양한 담론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패션은 본질적으로 상호학제적 분야로서, 앞으로도 다학제적, 다중적인 방향으로 연구될 학문적 필요성이 있다(McNeil, 2010).
국내에서 의류학의 세부분야로 연구되어진 것은? 한편, 국내에서는 의류학의 세부분야로서 패션 디자인·미학·복식사 분야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의류학은 생활과학의 일부로서, 패션디자인·미학·복식사 분야 외에도 패션 마케팅, 의복구성, 피복과학 등의 세부 분야에서 다학제적인 학술전개를 시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reward, C.(1998). Cultures, identities, histories: Fashioning a cultural approach to dress. Fashion Theory, 2(4), 301-314. 

  2. Choi, H. J.(2012). A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of fashion design & aesthetic field in Korea - Focu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01-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3), 152-162. 

  3. Granata, F.(2012). Fashion studies in-between: A methodological case study and an inquiry into the state of fashion studies. Fashion Theory, 16(1), 67-82. 

  4. Kim, M. H.(2009).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fashion illust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8), 1337-1346. 

  5. Kim, M. J.(2004). Aesthetics in dress I. Seoul: Kyomoonsa. 

  6. Lee, E. Y.(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Suhaksa. 

  7. Lee, M. S.(2002). A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4), 97-109. 

  8. McNeil, P.(2010). Conference report: The future of fashion studies. Fashion Theory, 14(1), 105-110. 

  9. Palmer, A.(1997). New directions: Fashion history studies and research in North America and England. Fashion Theory, 1(3), 297-312. 

  10. Park, S. H., & Park, G. A.(2012). The analysis on the trend of the women's wear researches - In consideration of the apparel related journals publication listed on the KCI (Korean Citation Index) from 2001 to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8), 1-18. 

  11. Rha, S. I., Lee, J. S., & Bae, J. H.(2000). A state-ofart review of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in Korea: 1991-1999.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8(6), 853-863. 

  12. Ryu, S. O., Kim, K. S., & Kan, H. S.(2006). Fashion design. Seoul: Suhaksa. 

  13. Ryu, S. O., Lee, E. Y., & Hwang, S. J.(1998). Fashion culture. Seoul: Kyomunsa. 

  14. Steele, V.(1997). Letter from the editor. Fashion Theory, 1(1), 1-2. 

  15. Steele, V.(Ed.)(2010). The Berg companion to fashion. Oxford and NY: Berg. 

  16. Sung, S. K.(1997). Clothology. Seoul: Kyomoonsa. 

  17. Yang, Y. J., & Oh, C. S.(2012). Research on the Korean design study tendency for resent 10 year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5, 44-45. 

  18. "Department of Media Studies - Fashion Studies: courses and programs". http://www.ims.su.se/english/education/courses-and-programmes/courses-in-fashion-stud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