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 통증 평가 도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Pain Assessment Tools for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3 no.1, 2020년, pp.44 - 62  

김은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홍지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부) ,  김나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김나리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맹수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박혜련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반민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양근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이경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장은혜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measurement tools that are used to assess the pain of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ethod : In this systematic review, the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18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ISMA flow chart. Data sourc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중환자 통증 관리의 적절성과 통증 평가의 의무화로인해 중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Stities & Surprise, 2014) 관련 논문의 편수 역시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 역시 비슷한 상황이어서 병원간호사회에서는 우리나라의 언어적 표현과일치하는 중환자 통증 평가 도구인 Critical Care Nonverbal Pain Scale (CNPS)를 개발한 후 타당성 평가를 수행하여 표준화된 통증관리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Choi et al., 2013). 하지만 아직까지는 널리 쓰이지는 않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국외에서 개발된 통증사정도구를 중심으로 임상에 적용시키기 위한 노력들을하고 있으나 이 역시도 그 적합성에 대한 연구가 많지않은 것과는 대조적이었다(Bae & Jeong, 2014; Kim,Kang, & Park, 2015; Kwak & Oh,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환자 통증 평가 도구 12개중 질 평가가 불가한 NRS, VAS를 제외한 10개의 평가도구에 대해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단, 도구의 질 평가는 본 연구의 검색범위가 아니더라도 해당 도구의 개발논문으로 실시하였다. 질 평가 기준은 Terwee 등(2007)이 제시한 건강상태  측정도구의 평가기준(quality criteriafor measurement properties of health status questionnaires)의 근거표에 제시된 8가지 기준(내용 타당도, 내적 일관성, 준거타당도, 구성타당도, 재현성으로서의 합치도와 신뢰도, 반응성, 바닥 또는 천장효과, 설명 가능성)을 토대로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의 통증을 평가한 도구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통증 평가 도구의 현황 파악 및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고찰 연구이다. 문헌 검색 및  선정 결과 국외 논문 총 67편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여기서 12개의 통증 평가 도구가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증 평가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연구로 고찰에 포함된 연구에서사용된 통증평가도구를 확인한 후 그 도구의 영역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종 67편의 연구가 분석되었으며 총 12개의 통증 평가 도구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중환자의 통증을 평가하는 도구들을 고찰하기 위한 PICOS (population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 중 중재(I)와 비교군(C)을 제외한 대상자(P)와 결과(O), 연구 설계(SD)를사전에 설정하여 문헌 탐색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대상자(P)는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였고, 결과변수(O)는 통증, 연구 설계(SD)는 관찰연구와 실험연구,방법론적 연구를 포함한 양적 연구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환자 통증 평가 도구 12개중 질 평가가 불가한 NRS, VAS를 제외한 10개의 평가도구에 대해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단, 도구의 질 평가는 본 연구의 검색범위가 아니더라도 해당 도구의 개발논문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행하기 위하여 ‘중 환자실 환자의 통증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 통증평가도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각 연구자는 연구의 일반적 특성으로 출판년도, 국가, 연구 대상자, 연구가 진행된 중환자실, 연구 설계, 표본 수를 확인하고, 통증 평가도구의 특성으로 도구명, 하위범주,도구의 신뢰도 등을 확인하였다. 연구자 2인은 추출된특성들이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논의하여 정리하였다. 최종 선정 문헌에서 중환자  통증 평가 도구 12개가 추출되었다.
  • 이러한 제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중환자 통증 평가 도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현재 중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구의 현황 및 각 도구의 특성을 확인하였고, 각 통증 평가도구의 질 평가를 수행하여 중환자에게 사용되는 도구들의 질이 양호한가를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중환자 통증 관련 연구에서 사용되는 통증 평가 도구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중환자 통증 관련 연구에 사용된 도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평가 도구별 특성과 신뢰도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 평가 도구의 체계적 고찰은 향후중환자 통증 관리를 위한 간호 실무 근거와 방향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 Darwish, Z. Q., Hamdi, R., & Fallatah, S. (2016). Evaluation of pain assessment tools in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ACN Advanced Critical Care, 27(2), 162-72. 

  2. Bae, K. H., & Jeong, I. S. (2014). Pain perception of nurses and pain expression of patients in critical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4), 437-445. 

  3. Barr, J., Fraser, G. L., Puntillo, K., Ely, E. W., Gelinas, C., Dasta, J. F., . . . Coursin, D. B. (2013).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adult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41(1), 263-306. 

  4. Buttes, P., Keal, G., Cronin, S. N., Stocks, L., & Stout, C. (2014). Validation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in adult critically ill patient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33(2), 78-81. 

  5. Chanques, G., Pohlman, A., Kress, J. P., Molinari, N., De Jong, A., Jaber, S., & Hall, J. B. (2014). Psychometric comparison of three behavioural scales for the assessment of pain in critically ill patients unable to self-report. Critical Care, 18(5), R160. 

