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주제의 성취 목표 및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chievement Goa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roblem Solving' Topic of Informatics Subject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8 no.2, 2014년, pp.243 - 254  

정인기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화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은 정보 능력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의 습득이며 이러한 핵심 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성과 함께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교육 과정을 새롭게 구성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는 정보 교과의 내용 체계에 대한 개정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정보 교육 내용을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및 '융합 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영역의 '문제 해결' 주제에 대하여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교육과정을 연구하였다. 먼저 '문제 해결'의 교육 내용을 '문제 이해 및 분석', '데이터 관리', '문제 해결 전략 수립', '문제 해결 방법 탐색 및 개발' 및 '문제 해결 방법 검토' 등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성취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성취 기준을 도달하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안을 학년군 별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제 해결'에 대한 교육과정을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need problem solving abilities based on the information abilities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New curriculum is demanded by new technology and circumstance to need the core competencies.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has studied new curriculum and suggested new plans that con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제 해결'은 학셍들이 일상생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문제 해결 방법 올 찾아내도록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하이 Computational Thinkinge 비롯한 정보 과학 관점의 이러 문제 해결 방법들과 우리나라의 정보 교육 과정을 분석한 후 학생들이 정보 과학의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해가는 단계들을 선정하였는데 그 내용은<Table 10> 과 같다.
  • ISTE와 CSTA에서 내린 Computational Thinking 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용어 정의와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ISTE와 CSTA는 700여명의 컴퓨터 과학 교사, 연구자, 조작적 정의의 필요성을 적극 지지하는 잠여자늘의 검토를 취합하여 Computational Thinking의 의미와 교육적 적용 방안들올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들이 제시한 Computational Thinkinge 다음과 같은 특성올 포함하는 문제 해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버이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학셍들이정보 과학 관점의 문제 해걸 방법들이 일상생활의 다양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평가한다.
  •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단서들을 수정 및 동합하여 문제 해결 방법을 개발하도록 하며 문제를해걸하는네 다양한 방법이 있음올 인식하고 각 방법에 대하여 특성 및 장단점은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또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부분들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다. 또한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동시에 할 수 있는 작업들올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문제 해결 시간은 줄일 수 있음을 인식하도록 한다.
  •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일본의 정보 교육과정에서의 '문제 해결' 교육 내용과 문제 해결 방법론들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보화 시대에 맞는 '문제 해걸' 주제의 성쥐 목표플 도출하였나. 특히 Computational Thinking이 정보 과학의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초 .
  • 특히 Computational Thinking이 정보 과학의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초 . 중등 학생들의 발달 단계 빛 우리나라 정보 교육과정의 다른 교육 내용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이를 보완하고 수정하이 '문제 해결'에 관한 새로운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저출산 . 고령화 사회, 세계화가 급속하게 진전된 사회가 뇔 것이다. 이에 국가의 미래를 발전시킬 핵심 자원은 '정보와 '사람'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발전 전략 올 세우고 있나.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ig6TM Skills. [http//big6.com/pages/about/big6-skills-overview.php] 

  2. Bloom's Digital Taxonomy. [http//edorigami.wikispaces.com/file/view/bloom's+Digital+taxonomy+v 3.01.pdf [2013.4.23.] 

  3. ISTE. Computational Thinking Teacher Resources Second Edition. [http//www.iste.org/docslct-documents!ct-teacher-resources_2ed-lxlf.pdf?sfvrsn2] 

  4. CSTA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5. EunKyoung Lee (2009). A Task Centered Scratch Programming Learning Program for Enhancing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2(6). 1-9. 

  6. Han-Sung Kim,Hye-Jin Chung.Won-Gyu Lee (2010). Philosophy and Contents of Information Ethics in Informatics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0. 10(2). 95-119. 

  7. Inkee Jeong (2007). A Study on Curriculum for Problem Solving Field in the Computer Science of Elementmy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0(2). 17-29. 

  8. Irvin R. Katz (2007). Testing Information Literacy in Digital Environments : ETS's iSkills Assessm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nuies. 3-12. 

  9. JongHye Kim.SunHwa Kim.HanSung Kim' DaiYoung Kwon . SooJin Jun' IIyeonCheol Kim. WonGyu Lee (2008). Specification of Objectives and Contents In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niculum.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1(1). 33-46. 

  10. Kahney. H. (1996). Problem Solving: A Cognitive Approach Miton Keynes, Philadelphia : Open University Press. 

  11. Kyung-Hoon Kim.Oh-Han Kang.Yung-Sik Kim.Yoon Young Kim.Seo In Soon.Seong Jin Ahn.Soon Young Jung.Hyun Jong Choe(2012).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nformatics Edu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o Improve Core Competencies. KICE Report RRC 2012-7. 

  12.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6).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Guidelines. Amendment MOE. 

  13.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Overview of 2007 Curriculum Amendment. 115.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Elective Cours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Notification No. 2011-361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pplement 18]. 

  15. MiSook Han.YoungJun Lee (2012). Design of Algorithm Education Contents for the Informatics Gifted Secondary Students. Proceedings of Winter Conference of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1). 192-19S. 

  16. Weisberg, R. W. (2006). translated by MiSun Kim (2009). Creativity. Sigma Press. 

  17.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18. Young Jun Lee.Seoung Hey Paik.Shin Jae Hong.HeonChang Yu.lnkee Jeong.SangJin An.JeongWon Choi.SeongKyun Jeon (2014). Research for Introducing Computational Thinking into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