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첫 48시간 동안의 수술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Risk Factors and Level of Acute Post-Operative Pain in Surgical Patients During the First 48 Hours after Surger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3, 2014년, pp.226 - 234  

이윤신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손재순 (맘스리베 모유육아 상담실) ,  윤혜상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acute postoperative pain (APP) ${\geq}4$ and the risk factors of APP${\geq}$ for the first 48 hours after surgery. Methods: Data from 531 surgical patient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9 to May,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 및 마취종료 직후, 수술 후 30분, 수술 후 1시간, 4시간, 24시간과 48시간에서 수술 후 급성 통증의 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수술 후 급성 통증 ≥4의 중등증 통증의 발생 빈도와 정도를 관찰하는 전향적 관찰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및 마취 종료 직후, 수술 후 30분, 수술 후 1시간, 수술 후 4시간, 수술 후 24시간 그리고 수술 후 48시간에서 수술 후 급성 통증의 위험요인을 탐색하고 통증 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에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수술 후 통증 위험요인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수술 후 급성 통증의 회복에 따른 다양한 시점에서 수술 후 통증 위험요인을 연속적으로 탐색하기 보다는 단일 시점에서 제한적으로 급성통증 위험요인을 탐색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선행연구에서 통증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여성, 체질량지수, 나이와 흡연 외에 PCA, 복강경 수술, 그리고 데스플로란이나 세보플루란 등의 새로운 전신마취제 등을 추가하여 수술 후 48시간 동안 6회의 다양한 시점에서 통증 위험요인과 통증 정도를 관찰하여 수술 후 급성 통증에 대한 시점별 간호중재의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후 통증의 문제점은? 통증은 인체의 중요한 스트레스원으로 신경-내분비계 반응을 유도하여노어에피네프린의분비를증가시켜심혈관계질환자에게부담을 줄 수 있다. 또한 수술 후 통증은 심호흡과 적극적 기침을 방해하여 흡입마취 후 폐의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시키고, 호흡기 분비물의 제거를 방해하여 폐합병증을 유발시키며 조기이상을 방해하여 정맥성 혈전증의 위험을 증가시키기도 한다(Argoff, 2013; Pearse, Caldwell, Lockwood, & Hollard, 2007).
수술 후 급성 통증관리로는 무엇이 있는가? 수술 후 급성 통증관리는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3-4시간마다 진통제를 투약하는 처방 통증관리(Pro Re Nata analgesia, PRNA)와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마다 스스로 진통제 투여장치의 버튼을 눌러 진통제를 투여하는 자가통증관리(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가 있다(Macintyre, 2001). PCA는 마약성 진통제의 1회 투여량을 한 번에 투여하는 것 보다 소량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라는 Pasqualucci 등(1996)의 가설을 토대로 하고 있다.
BMI가 높은 환자에게 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를 위한 진통제 투여를 표준 용량 이외 추가 투여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10배 높은 것으로 보고한 Liu 등(2012)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수술 후 4시간에서 24시간 동안에 여성이 남성보다 통증인지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술 후 24-48시간에 BMI 25 이상이 25 미만과 비교하여 통증이 심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러한 현상은 체중을 고려하여 약물 투여량을 결정하기 보다는 성인 기준으로 일정하게 표준화한 용량의 약물을 투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BMI가 높은 환자의 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를 위한 진통제 투여는 표준화 한 용량 이외의 추가 투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goff, C. E. (2013). Recent management advances in acute postoperative pain. Pain Practice. 2013 Aug 15. [Epub ahead of print]. http://dx.doi.org/10.1111/papr.12108 

  2. Aubrun, F., Valade, N., Coriat, P., & Riou, B. (2008). Predictive factors of severe postoperative pain in the postanesthesia care unit. Anesthesia and Analgesia, 106(5), 1535-1541. http://dx.doi.org/10.1213/ane.0b013e318168b2ce 

  3. Boldt, J., Thaler, E., Lehmann, A., Papsdorf, M., & Isgro, F. (1998). Pain management in cardiac surgery patients: comparison between standard therapy an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regimen. Journal of Cardiothoracic and Vascular Anesthesia, 12(6), 654-658. 

  4. Crowe, L., Chang, A., Fraser, J. A., Gaskill, D., Nash, R., & Wallace, K. (2008).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terventions in reducing or relieving post-operative 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6(4), 396-430. http://dx.doi.org/10.1111/j.1744-1609.2008.00113.x 

  5. Freeman, L. J., Rahmani, E. Y., Al-Haddad, M., Sherman, S., Chiorean, M.V., Selzer, D. J., et al. (2010). Comparison of pain and postoperative stress in dogs undergoing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laparoscopic, and open oophorectomy. Gastrointestinal Endoscopy, 72(2), 373-380. http://dx.doi.org/10.1016/j.gie.2010.01.066 

  6. Grass, J. A. (2005).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esthesia and Analgesia, 101(5 Suppl), S44-61. 

  7. Gust, R., Pecher, S., Gust, A., Hoffmann, V., Bohrer, H., & Martin, E. (1999). Effect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on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ritical Care Medicine, 27(10), 2218-2223. 

  8. Harsten, A., Kehlet, H., & Toksvig-Larsen, S. (2013). Recovery after total intravenous general anaesthesia or spinal anaesthesia for total knee arthroplasty: a randomized trial.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11(3), 391-399. http://dx.doi.org/10.1093/bja/aet104 

  9. Ip, H. Y., Abrishami, A., Peng, P. W., Wong, J., & Chung, F. (2009). Predictors of postoperative pain and analgesic consumption: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Anesthesiology, 111(3), 657-677. http://dx.doi.org/10.1097/ALN.0b013e3181aae87a 

  10. Katz, J., Poleshuck, E. L., Andrus, C. H., Hogan, L. A., Jung, B. F., Kulick, D. I., et al. (2005). Risk factors for acute pain and its persistence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Pain, 119(1-3), 16-25. 

