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복식 디자인의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 <복식>과 <한복문화> 학술지를 중심으로 -
Research trend of Korean costume design - Focusing 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and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8 no.5, 2020년, pp.677 - 691  

한민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  이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ot of work has been done on the topic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In spite of the amount of the work, however, not much work has appeared that summarizes the overall research trend in such a way that we gain insights into the future dir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field.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다음 학술지별 약 10년간의 단위로 기수를 나누어 시기별 및 분야별로 한국복식 및 한국적 전통에 관한 연구동향의 변화 흐름을 정리하였다. 나아가 각 분야별 연구동향을 비교하여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의 현재 위치를 알아보고,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에 관한 연구동향 내용을 다시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중심으로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넷째, 실질적 한국복식 디자인 및 작품 제시 연구는 실제 실물 작품을 제작하여 제시한 연구와 실물 작품까지는 아니어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나 도식화,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결론적으로 전체적인 의상 작품을 개발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들을 포함하였다. 이는 디자인 개발 방향 제시에서 더 확장되어 디자인적 방법론을 적용한 작품 연구로, 개발된 디자인의 결과물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는 명확히 분류되지 않았던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를 한국 ‘복식’과 ‘디자인’에만 초점을 둠으로써 한복 및 한국적 전통을 모티브로 활용한 패션디자인 분야만의 동향을 면밀히 조사하여 연구개발 방향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복식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특히 한국 문화 및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담은 창의적인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 개발이 필요한 현 시점에서 실질적 디자인 제시에 관한 연구 개발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한국복식 디자인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식 중심의 학술지들을 대상으로 한국복식의 전반적 연구 동향을 분야별로 정리하고, 시기별로 그 동향을 세분화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연구 변화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보이는 한편, 향후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의 발전을 위해 어떠한 점이 시급히 요구되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K.
  • 이에 따라 한국복식 및 한국적 전통에 관한 연구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그리고 활발히 개진되고 있는 학술지인 한국복식학회의 과 한복문화학회의 를 중심으로 시기별 및 분야별로 한국복식 및 한국적 전통에 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에 관한 연구동향 내용을 다시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식 중심의 학술지들을 대상으로 한국복식의 전반적 연구 동향을 분야별로 정리하고, 시기별로 그 동향을 세분화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연구 변화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보이는 한편, 향후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의 발전을 위해 어떠한 점이 시급히 요구되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K. H. Kim(2017)은 한국복식의 디자인 분야를 미학 분야와 함께 수치화하여 정리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두 분야를 더욱 세분하여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그 동향을 면밀히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복식의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한국복식의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Kim(2007)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복문화학회 연구 현황에 관한 고찰” 연구와 K. H. Kim(2017)의 “한국복식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 분석” 연구가 있다. Kim(2007)의 연구는 한복문화학회지의 창간호인 1998년부터 2007년 10권 1호까지 한국복식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그 외 발행된 모든 연구들까지 포함하여 분석한 연구였다.
한복에 관한 Kim(2007)의 연구 분야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Kim(2007)의 연구는 한복문화학회지의 창간호인 1998년부터 2007년 10권 1호까지 한국복식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그 외 발행된 모든 연구들까지 포함하여 분석한 연구였다. 연구 분야는 역사, 디자인, 미학, 산업, 염색, 구성, 동양, 기타 총 8개로 나누어 각각의 동향을 정리하였다. K.
한복이 세계 각국의 사람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호의를 얻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K-drama, K-pop, K-beauty 등의 한국 문화가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의상인 한복도 세계 각국의 사람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호의를 얻게 되었다.(Wang,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hn, J.-W., & Hong, N.-Y. (2017). A study on tohw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5), 61-74. doi:10.7233/jksc.2017.67.5.061 

  2. An, M. S. (2007).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xcavated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3), 14-22. 

  3. Chang, M.-J. (2018). A study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2), 17-34. doi:10.16885/jktc.2018.6.21.2.17 

  4. Cho, W. H., & Kim, M. Y. (2010). Research on consumer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 130-143. 

  5. Choi, I.-S., & Kim, E.-J. (2016). A study on the production a norigae using motive ornaments in music instrumen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9(1), 43-55. doi:10.16885/jktc.2016.02.19.1.43 

  6. Choi, I.-S., & Kim, E.-J. (2019). Development of tshirt textile design by motifs of traditional jogakbo and hangeul.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1), 17-27. doi:10.16885/jktc.2019.03.22.1.17 

  7. Chun, H.-S., & Kim, E.-H. (2019). Traditional Korean hand and nail beautification cultur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1), 29-45. doi:10.16885/jktc.2019.03.22.1.29 

  8. Hwang, E.-S. (2009). Modification of hanbok design appearing in art works of designer Lee RheeZ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2), 43-60. 

