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의 유리아미노산 및 폴리페놀 화합물의 분석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Polyphenol Compounds from Lycopene Variety of Cherry Tomatoes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3, 2014년, pp.37 - 49  

김현룡 (서원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안준배 (서원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의 식품학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리아미노산, 아미노산 대사물질폴리페놀 화합물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은 L-Cys과 L-Try을 제외한 18종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의 유리아미노산 중 L-Glu이 건조 중량 100 g 당 2,499.02 mg이 함유되어 전체 아미노산 중 55.5%를 차지하고 있어 유리아미노산 중 가장 많은 함유량을 보였다. 그리고 L-Gln이 전체 아미노산 중 15.9%, L-Asp가 9.9% 함유되어 있어 L-Glu, L-Gln 및 L-Asp가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81%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구성 아미노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트립토판을 제외한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발린필수아미노산이 고루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인 측면에서 좋은 식품소재로 판단된다. 라이코펜 품종은 ${\gamma}$-aminobutyric acid(GABA), carnitine(L-Car), o-phosphoethanolamine(o-Pea), hydroxylysine(Hyl) phosphoserine(p-Ser), N-methyl-histidine(Me-His), ethanolamine($EtNH_2$) 등 아미노산 대사물질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이 중 GABA가 건조 중량 100 g 당 305.99 mg으로 유리아미노산 대사물질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LC/MS/MS 분석을 통해 라이코펜 품종으로부터 caffeic acid-hexose isomer I (CH I), caffeic acid-hexose isomer II (CHII), 3-caffeoylquinic acid(3-CQA), 5-caffeoylquinic acid(5-CQA), caffeoylquinic acid isomer(CQAI), quercetin-hexose-deoxyhexose-pentose(QTS), quercetin-3-rutinoside(Q-3-R), di-caffeoylquinic acid(di-CQA), tri-caffeoylquinic acid(tri-CQA), naringenin chalcone(NGC) 등 10종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특히, 항알러지효과, 2형 당뇨 억제 및 비만억제효과를 보이는 NGC이 건조 중량 100 g 당 67.6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Q-3-R이 50.9 m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은 18종의 유리아미노산과 트립토판을 제외한 8종의 필수아미노산이 고루 함유되어 있고 GABA, NGC, Q-3-R 등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영양이나 건강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식품 소재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lucidate the usefulness of Lycopene, a cherry tomato variety, as a food material, the compositions of free amino acids, amino acid metabolites and polyphenol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HPLC and LC-MS/MS method. Lycopene contained eighteen free amino acids except for L-Cys and L-T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의 유리아미노산, 아미노산 대사물질 및 폴리페놀성 물질의 조성을 확인하여 방울토마토의 식품학적 가치와 활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에는 18종의 아미노산이 고루 포함되어 있고 트립토판을 제외한 8종의 필수아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신경전달물질 증가 효과가 있는 GABA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인 면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매우 우수한 식품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방울토마토의 식품학적 가치와 유용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는 방울토마토의 식재료, 가공제품 원료로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의 식품학적 가치를 규명하고 활용도를 높이는데 일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재배된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을 대상으로 HPLC를 사용하여 유리아미노산, 아미노산 대사물질을 분석함으로써 영양학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또한,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에 포함된 폴리페놀성 물질을 HPLC, LC-MS/MS로 분석 및 동정함으로써 생리활성 성분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마토란? 토마토는 다양한 영양소와 생리활성물질의 좋은 급원이며 세계적으로 소비량이 많은 중요한 채소이다(Friedman M 2002 ; Frusciante L et al 2007). 국내에서 재배되는 토마토는 일반 완숙토마토와 방울토마토(cherry tomato)가 있으며 육종을 통해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농가에 보급되어 있다(Choi SH et al 2011c).
국내에서 재배되는 토마토의 종류는? 토마토는 다양한 영양소와 생리활성물질의 좋은 급원이며 세계적으로 소비량이 많은 중요한 채소이다(Friedman M 2002 ; Frusciante L et al 2007). 국내에서 재배되는 토마토는 일반 완숙토마토와 방울토마토(cherry tomato)가 있으며 육종을 통해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농가에 보급되어 있다(Choi SH et al 2011c). 토마토를 식재료로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리나 가공 특성뿐만 아니라 함유 성분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 토마토의 함유 성분은? 일반 토마토의 경우는 성분과 기능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토마토는 비타민 A, B, C, E, K 등과 미네랄, 카로틴 및 라이코펜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Lee HB et al 1972). 토마토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의 농도와 특성은 생육환경, 숙도 등에 영향을 받으며 품종간에도 많은 차이가 있다(Davies JN & Hobson GE 1981 ; Lenucci MS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a P, Franz B, ZZeljan M, Ana M, Biljana N. Nikola K (2009).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burr parsley (Caucalis platycarpos L.),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olecules 14(7):2466-2490. 

