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 혁신역량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Outcome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7 no.2, 2014년, pp.380 - 420  

김귀원 ((주)kt 인재경영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조직구성원의 전문역량, 즉 혁신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조직원 개인의 혁신역량에 대해 혁신산출물을 만들기 위한 투입요소, 혁신 활동(혁신역량보유, 발휘, 증진노력 등) 그리고 혁신산출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은 편이다. 이런 원인은 기존 혁신연구단위가 국가단위, 산업단위, 기업단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며, 상대적으로 특정기업의 투입, 산출 및 혁신활동 자체에 대한 분석이 다소 부족한 편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기존 혁신연구의 틀과 시각에서 벗어나, 특정조직중심의 개인별 혁신성과와 그 성과와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혁신활동들에 대한 네 가지 가설, 즉 첫째는 역량의 차이에 따라 혁신성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시간의 차이에 따라 역량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시간의 차이에 따라 혁신성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학습시간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는 혁신역량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구조모형 검정)는 문제에 대해 정량분석을 시도하여, 조직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creasingly see the importance of employees acquiring enough expert capability or innovation capability to prepare for ever growing uncertainties in their operation domains. However, despite the above circumstances, there have not been an enough number of researches on how operational input com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구성원의 전문역량에 대한 인식이 커지는 이유는? 글로벌 ICT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중앙집권 방식의 혁신활동은 조직 경쟁력, 더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인 가운데 대안으로 조직구성원의 전문역량(혁신역량)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다. 조직구성원은 조직 운영에 절대적인 영향요인에 있으며, 조직의 생산성 및 경쟁력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조직구성원은 조직 운영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글로벌 ICT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중앙집권 방식의 혁신활동은 조직 경쟁력, 더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인 가운데 대안으로 조직구성원의 전문역량(혁신역량)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다. 조직구성원은 조직 운영에 절대적인 영향요인에 있으며, 조직의 생산성 및 경쟁력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조직구성원의 개별적인 혁신역량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이유는? 이러한 원인은 기존 혁신 연구가 국가단위, 산업단위, 기업단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며, 상대적으로 특정기업의 투입, 산출 및 혁신활동 자체에 대한 분석이 다소 부족한 편이다. 반면에 국가 경쟁력, 산업 및 기업 경쟁력은 산업구조의 하부단위에 속해 있는 조직 구성원들의 혁신역량에 전적으로 의존한다고 봐도 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경희사이버대학교 사이버사회연구소 (2012), 사이버사회문화, 3(1). 

  2. 권낙원 (2007),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 탐색", 교육과정연구, 7. 

  3. 김구 (2011), "지방정부의 지식흡수역량과 혁신역량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의 조직문화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0(1). 

  4. 김귀원 (2012), "조직혁신 과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김귀원 (2013), "자기주도학습시간과 직무역량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27(1). 

  6. 김병국.권오철 (1999), "지방자치단체 역량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내부조직역량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시론",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1(4). 

  7. 김영배 (2005), 혁신형 중소기업(기업특성, 기술학습과 경영성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김영생.정무권.최영섭 (2006), 고숙련사회와 혁신전략, 한국직업역량개발원, 선우정보인쇄. 

  9. 남춘호 (2005), "지식정보사회의 경력과 생애과정",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I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0. 노형진 (1999), 한글 SPSSWIN에 의한 다변량데이터의 통계분석, 서울: 석정. 

  11. 문혜선.남장근.최윤희.최재영(2012), "의약산업의 혁신역량진단 및 발전방향(연구보고서 2012-634)", 연구보고서 2012-634, 산업연구원. 

  12. 박우성 (2002),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혁신방안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8/1, 경희대학교. 

  13. 박정수 (2011), "서비스산업 혁신활동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011-601. 

  14. 박찬수 이외 (2013),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및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IV)", 조사연구 2013-08,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5. 서규원 (2010),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6. 서울대학교 (2004), "지방정부의 혁신역량에 관한 국제비교", 2004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육성 인문사회분야 연구계획서(KRF-2004-074-BM0047). 

  17. 송위진 (2004), "국가혁신체제에서 정부의 역할과 기능(혁신체제론적 접근)", 정책자료 2004-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8. 송위진 (2011),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기술: 사회기술(특성과 정책과제)", STEPI Insight 제79호 (2011.10.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 안관영 (2005), "자발적 이직에 대한 재직기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온라인 자료). 