  9. Jung, S.-E., & Lee, S.-Y. (2018). A study on the color features of female hanbok in modern time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3), 23-36. doi:10.16885/jktc.2018.9.21.3.23 

  10. Kim, E. Y. (2017, February 27). 기모노 기죽인 '한복의 미' ... 외국인 손끝에서 재탄생한 한복 [The beauty of hanbok: Hanbok reborn from the finger tips of foreigners]. Chosun Biz,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633143&memberNo28162671 

  11. Kim, E. Y. (2019, January 18). 루이비통 패션쇼에 태극기가 등장했다 [The Korean flag Taegeukgi appeared on the Louis Vuitton fashion show]. Chosun Ilbo,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8/2019011800418.html 

  12. Kim, H.-J., & Chang, M.-J. (2015). A study of pattern analysis in the books entitled hanbok construction - Focusing on the womens jeogori.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8(2), 95-109. doi:10.16885/jktc.2015.6.18.2.95 

  13. Kim, J. A., & Lee, E.-J. (2013).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clothing industr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6(1), 179-193. doi:10.16885/jktc.2013.04.16.1.179 

  14. Kim, K. H. (2017). Study on Korea costum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 Focused on journal publications from 2005 through 2015.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0(1), 5-16. doi:10.16885/jktc.2017.03.20.1.5 

  15. Kim, M. J. (2016, January). Fashion designer 김영진 [Fashion designer Kim youngjin]. Design House,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3/72730 

  16. Kim, M. J., & Kim, S.-Y. (2019). A study on the design of saenghwal hanbok for infants and toddlers using Hubaekje roof-tile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1), 91-108. doi:10.7233/jksc.2019.69.1.091 

  17. Kim, S. A., & Choi, K. S. (2011).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angryeong in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7), 17-34. 

  18. Kim, S. Y. (2019, July 19). BTS가 입은 이 한복, 없어서 못팔아요 [Hanbok worn by BTS, selling like hot dogs]. Chosun Ilbo,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19/2019071900054.html 

  19. Kim, T. W. (2018, February 20). 해외 디자이너들의 '한글 사랑'이 계속되고 있다 [Foreign designers' love of hangeul continues]. HUFFPOST,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gotgam_kr_5a8bcb06e4b0117adf7155b1 

  20. Kim, Y. J. (2007). A study on the study status of hanbok cultural society examined through scientific journal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0(3), 131-137. 

  21. Kim, Y. K., Kim, J. M., & Hong, N. Y. (2013). A study on the mannequins for the display of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6), 113-126. doi:10.7233/jksc.2013.63.6.113 

  22. Kim, Y. R. (2019, December 4). '한국기모노'에 통곡하던 故이영희 한복, 佛기메박물관 기증(종합) [Lee Young-hee's hanboks donated to the Guimet Museum, France]. Yonhap News,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91203167651081?input1195m 

  23. Lee, A.-R., & Chun, H.-S. (2012).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incense described in the geology section of ‘True records of King Sejong’.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5(3), 67-83. 

  24. Lee, B.-H., & Lee, C.-W. (2016). The development of program of practical education of hanbok culture: Focus on life-ceremonial clothe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9(4), 77-91. doi:10.16885/jktc.2016.12.19.4.77 

  25. Lee, E. J. (2008). Royal ladies’ hair styles of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3), 19-33. 

  26. Lee, E.-J., Kim, Y.-S., & Kim, M.-G. (2018). Historical study on the official costume of the Ungjin Baekje 5-kings memorial servic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4), 157-175. doi:10.16885/jktc.2018.12.21.4.157 

  27. Lee, J.-E., & Kwon, Y.-S. (2013). A study on the jeogori pattern for early elementary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6(3), 31-48. doi:10.16885/jktc.2013.12.16.3.31 

  28. Lee, J.-Y. (2018). A study on the applications and appearance of jeongja-gwan in the late Joseon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8(5), 179-192. doi:10.7233/jksc.2018.68.5.179 

  29. Lee, M. J., Lee, J. S., & Lee, K. M. (2018). A content analysis of Maeil Shinbo editorials on clothing culture in the 191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8(7), 119-136. doi:10.7233/jksc.2018.68.7.119 

  30. Lee, M.-S., & Chung, K.-H. (2019). An exploratory study for building an online platform for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1), 101-119. doi:10.16885/jktc.2019.03.22.1.101 

  31. Lim, S. Y. (2015, May 7). 샤넬 2015-16 크루즈 컬렉션 '한복'에 대한 '라거펠트'의 풀이 [Lagerfeld on Chanel 2015-16 cruise 'hanbok' collection].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5/05/433821/ 

  32. Park, G.-Y. (2013). The analysis of utilization and problems of Korean ancient armor as cultural content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6(2), 153-165. doi:10.16885/jktc.2013.08.16.2.153 

  33. Park, K. H. (2015, October 22). 패션이 된 한글 [Hangeul becomes fashion]. Chosun Ilbo,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9/17/2015091701970.html 

  34. Park, K. S. (2013, January). 한복의 재발견, 어울림 [Rediscovery of hanbok, eoullim]. Design House,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happy.designhouse.co.kr/magazine/magazine_view?info_id61754 

  35. Park, S. M. (2019). An observation on Kyung-Ja Choi, first generation Korean fashion designer - Focus on the activities from 1950s to 1970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d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3), 119-140. doi:10.7233/jksc.2019.69.3.119 

  36. Sim, Y. O. (2019). A study on textiles from the wooden bodhisattva statue built in 1502 at Gwaneumsa temp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2), 74-89. doi:10.7233/jksc.2019.69.2.074 

  37. Song, M. K. (2017). The excavated costume of tomb for Seonseonggun(宣城君) Lee Heum(李欽, 1522-1562).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0(4), 83-96. doi:10.16885/jktc.2017.12.20.4.83 

  38. Wang, J. H. (2011, June 12). The traditional hanbok in the modern world. Epoch Times,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s://www.theepochtimes.com/the-traditional-hanbok-in-the-modern-world_1497109.html 

  39. Yang, C. E., & Ryu, S. O. (2000).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reformed Korean traditional clothing and a scheme for high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3), 14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