  2. Boggio SB, Palatnik JF, Heldt HW, Valle EM (2000). Changes in amino acid composition and nitrogen metabolizing enzymes in ripening fruits of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Plant Sci 159(1):125-133. 

  3. Chang JS, Lee BS, Kim YG (1992).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s and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4):315-319. 

  4. Choi SH, Kim HY, Kim HJ, Lee IS, Kozukue N, Levin CE, Friedman M (2011a). Free amino acid and phenolic comtents and antioxidative and cancer cell- inhibiting activities of extracts of 11 greenhouse-grown tomato varieties and 13 tomato-based foods. J Agric Food Chem 59(24):12801-12814. 

  5. Choi SH, Ahn JB, Kozukue N, Levin CE, Friedman M (2011b). Distribution of free amino acids, flavonoids,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jube(Ziziphus jujuba) fruits and seeds harvested from plants grown in Korea. J Agric Food Chem 59(12):6594-6604. 

  6. Choi SH, Kim DH, Kim DS (2011c) Comparison of ascorbic acid, lycopene, ${\beta}$ -carotene and ${\alpha}$ -carotene contents in processed tomato products, tomato cultivar and part. Korean J Culinary Res 17(4):263-272. 

  7. Choi SH, Lee SH, Kim HJ, Lee IS, Nobuyuki K, Levin CE, Friedman M (2010). Changes in free amino acid, phenolic, chlorophyll, carotenoid, and glycoalkaloid contents in tomatoes during 11 stages of growth and inhibition of cervical and lung human cancer cells by green tomato extracts. J Agric Food Chem 58(13): 7547-7556. 

  8. Clifford MN, Hohnston KL, Knight S, Kuhnert N (2003). Hierarchical scheme for LC-MSn identification of chlorogenic acids. J Agric Food Chem 51(10):2900-2911. 

  9. Clifford MN, Knight S, Kuhnert N (2005). Discriminating between the six isomer of dicaffeoylquinic acid by LC-MSn . J Agric Food Chem 53(10):3821-3832. 

  10. Davies JN, Hobson GE (1981). Constituents of tomato fruit -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nutrition, and genotype. CRC Crit Rev Food Sci Nutr 15(3):205-280. 

  11. Edward G (1999). Tomatoes, tomato-based products, lycopene and cancer. J National Cancer Institue 91(4):317-331. 

  12. Edward G, Eric BR, Yan L, Meir JS, Walter CW (2002). A prospective study of tomato products, lycopene and prostate cancer risk. J National Cancer Institue 94(5):391-398. 

  13. Fabrea N, Rustana I, de Hoffmannb E, Quetin-Leclercqc E (2001). Determination of flavone, flavonol, and flavanone aglycones by negative ion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 trap mass spectrometry. J Am Soc Mass Spectrom 12(6):707-715. 

  14. Friedman M (2002). Tomato glycoalkaloids : role in the plant and in the diet. J Agric Food Chem 50(21):5751-5780. 

  15. Friedman M, Levin CE (2008). Review of methods for the reduction of dietary content and toxicity of acrylamide. J Agric Food Chem 56(15):6113-6140. 

  16. Frusciante L, Carli P, Ercolano MR, Pernice R, Di Matteo A, Fogliano V, Pellegrini N (2007). Antioxidant nutritional quality of tomato. Mol Nutr Food Res 51(5):609-617. 

  17. Hirai S, Kim YI, Goto T, Kang MS, Yoshimura M, Obata A, Yu R, Kawada T (2007). Inhibitory effect of naringenin chalcone on inflammatory chang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adipocytes and macrophages. Life Sci 81(16):1272-1279. 

  18. Horiba T, Nishimura I, Nakai Y, Abe K, Sato R (2010). Naringenin chalcone improves adipocyte functions by enhancing adiponectin production. Mol Cellular Endocrinol 323(2):208-214. 

  19. Iwamura C, Shindoda K, Yoshimura M, Watanabe Y, Obata A, Nakayama T (2010). Naringenin chalcone suppresses allergic asthma by inhibitiong the Type-2 function of CD4 T cells. Allergol Int 59(1):67-73. 