  20. 오영수.최정수.김진수 (2005), "한국의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실증 연구", 지방행정연구, 19(3): 127-152. 

  21. 유병규.박영금 (2004), "지역별 지식혁신역량 추이와 클러스터 전략", 지식경제, 현대경제연구원. 

  22. 유병규.신광철 (2001), "지역별 지식 혁신 역량 현황과 제고 방안", 지식경제, KNSI. 

  23. 윤두섭.이승종 (2004), "지방자치단체의 혁신역량에 관한 연구",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4. 이우성 이외 (2007),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기술혁신 전략과 과제", 정책연구 2007-1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5. 이종수 (2004), "자치단체의 정책혁신과 거버넌스: 부천시와 광명시의 사례-연관성에 대한 은유(Metaphor)의 시론적 개발과 적용-", 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한국행정학회. 

  26. 정의영.이기백.최문기 (2013),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성과의 구조적 관계", POSRI 경영경제연구, 13(1): 100-124. 

  27. 정재진.임채홍 (2008), "지역혁신 역량에 따른 혁신기업의 입지에 관한 연구", 하계학술대회발표논문, 한국행정학회. 

  28. 종소기업청 (2007), 기술혁신시스템 평가지표(제조업종), 중소기업청. 

  2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스마트교육 플랫폼 진화 및 발전방향", 2013 KERIS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RM 2013-5, 한국교원학술정보원. 

  30.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3), 2013년도 공무원 정보화역량진단 안내자료, 안전행정부 

  31. 홍지승.홍석일 (2008),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유형화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보고서, 제540호, 산업연구원. 

  32. 황규희 (2013), "기업의 조직 창의성과 특허", HRDReview제69호04(7월) (http://www.nhrd.net/index.do), pp. 54-69. 

  33. Boyatzis (1982), A. R.,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 Wiley. 

  34. Dobbs, K. (2000), "Simple Moments of Learning", Training, 35(1): 52-58. 

  35. DuBois D, D.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ess. 

  36. Freeman, C. (1994), "The Economics of Technical Change",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8(5): 463-514. 

  37. Frishammar, J. and Horte, S. A. (2005), "Managing External Information in Manufacturing Firms: The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2(3): 251-266. 

  38. Hsien-Che, L. and Joseph, Z. S. (2004), "A Comparison of Innovation Capacity at Science Parks across the Taiwan Strait: The Case of Zhangjiang High-Tech Park and Hsinchu Science-based Industrial Park", Technovation, 20: 1-9. 

  39. Malerba, F. (1992), "Learning by firms and incremental technical change", Economic Journal, 102: 845-859. 

  40. Metcalfe, S. (1995), "The Economic Foundations of Technology Policy: Equilibrium and Evolutionary Perspectives", in P. Stoneman (ed.),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Change, Blackwell Publishers, Oxford (UK)/Cambridge (US). 

  41. Nelson, R. R. and Winter, S. G. (1982), An Evolutionary Theory of Economic Change, Belknap Press/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42. OECD (1999), OECD 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Paris, OECD. 

  43. O'Sullivan, M. (2000), Contests for Corporate Control: Corporate Governance and Ecinomic Performance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Oxford University Press, forthcoming. 

  44. Penrose, E. T. (1995), The Theory of the Growth of the Firm, third ed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5. Rosenberg, M. J. (2005), "What is E-Learning Headed? - And How to Make it Succeed", 2nd SCIL International Congress 2005. 

  46. Song, W. C. (2004), A Study on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 Innovation System,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47. Teece, D., Gary P. and Amy, S. (1997), "Dynamic Capabilities and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8: 509-534. 

  48. Yam, R. M., Guan, J. C., Pun, K. F., Tang, E. Y. (2004), An Audi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Chinese Firms: Some Empirical Findings in Beijing, China, Research Policy, 33(8): 1123-1140. 

  49. Yi, Sung Yup (2009), "A Study on The Way of Informal Learning at Corporate Workplace",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11(1): 1-5. 

  50.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2008), 디지털 시대의 학습조직과 지식경영, www.wisdim21.co.kr.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