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0세 이상 성인의 치매 관련 영향요인: 지역사회 기반 단면연구
Factors Affecting Dementia Prevalence in People Aged 60 or Over: A Community based Cross-sectional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4, 2014년, pp.391 - 397  

김성민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조선대학교 대학원) ,  서현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성미라 (용인송담대학교 간호과.서울특별시 광역치매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any type of clinical dementia. Methods: Participants were 60,321 people over 60 years of age enrolled in the Seoul Dementia Management Project in 2011. K-MMSE was used to classify participants as having a cog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BMI와 치매와의 관련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었으며, 체질량지수의 치매 발생 위험 간의 관련성을 조사한 메타분석 연구에서, 평가에 포함된 연구의 수가 적었고 이질성이 높아 관련성을 결론내리기에 어려우므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2011년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에 등록된 지역사회거주60세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와의 관련성 근거에 논란이 있는 체질량지수를 중심으로 치매 관련 영향요인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2011년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에 등록된 60세 이상 성인의 BMI,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 요인의 치매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에 등록된 6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BMI,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 요인의 치매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BMI 와 치매와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며, 부수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 요인의 치매와의 관련성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에 등록된 6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BMI,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 요인의 치매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BMI 와 치매와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며, 부수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 요인의 치매와의 관련성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 발생 원인이 되는 위험인자로 조절가능한 위험요인과 그렇지 않은 위험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치매 발생 원인이 되는 위험인자는 조절가능한 위험요인과 그렇지 않은 위험요인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조절가능한 위험요인으로는 당뇨병,고혈압,고콜레스테롤혈증, 비타민 B12 결핍, 고호모시스테인혈증, 과도한 알코올 섭취, 흡연, 체질량지수 등이 있으며, 조절가능하지 않은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apolipoprotein E 유전자 다형성과 같은 유전적 요인 등이 보고되었다[5].
전세계 치매 유병률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 2030년과 2050년에 치매를 가진 인구수는 얼마로 추정되는가? 전세계 치매 유병률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 60세 이상에서 연령 표준화 유병률은5-7%로 나타났으며, 2010년 치매를 가진 인구수는 35.6백만 명으로 추정되어, 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되어 2030년 65.7백만명, 2050년 115.4백만명으로 추정되었다[3]. 전세계 추세와 유사하게 2012년 우리나라의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
우리나라의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인구수는 2030년과 2050년에 몇 명으로 예측되는가? 전세계 추세와 유사하게 2012년 우리나라의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18%, 54만명이었으며, 2030년에는127만명, 2050년에는 271만명으로 매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4]. 치매 발생 원인이 되는 위험인자는 조절가능한 위험요인과 그렇지 않은 위험요인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2010. Daejeon: Author; 2010. 

  2. Cho MJ.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in the Korean elderl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6:43-48. 

  3. Prince M, Bryce R, Albanese E, Wimo A, Ribeiro W, Ferri CP. The global prevalence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lzheimer's & Dementia. 2013;9(1):63-75. http://dx.doi.org/10.1016/j.jalz.2012.11.007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survey of dementia prevalence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3 August 16].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 ID04&MENU_ID0403&page1&CONT_SEQ286138&SEARC HKEYTITLE&SEARCHVALUEdementia. 

  5. Lee CN, Park KW. Risk factors of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2;13(3):129-132. http://dx.doi.org/10.4093/jkd.2012.13.3.129 

  6. Johnson DK, Wilkins CH, Morris JC. Accelerated weight loss may precede diagnosis in Alzheimer disease. Archives of Neurology. 2006;63(9):1312-1317. http://dx.doi.org/10.1001/archneur.63.9.1312 

  7. Albanese E, Taylor C, Siervo M, Stewart R, Prince MJ, Acosta D. Dementia severity and weight loss: A comparison across eight cohorts. The 10/66 study. Alzheimer's & Dementia. 2013;9(6):649-656. http://dx.doi.org/10.1016/j.jalz.2012.11.014 

  8. Gao S, Nguyen JT, Hendrie HC, Unverzagt FW, Hake A, Smith-Gamble V, et al. Accelerated weight loss and incident dementia in an elderly African-American cohor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1;59(1):18-25.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0.03169.x 

  9. Xu WL, Atti AR, Gatz M, Pedersen NL, Johansson B, Fratiglioni L. Midlife overweight and obesity increase late-life dementia risk: A population- based twin study. Neurology. 2011;76(18):1568-1574. http://dx.doi.org/10.1212/WNL.0b013e3182190d09 

  10. Ghaderpanahi M, Fakhrzadeh H, Sharifi F, Mirarefin M, Badamchizade Z, Larijani B, et al. Association between late-lif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dementia: Kahrizak elderly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2;60(1):173-174.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1.03751.x 

  11. Benito-Leon J, Mitchell AJ, Hernandez-Gallego J, Bermejo-Pareja F. Obesity and impaired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elderly: A population- based cross-sectional study (NEDICES).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013;20(6):899-906. http://dx.doi.org/10.1111/ene.12083 

  12. Anstey KJ, Cherbuin N, Budge M, Young J. Body mass index in midlife and late-life as a risk factor for dementia: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Obesity Reviews. 2011;12(5):e426-e437. http://dx.doi.org/10.1111/j.1467-789X.2010.00825.x 

  13. Kang Y, Na DL, Hahn S.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997;15(2):300-308. 

  14. Lee YK, Sung MR, Lee DY. Comorbidity and health habits of Seoul city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411-42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411 

  15. Lee JH, Lee KU, Lee DY, Kim KW, Jhoo JH, Kim JH,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i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02;57(1):P47-P53. 

  16. Kang Y, Na DL.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manual. Seoul: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Co; 2003. 

  17. Choi SH, Na DL, Lee BH, Hahm DS, Jeong JH, Yoon SJ, et al. Estima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sca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1;19(6):585-591. 

  18. Chang WS, Won KH, Lee JY, Kim ET, Kweon HJ.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 high probability of dementia based on the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2;33(1):17-24. http://dx.doi.org/10.4082/kjfm.2012.33.1.17 

  19. McDowell I, Xi G, Lindsay J, Tierney M. Mapping the connections between education and dementia.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007;29(2):127-141. http://dx.doi.10.1080/13803390600582420 

  20. Sharp ES, Gatz M.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dementia: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2011;25(4):289-304. http://dx.doi.org/10.1097/WAD.0b013e318211c83c 

  21. Lautenschlager NT, Cox KL, Flicker L, Foster JK, van Bockxmeer FM, Xiao J, et al.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at risk for Alzheimer disease: A randomized trial.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8;300(9):1027-1037. http://dx.doi.org/10.1001/jama.300.9.1027 

  22. Forbes D, Thiessen EJ, Blake CM, Forbes SC, Forbes S. Exercise programs for people with dementi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3;12:CD006489.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6489.pub3 

  23. Gillette Guyonnet S, Abellan Van Kan G, Alix E, Andrieu S, Belmin J, Berrut G, et al. IANA (International Academy on Nutrition and Aging) expert group: Weight loss and Alzheimer's disease.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2007;11(1):38-48. 

  24. Besser LM, Gill DP, Monsell SE, Brenowitz W, Meranus DH, Kukull W, et al. 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and clinical progress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2014;28(1):36-43. http://dx.doi.org/10.1097/wad.0000000000000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