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Ixeris dentata Nakai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1, 2014년, pp.133 - 142  

박성진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씀바귀 80%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12.6%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에 함유된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01{\pm}0.63$ GAE mg/g 와 $0.05{\pm}0.01$ RE mg/g을 나타내었다. 3가지의 항산화 측정 모델(DPPH, ABTS, reducing power)을 통하여 씀바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씀바귀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보다는 낮은 항산화 활성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의 50, 100, 200 및 $400{\mu}g/mL$ 농도범위에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므로(p<0.05)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을 50, 100, 200 및 $400{\mu}g/mL$ 농도로 하여 항비만 활성을 평가한 결과 씀바귀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Oil red O 시약에 의하여 염색된 지방구는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씀바귀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능을 갖으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써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otal phenol,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80% ethanolic extract from Ixeris dentata Nakai(IDE) as well as to assess the lipid accumulation during adipogenesis of 3T3-L1 cell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otal phenolic and f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씀바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여 씀바귀가 갖는 생리활성 기능을 탐색하고 기능성 식품 및 의약 신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씀바귀의 종류는? 황색의 꽃은 5~7월에 약 1.5 cm 정도로 개화하고, 그 종류로는 흰씀바귀(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 벋은씀바귀(Ixeris japonica Nakai), 냇씀바귀(Ixeris tamagawaensis), 갯씀바귀(Ixeris repens), 좀씀바귀(Ixeris stolonifera), 선씀바귀(Ixeris chnensis var. strigosa), 산씀바귀(Lactuca raddeana), 왕씀배(Prenanthes tanakae) 등(Ann DK 1998)이 있다.
씀바귀의 이명은? 씀바귀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고채(苦菜) 씸배나물이라고도 한다. 주로 산과 들에 자생하고 높이는 25~50 cm 정도로 자라고, 줄기나 잎을 자르면 유백색의 액체가 있다.
씀바귀는 어느 정도의 높이로 자라는가? 씀바귀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고채(苦菜) 씸배나물이라고도 한다. 주로 산과 들에 자생하고 높이는 25~50 cm 정도로 자라고, 줄기나 잎을 자르면 유백색의 액체가 있다. 황색의 꽃은 5~7월에 약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n DK. (1998). Color Illustrated Korean Medicinal Plants Book (7th Edi). Gyohaksa, Seoul, Korea p.143 

  2. Blumberg JM, Tzameli I, Astapova I, Lam FS, Flier JS, Hollenberg AN (2006). Complex role of the vitamin D receptor and its ligand i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Biol Chem 281(16): 11205-11213. 

  3.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3): 198-203. 

  4. Choi JS, Young HS, Kim BW (1991). Hypoglycemic and hypolipodemic effects of Ixeris dentata in diabetes rats. Arch Pham Res 13(3): 269-270. 

  5. Choi JS, Chung HY, Young HS (1990). A preliminary study on hypocholestero- lemic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some medical plants. Korean J Phamacogn 21(2): 153-155. 

  6. Chun KS (2003).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primary care. J Korean Obes 12(2): 108-123. 

  7.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2004)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12): 1752-1761. 

  8. Halliwill B (1996). Antioxidant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50. 

  9.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4): 555-559. 

  10.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13): 3713-3717. 

  11.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H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 617-624. 

  12. Kim MJ, Kim JS, Kang WH, Jeong DM (2002). Effect on antimutagenic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of lxerisdentata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2): 139-143. 

  13. Kim MJ, Kim JS, Jeong DM, Ham SS, Yu CY (2002). Effect of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of root extract from lxeris dentata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3): 222-229. 

  14. Kim MJ, Kim JS, Cho MA, Kang WH, Jeong DM, Ham SS (2002). Biological activity of lxeris dentata Nakai juic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 924-930 

  15. Kim SH (1995). Inhibitory effect of lxeris Dentata on the mutagenicity of aflatoxin B1, N-methyl- N'-nitro-N-nitrosoguanidine and the growth of MG-63 human osteosarcoma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2): 305-312. 

  16. Lim S, Lee, Koo BK, Cho SI, Park KS, Jang HC, Kim SY, Lee HK (2005). Increasing trends of metabolic symdrome in Korea. Diabetes 29(5): 432-439. 

  17. Lim SJ (1996). A Sensory evaluation of the bitter compounds from Ixeris dentata Nakai. J Korean Soc Food Cookery Sci 12(1): 115-121. 

  18. Oh SJ (2005). Aging of Human Body. Tamkudang, Seoul, Korea, 204-205. 

  1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the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0. Park HS, Shin HC, Kim BS, Lee KY, Choi WS, Shin JA, Nam YD, Bae SP, Que F, Mao L, Zhu C,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s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Food Sci Technol 39(2): 111-117. 

  21. Raylama S, Della-Fera MA, Baile CA (2008). Phytochemicals and regulation of the adipocyte life cycle. J Nutr Biochem, 19(11): 717-726. 

  22.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9-10): 1231-1237. 

  23.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ogy 177(1): 67-80. 

  24.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2005). Polyphenols : 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1): 215S-217S. 

  25. Seto M, Miyasa T, Fukushima S (1986). Sesquiterpenelactones from Ixeris dentata Nakai. Chem Pham Bull 34(10): 4170-4175. 

  26. Shin DB, Lee DW, Yang R, Kim JA (2006)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5(3): 357-362. 

  27. Spiegelman BM, Filer S (1996). Adipogenesis and obesity; rounding out the big picture. Cell 87(3): 377-389. 

  28. Szabo MR, Idioiu C, Chambre D, Lupea AX (2007). Improved DPPH determina- 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spectrophotometric assay. Chem Pap 61(3): 214-216. 

  29. Timar O, Sestier F, Levy E (2000). Metabolic syndrome X: a review. Can J Cardiol 16(6): 779-789 

  30.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10): 4113-4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