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에서 정보과학교육을 위한 정보기기교육의 내용 체계
Contents Framework of Information Devices Education for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8 no.2, 2014년, pp.335 - 344  

김현배 (부산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정보과학교육을 위한 정보기기교육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로 초등학교 정보과학교육을 위한 정보기기교육에 대한 교육내용을 조직하고 성취기준을 마련하여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여러 나라의 정보기기교육 내용과 우리나라의 정보기기교육 내용을 조사한다. 그리고 정보과학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기기교육의 내용을 선정하여 학년 군별로 내용체계를 구성한다. 그래서 국가 수순의 정보과학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the study of contents framework of information devices education for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we organize and sugges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information device education and its achievement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컴퓨티유창싱이란 정보기술은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이 괼 요한 컨쓔티의 도了들이 어떤 것인지를 확실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새로운 버전의 검퓨터 응용 도 干들이 등장할 떼 마다 스스로 n 도구들을 다루는 방법을 터늑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컴퓨터 바탕 화면에서 아이콘의 구싱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AS(2013),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Computing at School 

  2. Deborah Seehorn, Stephen Carey, Daniel Moix. Brian Fuschetto, Irene Lee, Dianne O"Grady-Cuniff, Chris Stephenson, Anita Verno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ACM 

  3. DEE(2013). Computing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s 1 and 2, Department for Education of England 

  4. D. Frost. A. Verno, D. Burkhart, M. Hutton. K. North.(2009). A Model Curriculum for K - 12 Computer Science Level I Objectives and Outlines. CSTA. 

  5. Ilyunbe Kim. Kapsu Kim(2014), A Study on the Achievement Goal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in Computer System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lnformation Education Vol.18, No.1n pp. 195-202 

  6. KERIS(2013).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Foreign computer Curriculum 

  7. KICE(2012). The Direction of Navigation Information Education Polic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based on the Strengthening of the Key Competencies of Koreans Future 

  8. MOE(2013), Study of the Re-Structured Scheme of Curriculum Key Competencies Centered 

  9. Sridhar lyer, farida Khan, Sahana Murthy. Vijayalakshmi Chitta, Malathy Baru and Usha Vishwanathan(2013), CMC: A Model Computer Science Curriculum for K-12 Schools 3rd Edition, June, 2013 

  10. http://ritter.tea.state.tx.us/rules/tac/chapter126/ch126a.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