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차 증편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ditional Train Scheduling Method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7 no.4 = no.83, 2014년, pp.313 - 319  

김영훈 (Policy-Technology Convergence Research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임석철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Ajou University)

초록

여객 증편열차 운영은 수송력 보강이나 관광열차 운행을 위해 증편된다. 화물열차의 경우는 철도화물수요를 위해 주로 증편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증편열차 스케줄 작성을 위해 추가 열차의 운행시각을 지정한 후에 운행가능성을 판단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러한 방법의 경우 추가열차의 증편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한국철도 네트워크는 운행밀도가 높고 여러 차종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화물열차의 경우 여객열차와의 경합이 발생할 때마다 지연이 증가되거나 운행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출발시각이 지정된 요청열차 스케줄과 시간범위 내에 운행 가능한 스케줄을 찾을 수 있는 열차 증편모형을 제시한다. 제시된 모형은 혼합정수 계획법으로 모델링하고 열 생성기법을 사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ditional train scheduling is often requir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ransporting passengers or freight. In most previous studies on scheduling additional trains, operation time of the added train is designated first; and then the train operation feasibility is examined. However, it is often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의 목적은 역에서의 경합 해소를 위한 추월 및 교차 역을 결정하는 문제이고 본 논문의 목적과 유사한 경우는 Cacchiani의 논문으로 기존 시각표의 열차 스케줄을 고정한 상태에서 화물열차를 추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열차 속도에 따른 차종별 증편방법과 시간범위내에 모든 슬롯의 운행가능성 있는 해를 제시하였다.
  • 그러나 열차 증편을 고려한 비주기 시각표 작성문제는 기존에 운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여객열차들의 정차 및 출발시각 변동을 금지한 상태에서 증편되는 열차의 스케줄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기존 시각표의 운행밀도와 차종별 운행패턴, 추가열차의 역간 운행시간 영향에 따라 증편 열차의 경합회피를 위한 운행지연이 발생하거나 스케줄을 추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열차 증편 문제를 시공간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혼합정수계획법 문제로 모형화하고 열 생성 기법으로 해를 구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열차 증편을 위해 시공간 네트워크로 문제를 모형화하고 열생성기법으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였다. 제안한 모형은 증편 열차의 계획 스케줄을 최대한 많이 생성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지며 여객열차 2개 차종과 화물열차의 증편 실험을 통해 시공간네트워크 생성과 최적화 프로그램 수행시간이 3분이내에 실행되어 계산시간상 빠른 시간내에 해를 도출함으로써 모형의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기존 시각표는 경부선 구간을 운영하는 실제 열차 스케줄을 사용하였으며 증편 열차종별로 역간운행시간도 기존 스케줄에서 역간 운행시간을 도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대피 가능 역들은 모든 역들이 대피가 가능하다고 가정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사용되는 제약조건은 출· 도착 역에서의 안전시격을 3분으로 하였으며 추월제약은 역에서만 추월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운영수익(operation profit)은 시·종착형태와 열차 종류별로 다르게 수익을 얻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차 증편계획 문제란 무엇인가 열차 증편계획 문제는 기 작성된 시각표에 추가로 운행하고자 하는 열차를 기존 열차와의 경합을 해소하면서 운행 가능한 시각을 결정하는 문제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열차시각표 작성문제는 주기적 열차운행을 위한 스케줄 생성을 목적으로 최적화나 휴리스틱 기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는 분야이다.
스케줄링 문제를 구분하시오 스케줄링 문제는 크게 주기적 시각표 작성 문제(Cyclic Train Timetable Problem)와 비주기 시각표 작성문제(Non-cyclic Train Timetabling Problem)로 구분된다. 주기적 시각표 작성문제의 경우 열차를 운행하기 이전의 운영계획 단계에서 문제를 고려하기 때문에 계획된 열차들이 출·도착 역과 경로가 이미 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시격을 고려하기 때문에 각 열차들의 출발시각 변동이 자유롭고 유동적이다.
스케줄링 문제 중 주기적 시간표 작성 문제의 특징은 무엇인가 스케줄링 문제는 크게 주기적 시각표 작성 문제(Cyclic Train Timetable Problem)와 비주기 시각표 작성문제(Non-cyclic Train Timetabling Problem)로 구분된다. 주기적 시각표 작성문제의 경우 열차를 운행하기 이전의 운영계획 단계에서 문제를 고려하기 때문에 계획된 열차들이 출·도착 역과 경로가 이미 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시격을 고려하기 때문에 각 열차들의 출발시각 변동이 자유롭고 유동적이다. 그러나 열차 증편을 고려한 비주기 시각표 작성문제는 기존에 운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여객열차들의 정차 및 출발시각 변동을 금지한 상태에서 증편되는 열차의 스케줄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기존 시각표의 운행밀도와 차종별 운행패턴, 추가열차의 역간 운행시간 영향에 따라 증편 열차의 경합회피를 위한 운행지연이 발생하거나 스케줄을 추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 Szpigel (1973) Optimal train scheduling on a single track railway, Proceedings of IFORS Conference on Operations Research, pp. 344-351. 

  2. D. Jovasovic, P.T. Harker (1991) Tactical scheduling of rail operations : The SCAN I system, Transportation Science, 25, pp. 46-64. 

  3. A. Higgins, E. Kozan, L. Ferreira (1997) Heuristic techniques for single line train scheduling, Journal of Heuristics, 3(1), pp. 43-62. 

  4. U. Brannlund, P.O. Lindberg, A. Nou, et al. (1998) Railway timetabling using lagrangian relaxation, Transportation Science, 32(4), pp. 358-369. 

  5. A. Caprara. M. Mischetti, P. Toth (2002) Modelling and solving the train timetabling problem, Operation Research, 50(5), pp. 851-861. 

  6. V. Cacchiani, A. Caprara, P. Toth (2010) Scheduling extra freight train on railway network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44(2), pp. 215-231. 

  7. Y.H. Kim, S.C. Rim (2014) Additional freight train schedule gener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6), pp. 3851-3857. 

  8. R. Burdett, E. Kozan (2009) Techniques for inserting additional train into existing timetabl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 Methodological, 43(8-9), pp. 821-836. 

  9. B.H. Park, S.H. Hong, C.S Kim (2012) An optimization model for railway slot allocation reflecting the operational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5(5), pp. 524-530. 

  10. B.H. Park, S.H. Hong (2013) A column-generation based approach to developing an optimized railway timetable using time-space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60-1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