  11. Kim, H. Y., & Yoon, H. S. (2006). The effects of ketamine preemptive analgesia on postoperative pain in patients undergoing a hysterectomy. Taehan Kanho Hakhoe Chi, 36(1), 114-126. 

  12. Liu, S. S., Buvanendran, A., Rathmell, J. P., Sawhney, M., Bae, J. J., Moric, M., et al. (2012). Predictors for moderate to severe acute postoperative pain after total hip and knee replacement. International Orthopaedics, 36(11), 2261-2267. http://dx.doi.org/10.1007/s00264-012-1623-5 

  13. Lockwood, G. (2010). Theoretical context-sensitive elimination times for inhalation anaesthetics.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04(5), 648-655. http://dx.doi.org/10.1093/bja/aeq051 

  14. Macintyre, P. E. (2001). Safety and efficacy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87(1), 36-46. 

  15. McGrath, B., Elgendy, H., Chung, F., Kamming, D., Curti, B., & King, S. (2004). Thirty percent of patients have moderate to severe pain 24 hr after ambulatory surgery: a survey of 5,703 patients. Canadian Journal of Anaesthesia, 51(9), 886-891. 

  16. Oh, S. H., Kim, I. H, Choi, S. R., & Chung, C. J. (2005). Causes of patient dissatisfaction with anesthetic care.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8(4), 387-392. 

  17. Pasqualucci, A., de Angelis, V., Contardo, R., Colo, F., Terrosu, G., Donini, A., et al. (1996). Preemptive analgesia: intraperitoneal local anesthetic in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Anesthesiology, 85(1), 11-20. 

  18. Pearse, E. O., Caldwell, B. F., Lockwood, R. J., & Hollard, J. (2007). Early mobilisation after conventional knee replacement may reduce the risk of postoperative venous thromboembolism.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British Volume, 89(3), 316-322. 

  19. Peters, M. L., Sommer, M., de Rijke, J. M., Kessels, F., Heineman, E., Patijn, J., et al. (2007). Somatic and psychologic predictors of long-term unfavorable outcome after surgical intervention. Annals of Surgery, 245(3), 487-494. http://dx.doi.org/10.1097/01.sla.0000245495.79781.65 

  20. Phillips, D. M. (2000). JCAHO pain management standards are unveiled.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JAMA, 284(4), 428-429. 

  21. Rajpal, S., Gordon, D. B., Pellino, T. A., Strayer, A. L., Brost, D., Trost, G. R., et al. (2010). Comparison of perioperative oral multimodal analgesia versus IV PCA for spine surgery. Journal of Spinal Disorders Techniques, 23(2), 139-145. http://dx.doi.org/10.1097/BSD.0b013e3181cf07ee 

  22. Ratrout, H. F., Hamdan-Mansour, A. M., Seder, S. S., & Salim, W. M. (2013). Patient satisfaction about u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in managing pain post surgical interven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 May 30. [Epub ahead of print] 

  23. Shahraki, A. D., Jabalameli, M., & Ghaedi, S. (2012). Pain relief after Cesarean section: Oral methadone vs intramuscular pethidine. Journal of Research in Medical Sciences, 17(2), 143-147. 

  24. Smith, K. S., Wilson, T. C., Luces, L., Stevenson, A. A., Hajhosseini, B., & Siram, S. M. (2013). Pneumoperitoneum 48 days after laparoscopic hysterectomy. Journal of the Society of Laparoendoscopic Surgeons, 17(4), 661-664. http://dx.doi.org/10.4293/108680813X13794522666446 

  25. Sommer, M., de Rijke, J. M., van Kleef, M., Kessels, A. G., Peters, M. L., Geurts, J. W., et al. (2010). Predictors of acute postoperative pain after elective surgery. Clinical Journal of Pain, 26(2), 87-94. http://dx.doi.org/10.1097/AJP.0b013e3181b43d68 

  26. Soylemez, H., Penbegul, N., Atar, M., Bozkurt, Y., Sancaktutar, A. A., & Altunoluk, B. (2012). Comparison of laparoscopic and microscopic subinguinal varicocelectomy in terms of postoperative scrotal pain. Journal of the Society of Laparoendoscopic Surgeons, 16(2), 212-217. 

  27. Taylor, S., Voytovich, A. E., & Kozol, R. A. (2003). Has the pendulum swung too far in postoperative pain control? American Journal of Surgery, 186(5), 472-475. 

  28. Woolf, C. J., & Chong, M. S. (1993). Preemptive analgesia-treating postoperative pain by preventing the establishment of central sensitization. Anesthesia and Analgesia, 77(2), 362-379. 

  29. Yang, Z., Yang, Z., Arheart, K. L., Morris, R., Zhang, Y., Rodriguez, Y., et al. (2012). CYP2D6 poor metabolizer genotype and smoking predict severe postoperative pain in female patients on arrival to the recovery room. Pain Medicine, 13(4), 604-609. http://dx.doiorg/10.1111/j.1526-4637.2012.01296.x 

  30. Zevin, S., & Benowitz, N. L. (1999). Drug interactions with tobacco smoking. An update. Clinical Pharmacokinetics, 36(6), 425-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