  20. Jung CH, Cho CH, Kim CJ (2007). Anti-asthmatic action of quercetin and rutin in conscious guinea-pigs challenged with aerosolized ovalbumin. Arch. Pharmacal Research 30(12): 1599-1607. 

  21. Kim SJ, Kim JY, Chang YE (2012). Physiological activites of saccharified cherry tomato gruel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cherry tomato pure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6):773-779. 

  22. Lee HB, Yang CB, Yu TJ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I). Korean J Food Sci Technol 4(1):36-43. 

  23. Lee KR, Kozukue N, Han JS, Park JH, Chang EY, Baek EJ, Friedman M (2004). Glycoalkaloids and metabolites inhibit the growth of human colon(HT29) and liver(HepG2) cancer cells. J Agric Food Chem 52(10):2832-2839. 

  24. Lee MS, Kim GH (1986). Quality evaluation of raw tomato fruits. J Food Sci 18(5):335-338. 

  25. Lee YC (1984). Effect of ripening methods and harvest time on vitamin content of tomatoes. Food Sci Biotechnol 16(1):59-65. 

  26. Lenucci MS, Cadinu D, Taurino M, Piro G, Dalessandro G (2006). Antioxidant composition in cherry and high-pigment tomato cultivars. J Agric Food Chem 54(7):2606-2613. 

  27. Leventhal AG, Wang YC, Pu ML, Zhou YF, Ma Y (2003). GABA and its agonists improved visual cortical function in senescent monkeys. Science 300(5620):812-815. 

  28. Metodiewa D, Kochman A, Karolczak S (1997) Evidence for antirad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our biologically active N,N-Diethylaminoethyl ethers of flavaone oximes: A comparison with natural polyphenolic flavonoid rutin action. IUBMB Life 41(5):1067-1075. 

  29. Moco S, Bino RJ, Vorst O, Verhoeven HA, Groot J, van Beek TA, Vervoort J, Ric de Vos CH (2006). A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based metabolome database for tomato. Plant Physiol 141(4):1205-1218. 

  30. Mullen W, Marks SC, Crozier A (2007). Evalu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commercial fruit juices and fruit drinks. J Agric Food Chem 55(8):3148-3157. 

  31. Na YP, Lee SM, Roh KS (2007).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isolated from cherry tomato. J Life Sci 17(2):254-259. 

  32. Navarro-Nunez L, Lozano ML, Palomo M, Martinez C, Vicente V, Castillo J, Benavente-Garcia O, Diaz-Ricart M, Escolar G, Rivera J (2008). Apigenin inhibits platelet adhesion and thrombus formation and synergizes with aspirin in the suppression of the arachidonic acid pathway. J Agric Food Chem 56(9): 2970-2976. 

  33. Nicolas B, Hilled F (2004). GABA in plants : just a metabolite? Trends Plant Sci 9(3):110-115. 

  34. Oshima S, Ojima F, Sakamoto H, Ishiguro Y, Terao J (1998). Supplementation with carotenoids inhibits singlet oxigen-mediated oxidation of human plasma low-density lipoprotein. J Agric Food Chem 44(8):2306-2309. 

  35. Pratta G, Zorzoli R, Boggio SB, Picardi LA, Valle EM (2004). Glutamine and glutamate levels and related metabolizing enzymes in tomato fruits with different shelf-life. Scientia Horticulturae 100(1):341-347. 

  36. Raffo A, Malfa GL, Fogliano V, Maiani G, Quaglia G (2006) Seasonal variations in antioxidant components of cherry tomatos(Lycopersicon esculentum cv. Naomi F1). J Food Comp Anal 19(1):11-19. 

  37. Roh KS (2010). Antifungal activity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isolated locular fluid of cherry tomato fruit. KSBB Journal 25(3):289-296. 

  38. Ryu BH, Moon KD, Kim SD, Sohn TH (1990). The changes of hardness and mineral components of tomato fruits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Nutr 19(2):115-120. 

  39. Shelp BJ, Bown AW, McLean MD (1999).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 aminobutyric acid. Trends Plant Sci 4(11):446-452. 

  40. Stahl W, Heinrich U, Wiseman S, Eichler O, Sies H, Tronnier H (2001). Dietary tomato paste protects against ultraviolet light-induced erythema in human. J Nutr 131(5):1449-1451. 

  41. Yamamoto T, Yoshimura M, Yamaguchi F, Kouchi T, Tsuji R, Saito M, Obata A, Kikuchi M (2004). Anti-allergic activity of naringenin chalcone from a tomato skin extract. Biosci. Biotechnol. Biochem 68(8):1706-17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