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관련 정서상태가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노동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Job-related Affective States and Job Attitudes: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8, 2014년, pp.4930 - 4941  

황성재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백윤정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김보영 (국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종업원들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직무관련 정서상태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둘째, 감정노동의 결과요인으로서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부정적 직무태도 뿐만 아니라 긍정적 직무태도에 대한 감정노동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종업원들이 과업환경에서 경험하는 직무관련 정서와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감정노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15개 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15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분석 결과, 직무관련 긍정 정서상태는 종업원으로 하여금 내면행동을, 직무관련 부정 정서상태는 표면행동을 유발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내면행동은 긍정적인 직무태도인 직무헌신과 직무활력을 증진시켰으며, 표면행동은 냉소주의와 소진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내면행동은 직무관련 긍정 정서상태와 긍정적인 직무태도(직무헌신, 직무활력) 간의 관계를, 표면행동은 직무관련 부정 정서상태와 부정적인 직무태도(냉소주의, 소진) 간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감정노동전략이 인지적 혹은 반응적 메커니즘을 수반하여 직무관련 정서상태와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서비스 직무를 수행하는 종업원들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지 않는 직무환경을 유지하는 수동적 관리보다도 긍정적 정서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과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데이터 측정이나 측정 소스의 다양화 등의 시도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d three purposes. First, the effects of job-related affective states on emotional labor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of employees engaging in service job were examined. Second,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attitudes. On the other h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인의 기질적 특징인 정서성향과는 달리 직무관련 정서상태는 과업환경에 의해 유발되는 상황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감정노동 관리적 측면의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이 각각 다른 형태의 직무태도, 즉 긍정적 직무태도와 부정적인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고 그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부정적 직무태도로서 직무탈진(burnout)의 일종인 냉소주의(cynicism)와 소진(exhaustion), 그리고 긍정적 직무 태도로서 직무열의(engagement)의 일종인 직무헌신 (dedication)과 직무활력(vigor)에 감정노동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내면행동은 긍정적 정서와, 표면행동은 부정적 정서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을 서로 독립적인 차원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는 Gray (1987)가 제안한 행동억제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와 행동활성화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에 기인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직무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고찰하고, 직무에서 유발되는 정서와 종업원의 직무태도 형성에 있어 감정노동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감정노동의 두 가지 형태인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요인으로서 직무관련 정서 상태를 제안하고 두 가지 감정노동이 각각 다른 정서상태와 관련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 일반적으로 직무수행에 있어 경험하게 되는 긍정적인 정서상태는 긍정적 직무태도 형성에 기여하며, 부정적인 정서상태는 부정적 직무태도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직무관련 정서상태와 직무태도와의 관계를 종업원들의 감정노동이 부분적으로 매개할 것이라 제안한다. 특히, 고객들과의 상호작용에서 감정노동을 수행해야 하는 서비스 직무에 종사하는 종업원일 경우, 감정노동은 이들의 직무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선행요인이다 (Diefendorff et al.
  • 이러한 감정노동 수행전략을 보완적인 수정전략 관점 (alternative modify strategy)에서 설명하면 자신의 감정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표면행동과 실제 감정을 수정하여 감정을 일치시키는 내면 행동은 분명히 다른 과정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볼 수 있다(Ashforth & Humphrey, 1993).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감정노동 결과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의 결과가 달라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둘째, 본 연구에서는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이 각각 다른 형태의 직무태도, 즉 긍정적 직무태도와 부정적인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고 그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부정적 직무태도로서 직무탈진(burnout)의 일종인 냉소주의(cynicism)와 소진(exhaustion), 그리고 긍정적 직무 태도로서 직무열의(engagement)의 일종인 직무헌신 (dedication)과 직무활력(vigor)에 감정노동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지닌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직무관련 정서상태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개인의 기질적 특징인 정서성향과는 달리 직무관련 정서상태는 과업환경에 의해 유발되는 상황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감정노동 관리적 측면의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가설 3.1 내면행동은 직무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2 내면행동은 직무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1 표면행동은 냉소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2 표면행동은 소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내면행동은 긍정적인 직무관련 정서상태와 긍정적인 직무태도(직무헌신, 직무활력)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가설 6 표면행동은 부정적인 직무관련 정서상태와 부정적인 직무태도(냉소주의, 소진)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비스 산업에서 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들의 감정노동(emotional labor) 실태가 이슈가 되면서, 서비스 산업의 양적 성장에 비하여 질적으로 열악한 근무 환경과 이에 따른 조직구성원들의 소진(burnout)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 서비스 산업에서 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보다도 조직구성원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왔으며, 보다 근본적으로 이들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정”에 대한 논의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Scott & Barnes, 2011).
행동억제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와 행동활성화체계는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는 Gray (1987)가 제안한 행동억제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와 행동활성화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에 기인 한다. 행동억제체계는 자극이 주어 질때, 회피하려는 행동 및 태도를 의미하며, 행동활성화체계는 자극에 대해 적극적으로 접근하려는 행동 및 태도를 뜻한다(Gray, 1987).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부정적인 사건을 경험하게 될 경우, 부정적 정서에 큰 영향주지만 긍정적 정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매우 미비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직구성원들의 감정노동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서비스 기업의 종업원들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해야 한다는 감정표현규칙(display rules)에 순응해야 한다(Hochschild, 1983). 감정노동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감정표현규칙을 지켜야 하는 조직구성원들의 감정노동을 표면행동(surface-acting) 과 내면행동(deep-acting)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Grandey, 2000),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감정노동이 조직구성원들의 태도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제시해 왔다. 예를 들어 표면행동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부정적 정서(Grandey, 2003; Scott & Barnes, 2011), 직무불만족(Diefendorff, Croyle, & Gosserand, 2005; Scott, Barnes, & Wagner, 2012), 정서적 소진 (Bakker & Heuven, 2006; Diefendorff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raham, R., "The Impa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Turnover", Journal of Psychology, 133(4), pp.441-455, 1999a. DOI: http://dx.doi.org/10.1080/00223989909599754 

  2. Abraham, R., "Negative Affectivity: Moderator or Confound in Emotional Dissonance-Outcome Relationships?", Journal of Psychology, 133(1), pp.61-72, 1999b. DOI: http://dx.doi.org/10.1080/00223989909599722 

  3. Ashforth, B. E., and Humphrey, R. H.,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pp.88-115, 1993. DOI: http://dx.doi.org/10.2307/258824 

  4. Bakker, A. B., and Heuven, E.,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in-Role Performance among Nurses and Police Offi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3(4), pp.423-440, 2006. DOI: http://dx.doi.org/10.1037/1072-5245.13.4.423 

  5. Baron, R. M., and Kenny, D. 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1, pp.1173-1182,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6. Baumeister, R. F., Bratslavsky, E., Finkenauer, C., and Vohs, K. D., "Bad Is Stronger Than Good",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4), pp.323-370, 2001. DOI: http://dx.doi.org/10.1037/1089-2680.5.4.323 

  7. Baumgardner, S. R., and Crothers, M. K., Positive Psychology, Upper Saddle River, NJ, US: Prentice Hall/Pearson Education, 2009. 

  8. Brotheridge, C. M., and Grandey, A. A.,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pp.1-17, 2002. DOI: http://dx.doi.org/10.1006/jvbe.2001.1815 

  9. Brotheridge, C. M., and Lee, R. 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 pp.365-379, 2003. DOI: http://dx.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10. Cote, S., "A Social Interaction Model of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on Work Strai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3), pp.509-530, 2005. DOI: http://dx.doi.org/10.5465/AMR.2005.17293692 

  11. Diefendorff, J. M., Croyle, M. H., and Gosserand, R. H.,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2), pp.339-357, 2005. DOI: http://dx.doi.org/10.1016/j.jvb.2004.02.001 

  12. Fisher, C. D., "Mood and Emotions While Working: Missing Pieces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2), pp.185-202, 2000.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9-1379(200003)21:2 3.0.CO;2-M 

  13.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3), pp.218, 2001.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56.3.218 

  14. Fredrickson, B. L., and Branigan, C.,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 Action Repertoires", Cognition & Emotion, 19(3), pp.313-332, 2005. DOI: http://dx.doi.org/10.1080/02699930441000238 

  15. Fredrickson, B. L., and Losada, M. F.,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60(7), pp.678-686, 2005.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60.7.678 

  16. Gable, S. L., Reis, H. T., and Elliot, A. J.,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in Everyda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8(6), pp.1135-149, 2000.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8.6.1135 

  17. Gosserand, R. H., and Diefendorff, J. M.,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The Moderating Role of Commit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pp.1256-1264, 2005.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0.6.1256 

  18. Grandey, A. 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 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 pp.95-110, 2000. DOI: http://dx.doi.org/10.1037/1076-8998.5.1.95 

  19. Grandey, A. A.,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1), pp.86-96, 2003. DOI: http://dx.doi.org/10.2307/30040678 

  20. Grandey, A. A., Fisk, G. M., and Steiner, D. D., "Must 'Service with a Smile' Be Stressful?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Control for American and French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5), pp.893-904, 2005.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0.5.893 

  21. Gray, J. A., The Psychology of Fear and Stress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2. Gross, J. J., "Antecedent-an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 Expression, and Physiology",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4(1), pp.224-237,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4.1.224 

  23. Gross, J. J.,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3), pp.281-291, 2002. DOI: http://dx.doi.org/10.1017/S0048577201393198 

  24. Groth, M., Hennig-Thurau, T., and Walsh, G., "Customer Reactions to Emotional Labor: The Roles of Employee Acting Strategies and Customer Detection Accurac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5), pp.958-974, 2009. DOI: http://dx.doi.org/10.5465/AMJ.2009.44634116 

  25. Hochschild, A. R.,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6. Podsakoff, P. M., MacKenzie, S. B., Lee, J.-Y., and Podsakoff, N. P.,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pp.879,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8.5.879 

  27. Schaufeli, W. B., and Bakker, A.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3), pp.293-315, 2004. DOI: http://dx.doi.org/10.1002/job.248 

  28. Scott, B. A., and Barnes, C. M., "A Multilevel Field Investigation of Emotional Labor, Affect, Work Withdrawal, and Gend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4(1), pp.116-136, 2011. DOI: http://dx.doi.org/10.5465/AMJ.2011.59215086 

  29. Scott, B. A., Barnes, C. M., and Wagner, D. T., "Chameleonic or Consistent? A Multilevel Investigation of Emotional Labor Variability and Self-Monitor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5(4), pp.905-926, 2012. DOI: http://dx.doi.org/10.5465/amj.2010.1050 

  30. Totterdell, P., and Holman, D., "Emotion Regulation in Customer Service Roles: Testing a Model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8, pp.55-73, 2003. DOI: http://dx.doi.org/10.1037/1076-8998.8.1.55 

  31. Van Katwyk, P. T., Fox, S., Spector, P. E., and Kelloway, E. K., "Using the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Scale (Jaws) to Investigate Affective Responses to Work Stressor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2), pp.219-230, 2000. DOI: http://dx.doi.org/10.1037/1076-8998.5.2.219 

  32. VanMaanen, J., and Kunda, G., Real Feelings: Emotional Express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Greenwich, CT: JAI, 1989. 

  33. Weiss, H. M., and Cropanzano, R., "Affective Events Theory: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Struc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ffective Experiences at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1-74,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