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노숙인의 분노와 건강기능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Functional Health of Homeless 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4, 2014년, pp.361 - 370  

박수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김선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the functional health of homeless men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planning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functional health of homeless persons. Methods: The participa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관리에서의 취약성을 가지는 노숙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기능 상의 실제적 잠재적 문제를 지적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과 분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노숙인의 건강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 데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노숙인의 분노와 건강기능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노숙인의 건강기능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노숙인의 분노는 높은 수준이었고, 자기효능감과 건강기능은 낮은 수준이었다.
  • 본 연구는 노숙인의 분노와 건강기능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분노와 건강기능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24]의 3단계 회귀분석에 따라 상태분노, 기질분노, 분노표현 각각의 변인과 건강기능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Table 4). 먼저, 상태 분노와 건강기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를 보면,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상태분노가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회귀분석에서 β값이 -.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숙인의 분노와 건강기능과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노숙인의 자활을 위하여 건강기능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노숙 인의 건강기능을 파악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건강기능과 관련되는 심리사회변인들에 대하여 관계를 조사한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숙인의 건강기능에 중점을 두어 노숙인의 분노와 건강기능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더욱이 노숙인은 신체 및 정신건강 측면에서 간호학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취약계층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간호학 분야에서 에서 노숙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는 노숙인의 분노와 건강기능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노숙인의 성공적인 자활에 꼭 필요한 건강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효과적인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에서 정의한 노숙인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1990년대 후반, 심각한 국가적 경제 위기로 인해 대량의 실업자가 생겨났고, 실직 노숙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상 이 나타남으로써 노숙인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이에 정부는 상당한 기간 동안 일정한 주거 없이 생활하거나 주거로서의 적절성이 현저히 낮은 곳에서 생활하는 사람 그리고 노숙인 시설을 이용하거나 노숙인 시설에서 생활하는 사람을 노숙인으로 정의하고[1], 노숙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숙인의 수는 지난 5년 동안 약 13,000-14,000명으로 유지되고 있어 감소되지 않는 추세이다[1].
자기효능이론에서 자기효능감 형성에 기여하는 주요요인으로 제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분노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Bandura[13]의 자기효능이론을 근거로 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이 이론은 자기효능감 형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으로 4가지 정보유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그리고 생리적 및 정서적 상태이다. 여기에서 분노, 공포, 불안 등과 같은 정서반응을 생리적 및 정서적 상태에 포함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서반응이 일으키는 생리적 각성은 개인의 인지적 평가과정을 거쳐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노숙인의 수의 추세는 어떠한가? 이에 정부는 상당한 기간 동안 일정한 주거 없이 생활하거나 주거로서의 적절성이 현저히 낮은 곳에서 생활하는 사람 그리고 노숙인 시설을 이용하거나 노숙인 시설에서 생활하는 사람을 노숙인으로 정의하고[1], 노숙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숙인의 수는 지난 5년 동안 약 13,000-14,000명으로 유지되고 있어 감소되지 않는 추세이다[1]. 노숙인의 수가 줄어들지 않는 것은 노숙인의 대다수가 사회에 복귀하지 못하는 것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Welfare projects of the homeless in 2013. Seoul: Author; 2013. 

  2. Park YC. Homelessness issues and policy challenges in Seoul city government. Law and Administration Review. 2001;8:311-339. 

  3. Nyamathi A. Developing nursing theory and science in vulnerable populations research. The 9th International Nursing Conference & 3rd World Academy of Nursing Science; 2013 October 16-18; The-K Seoul Hotel. Seoul: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3. p. 56-60. 

  4. Crawley J, Kane D, Atkinson-Plato L, Hamilton M, Dobson K, Watson J. Needs of the hidden homeless-no longer hidden: A pilot study. Public Health. 2013;127(7):674-680. http://dx.doi.org/10.1016/j.puhe.2013.04.006 

  5. Ram U. Roots of anger and aggression: Indian wisdom from the Bhagawad Git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0;5(2):171-180. 

  6. Evans S, Giosan C, Patt I, Spielman L, Difede J. Anger and its association to distress and social/occupational functioning in symptomatic disaster relief workers responding to the September 11, 2001, World Trade Center disaster.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6;19(1):147-152. http://dx.doi.org/10.1002/jts.20107 

  7. Smith TW, Glazer K, Ruiz JM, Gallo LC. Hostility, anger, aggressivenes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on personality, emotion, and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2004;72(6):1217- 1270. http://dx.doi.org/10.1111/j.1467-6494.2004.00296.x 

  8. Spielberger CD. Professional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2 (STAXI-2).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 

  9. Kim KH, Chon KK. Effects of anger, hostility, and stress on physical health.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7;2(1):79-95. 

  10. Williams JE, Nieto FJ, Sanford CP, Couper DJ, Tyroler HA. The association between trait anger and incident stroke risk: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study. Stroke. 2002;33(1):13-19. 

  11. Pender N, Murdaugh CL, Parsons MA.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Prentice-Hall; 2010. 

  12. Oh H, Jeong H, Seo W. Integrative smoking cessation stage model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2013;7 (4):182-190. 

  13.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Worth Publishers; 1997. 

  14. Yoo H, Kim CJ, Jang Y, You MA. Self-efficacy associated with self-management behaviours and health status of South Koreans with chronic dise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1;17(6):599-606.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11.01970.x 

  15. Yeom HE. Association among ageing-related stereotypic beliefs, self-efficacy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elderly Korean adul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4;23(9-10):1365-1373. http://dx.doi.org/10.1111/jocn.12419 

  16. Han JY. The effects of anger expression mode of high school student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master's thesis]. Seou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07. 

  17. Park HS, Koo HY. A study of anger and health status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4;13(3):245-256. 

  18.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9. Chon KK, Hahn DW, Lee CH.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8;3(1):18-32. 

  20.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2):663-671.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1. Hong HY.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5. 

  22. Jones D. Establish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FHPAST: Use in practice. Journal of Japan Society of Nursing Diagnosis. 2002;7(1):12-17. 

  23. Keum R, Kim S. Perceived functional health patterns and recovery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21(3):238-249. http://dx.doi.org/10.12934/jkpmhn.2012.21.3.238 

  24.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 1173-1182. 

  2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26. Hwang RI, Yoon JW. The predictors of anger expression of the homeless in the shel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1):22-32.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1.22 

  27. Park YJ, Baik S, Shin HJ, Yoon JW, Chun SH, Moon S. Anger, cardiovascular health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Korean me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5):863-871. 

  28. Kim S, Kim SY. A study on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middle 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3):281-291. 

  29. Tollett JH, Thomas SP. A theory-based nursing intervention to instill hope in homeless veterans.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95;18 (2):76-90. 

  30. Epel ES, Bandura A, Zimbardo PG. Escaping homelessness: Th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time perspective on coping with homelessn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6;29(3):575-596. http://dx.doi.org/10.1111/j.1559-1816.1999.tb01402.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