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외 농축액 첨가에 따른 무증자 쌀막걸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riental melon Makgeolli using uncooked rice by oriental melon concentrat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4, 2014년, pp.536 - 543  

김옥미 (대경대학교 호텔조리학부) ,  박선일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조용준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무증자 쌀막걸리 제조과정 중 참외 농축액 함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당도는 참외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첨가구간에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산도는 발효 1일째 조금 증가했으며 발효 2일째부터는 0.77~0.85%로 참외 농축액 첨가량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pH는 참외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1일째에 감소한 뒤 농축액 함량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환원당은 1일째 급격히 감소한 뒤 2일째에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4일째에 참외 농축액 9%(v/w)첨가 쌀막걸리가 11.50%로 가장 높게 나타나 참외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알코올 성분 중 acetaldehyde는 참외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methanol은 참외 농축액 6%(v/w)첨가 쌀막걸리에서 199.08 ppm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은 참외 농축액을 6%(v/w)첨가한 쌀막걸리가 color, odor, taste 및 overall 면에서 각각 3.60, 3.60, 2.80 및 3.60으로 가장 높았으나 전반적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참외 농축액을 첨가한 막걸리의 제조는 가능하였으나 기호도 향상을 위한 감미료 등의 사용에 관한 연구가 요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riental melon concentrate according to its content in the production of Makgeolli using uncooked rice. The results show that when more oriental melon concentrate was added to the Makgeolli an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he sugar con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무증자 쌀막걸리 제조과정 중 참외 농축액 함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당도는 참외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첨가구간에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증자 쌀막걸리 제조과정 중 참외 농축액 함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 조사하여 참외 막걸리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A-DMeans within a row not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A-DMeans within a row not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a-dMeans within a column not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a-eMeans within a column not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4)A-DMeans within a row not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외의 꼭지 부분에 쓴맛을 내는 물질인 cucurbitacin의 특징은? 참외는 과채류 중에서 특히 당도가 높고 칼슘 및 인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A 및 C의 함량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며 참외의 포도당과 과당은 흡수가 빨라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1). 또한 꼭지 부분에 쓴맛을 내는 물질인 cucurbitacin은 항암성분으로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진해, 거담, 변비 및 황달 등에 처방하였으며 급성위장염, 중풍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현재 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및 일본 등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수박과 더불어 한국인이 선호하는 대표적 여름철 과채류이다(3-5) 그러나 참외의 경우 저온에서 생육 저해를 받는 고온성 작물로 저장이 어려우나 주로 6월 및 7월 여름철 집중 출하되어 초과공급에 의한 가격경쟁력 유지가 힘들며 총 생산량의 약 25%가량의 기형 및 이상과의 발생으로 경제적 손실이 크게 발생된다(6).
참외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참외(Cucumis melon L.)는 cucurbitaceae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중앙아시아의 고온건조한 지역이 원산지인 멜론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외는 과채류 중에서 특히 당도가 높고 칼슘 및 인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A 및 C의 함량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며 참외의 포도당과 과당은 흡수가 빨라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1).
막걸리는 어떤 음료인가? 우리의 전통 민족주 중 하나인 막걸리는 예로부터 자가 생산하여 널리 이용하여 온 일종의 양조주로서 당화와 발효의 공정을 병행하여 만들어진 알코올성 음료이다. 막걸리는 과실주처럼 원료에 함유된 당분을 그대로 발효시키는 단발효주가 아니라 곡류 속 전분질을 당화 효소로 당화시켜 발효하는 복발효주이며(10) 일반 주류와는 달리 상당량의 단백질과 당질이 들어 있으며 비타민 및 생리활성물질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o YJ, Jang SY, Kim OM, Park CW, Jeong YJ (2010) Effects of sugars addition in alcohol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 Korean J Soc Food Sci Nutr, 39, 1359-1365 

  2. Shin YS, Lee JE, Yeon IK, Do HW, Cheung JD, Kang CK, Choi SY, Youn SJ, Cho JG, Kwoen DJ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Korean J Soc Appl Biol Chem, 51, 194-199 

  3. Park SJ, Lee JH, Nam M, Park CY, Kim JS, Lee JH, Jun ES, Lee JS, Choi HS, Kim JS, Moon JS, Kim HG, Lee SH (2011) Virus disease incidences and transmission ecology of oriental melons in seongju area. Res Plant Dis, 17, 342-350 

  4. Hwang YS, Lee JC (1993)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normal fermentation in melon fruit. Korean J Soc Hort Sci, 34, 339-343 

  5. Kim KS, Lee HJ, Kim SM (1999)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22-328 

  6. Park JD, Hong SI, Park HW, Kim DM (2000) Extending shelf-life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by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81-490 

  7. Shin DH, Koo YJ, Kim CO, Min BY, Suh KB (1978)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watermelon and cantaloupe melon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215-223 

  8. Cha SK, Chun HI, Hong SS, Kim WJ, