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룩종류를 달리한 청주 술덧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sh Quality of Cheongju Prepared Using Different Nuruk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8, 2014년, pp.5150 - 5158  

정명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강순아 (호서대학교 융합공학과) ,  정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곰팡이 균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다양한 누룩으로 담금한 술덧의 발효 중 품질특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한국형 청주 제조에 적용하기 위한 이화학적인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동결건조된 Aspergillus oryzae와 Aspergillus kawachii를 액체 방식으로 각각 배양 후 전통방식으로 제조된 누룩에 각각 또는 혼합 접종시켜 배양후 누룩을 제조하였고, 그 누룩을 이용하여 발효 중 술덧의 품질 변화를 전통방식으로만 성형된 누룩으로 제조된 술덧의 품질과 이화학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발효 술덧의 가용성 고형분, 알코올, 비중, 산도 등의 분석을 통해 A. oryzae와 A. kawachii를 각각 단독으로 배양한 누룩을 이용한 발효 술덧에서 발효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술덧의 향과 맛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퓨젤 오일과 에스터 성분 역시 A. oryzae와 A. kawachii를 각각 접종시켜 배양한 누룩으로 제조한 술덧에서 전통방식의 누룩 또는 A. oryzae와 A. kawachii를 혼합하여 배양한 누룩으로 제조한 술덧에서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전통 누룩만을 이용하여 제조된 술덧에서 발생되는 불완전 발효와 약한 풍미 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A. oryzae와 A. kawachii를 각각 접종시켜 배양시킨 누룩으로 술을 제조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shing prepared using different Nuruks (traditional Nuruk, Nuruk added Aspergillus oryzae, Nuruk added Aspergillus kawachii, and Nuruk added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kawachii), an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Korean Cheongju pr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곰팡이 균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다양한 누룩으로 담금한 술덧의 발효 중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한국형 청주 제조에 적용하여 술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전통 방식으로 제조된 누룩에 동결 건조된 A.
  • 또한 누룩원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쌀약주의 관능적특성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곡물원료를 이용하여 전통누룩의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만든 쌀약주 8종의 관능특성을 묘사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보고하였다[25]. 본 연구에서는 전통누룩의 단점을 보안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멸균하지 않은 밀기울을 이용하여 효소 생산뿐 아니라 좋은 향들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는 A. oryzae와 A. kawachii를 배양시킨 액체종국을 기존의 전통방식 누룩에 접종후 발효를 통해 술덧의 품질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한국형 청주제조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전통주의 형태는? 우리나라 전통주는 원료인 쌀의 전분을 누룩의 미생물과 그에 따른 효소 작용에 의하여 당화하고 알코올로 전환시키는 발효 과정을 거치는 생화학적 작용의 숙성 과정으로 만든 순수한 양조주이다[1-3]. 누룩 제조시 공기중의 미생물이 번식함으로 지역별로 누룩의 미생물이 다르고, 또한 원료가 달라서 주질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전통적인 누룩의 종류는? 또한 누룩의 종류에 따라 생육하는 미생물이나 이들이 생성하는 효소, 발효력 및 유기산 생성 등의 차이가 있어 최종 술의 맛과 풍미, 색도 등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9]. 우리나라 전통적인 누룩에는 Aspergillus oryzae, A. niger, A. kawachii, A. shirousamii, Saccharomyces cerevisiae, Rhizopus sp, Bacillus subtilis 및 Lactic acid bacteria 등의 수많은 미생물이 존재하며, 특히 Aspergilllus 속, Absidia 속, Rhizopus 속 곰팡이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볼 수 있다[10]. 1938년에 일본의 소주 제조 곰팡이인 A.
AOAK 시험구에서 높게 나타난 호박산은 어떤 맛을 내는가? 누룩종류별 술덧의 유기산성분 분석은 Table 3과 같다. 유기산성분은 술의 품질을 좌우하는데 중요한 요소 인데 특히 당이 발효할 때 효모가 생성하는 산인 호박산은 신맛, 짠맛, 쓴맛 등 여러 가지 맛을 내는 성분으로 술에 독특한 향미를 제공한다. 구연산, 젖산 및 초산은 AOAK 시험구가 타 시험구에서 보다는 다소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H. So,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the combined use of Aspergillus kawachii and Aspergillus oryzae", Korean J Food & Nutr, Vol. 4, No. 2. pp.115-124, 1991. 

  2. S. S. Kim, Food processing & preservation, p.363-380, Suhak-sa. Seoul. Korea, 1990. 

  3. C. J. Kim, J. H. Jang, Food microbiology. p.76-81, Suhak-sa. Seoul. Korea, 1993. 

  4. T. S. Yu, H. S. Kim, J. Hong, H. P. Ha, T. Y. Kim, I. W. Yoon,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Nuruk(Until 1945)", J. Korean Soc Food Nutr. Vol. 25, No. 1, pp.170-179, 1996. 

  5. T. S. Yu, J. Kim, H. S. Kim, J. S. Hyun, H. P. Ha, M. G. Park,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traditional Korean Nuruk(Since 19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27, No. 4, pp.789-799, 1998. 

  6. H. S. Kim, J. S. Hyun, J. Kim, H. P. Ha, T. S. Yu, "General character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nuruk". J. Inst. Nat. Sci. Keimyung University. Vol. 15. pp.235-242, 1996. 

  7. H. S. Kim, J. S. Hyun, J. Kim, H. P. Ha, T. S. Yu,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26, No. 5, pp.767-774, 1997. 

  8. H. S. Kim, J. S. Hyun, J. Kim, H. P. Ha, T. S. Yu, "Enzym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 26, No. 5, pp.456-464, 1998. 

  9. E. H. Han, T. S. Lee, B. S. Noh, D. S. Le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9, No. 3, pp.563-570, 1997. 

  10. C. J. Kim, K. C. Kim, D. Y. Kim, M. J. Oh, S. K. Lee, S. O. Lee, S. T. Chung, J. H. Chung. Fermentation technology. p.79-103, Sunjinmunwhasa, Seoul. Korea. 1990. 

  11. M. H. So.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traditional Nuruk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 Nutr. Vol. 12, No. 3, pp.219-225, 1999. 

  12. H. S. Kim, J. S. Hyun, J. Kim, H. P. Ha, T. S. Yu.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26, No. 5, pp.767-774, 1997. 

  13. G. Y. Jo, C. W. Le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from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26, No. 5, pp.759-766, 1997. 

  14. J. H. Lee, T. S. Yu.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nuruk", Korean J Biotechnol Bioeng. Vol. 15, No. 4, pp.359-365, 2000. 

  15. S. H. Lee, H, J. Jung, S. H. Yeo, H. S. Kim, T. S. Yu, "Characteristics of ${\alpha}$ -amylase of, a new species, Aspergillus coreanus NR 15-1", Korean J Biotechnol Bioeng. Vol. 19, No. 4, pp.301-307, 2004. 

  16. M. K. Lee, S. W. Lee, S. M. Bae. "The quality of Yakju brewed from many kind of nur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 1, No. 1, pp.99-111, 1991. 

  17. M. K. Lee, S. W. Lee, T. H. Yoon.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nuruk", J East Asian Son Dietary Life. Vol. 4, No. 1, pp.19-29, 1994. 

  18. C. S. Park, T. S. Le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4, No. 2, pp.296-302, 2002. 

  19. H. K. Jung, H. H. Park,, G. D. Lee, I. S. Lee, J. H. Hong.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8, No. 5, pp.659-667, 2006. 

  20. T. S. Lee, E. H. Han.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2, No. 3, pp.691-698, 2000. 

  21. T. S. Lee, J. Y. Choi.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7, No. 6, pp.944-950, 2005. 

  22. M. H. So. "Aptitudes for Takju brewing of wheat flour-Nuruks made with different mold species", Korean J. Food & Nutrition. Vol. 8, No. 1, pp.6-12, 1995. 

  23. T. S. Choi, S. T. Jung, J. Y. Kim, J. H. Choi, H. S. Choi, S. H. Yeo,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Nuruk and optimum condition of liquid starters for Aspergillus sp",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Vol. 39, No. 4, pp.357-363, 2011. 

  24. G. Y. Jo, C. W. Le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from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26, No. 5, pp.759-766, 1997. 

  25. S. J. Lee, B. H. Ahn.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2, No. 1, pp.119-123, 2010. 

  26.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Regulation of analysis in alcoholic beverage", p.1-68. 2008. 

  27. K. Wolfgang, Technologie Brauer und Malzer. p.306, VLB Berlin, 1994. 

  28. K. W. Bae, H. Y. Ryu, I. S. Kwan, C. S. Kwon, H. Y. Sohn, "Optimization of Thickness and Maturation Period of Andong Soju Nuruk for Fermentation of Andong Soju", Kor. J. Microbiol Biotechnol, Vol. 35, No. 3, pp.231-237, 2007. 

  29. H. S. Lee, C. S. Park, J. Y. Choi,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2. No. 1, pp.56-62, 2010. 

  30. S. M. Bae, S. Y. Jong, I. S. Jung, H. J. Ko, T. Y. Kim,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 13. No. 5. pp.439-446, 2003. 

  31. H. Y. In, T. S. Lee, D. S. lee, B. S. Noh, "Voli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7, No. 2, pp.235-240, 1995. 

  32. D. S. Lee, H. S. Park, K. Kim, T. S. Lee, B. S. No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Sojue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6, No. 5, pp.649-654, 1994. 

  33. S. I. Choi, S. A. Kang, C. Cheong, "Yeast Selection for Quality Optimization of Distilled Spiri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8, pp.3887-3896,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8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