  6. Choi, E. H., Kim, J. H., Ko, M. S., Kim, J. Y., Kwon, E. O., & Jang, I. S. (2013). Validation of critical care non-verbal pain scale for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2), 245-254. 

  7. Gelinas, C., Fillion, L., Puntillo, K. A., Viens, C., & Fortier, M. (2006). Validation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in adul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5(4), 420-427. 

  8. Gelinas, C., Harel, F., Fillion, L., Puntillo, K. A., & Johnston, C. C. (2009).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for the detection of pain in intubated adults after cardiac surger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7(1), 58-67. 

  9. Gelinas, C., Puntillo, K. A., Levin, P., & Azoulay, E. (2017). The behavior pain assessment tool for critically ill adults: A validation study in 28 countries. Pain, 158(5), 811-821. 

  10. Juarez, P., Bach, A., Baker, M., Duey, D., Durkin, S., Gulczynski, B., . . . Lefaiver, C. A. (2010). Comparison of two pain scales for the assessment of pain in the ventilated adult patient.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9(6), 307-315. 

  11. Kabes, A. M., Graves, J. K., & Norris, J. (2009). Further validation of the nonverbal pain scale in intensive care patients. Critical Care Nurse, 29(1), 59-66. 

  12. Keane, K. M. (201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 A replication study. Pain Management Nursing, 14(4), e216-e225. 

  13. Kim, J. S., Kang, I. S., & Park, K. H. (201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onverbal pain assessment scale for patients who stayed a intensive care uni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2), 89-102. 

  14.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2012). 2010 Guidelines for use of sedatives and analgesics in adult Intensive care unit. Retrieved August 14, 2014, from http://ksccm.inforang.com/file/notice/KJCCM_file03.pdf 

  15. Kwak, E. M., & Oh, H. Y. (2012). Validation of a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 (CPOT) for ICU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76-84. 

  16. Lee, H. O., Kim, Y. S., Lee, C. O., Hur, S. Y., & Kwon, I. G. (201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 (CPOT) for ICU patients unable to self repor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6(1), 1-10. 

  17.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 G., & The, P.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los Medication, 6(7), e1000097. 

  18. Oliveira, L. S., Macedo, M. P., Silva, S. A. M. D., Oliveira, A. P. D. F., & Santos, V. S. (2019). Pain assessment in critical patients using the behavioral pain scale. Brazilian Journal of Pain, 2(2), 112-116. 

  19. Olsen, B. F., Rustoen, T., Sandvik, L., Jacobsen, M., & Valeberg, B. T. (2016). Results of implementing a pain management algorithm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The impact on pain assessment, length of stay, and duration of ventilation. Journal of Critical Care, 36, 207-211. 

  20. Park Y. H., & Woo Y. C. (2015).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eion, 58(11), 1011-1018. 

  21. Puntillo, K. A., Max, A., Timsit, J. F., Vignoud, L., Chanques, G., Robleda, G., . . . Ionescu, D. C. (2014). Determinants of procedural pain intensi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Europain(R) stud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9(1), 39-47. 

  22. Puntillo, K. A., Stannard, D., Miaskowski, C., Kehrle, K., & Gleeson, S. (2002). Use of a pa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otation (P.A.I.N.) tool in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 Nurses' evaluations. Heart & Lung -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31(4), 303-314. 

  23. Rababa, M. (2018). Pain assessment in people with dementia: Remaining controversies. Glob Journal of Health Science, 10(5), 62-69. 

  24. Reade, M. C., & Finfer, S. (2014). Sedation and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0(5), 444-454. 

  25. Severgnini, P., Pelosi, P., Contino, E., Serafinelli, E., Novario, R., & Chiaranda, M. (2016). Accuracy of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 and behavioral pain scale to assess pain in critically ill conscious and unconscious patient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Intensive Care, 4(1), 68. 

  26. Stites, M., & Surprise, J. (2014). Assessing pain in critically ill adults. Nursing Critical Care, 9(4), 36-41. 

  27. Terwee, C. B., Bot, S. D., de Boer, M. R., van der Windt, D. A., Knol, D. L., Dekker, J., . . . de Vet, H. C. (2007). Quality criteria were proposed for measurement properties of health status questionnair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0(1), 34-42. 

  28. Voepel-Lewis, T., Zanotti, J., Dammeyer, J. A., & Merkel, S. (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ce, legs, activity, cry, consolability behavioral tool in assessing acute pain in critically ill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1), 55-61. 

  29. Wiegand, D. L., Wilson, T., Pannullo, D., Russo, M. M., Kaiser, K. S., Soeken, K., & McGuire, D. B. (2018). Measuring acute pain over time in the critically ill using the multidimensional objective pain assessment tool (MOPAT). Pain Management Nursing, 19(3), 277-287. 

  30. Yamashita, A., Yamasaki, M., Matsuyama, H., & Amaya, F. (2017). Risk factors and prognosis of pain events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A retrospective study. Journal of Intensive Care, 5(1), 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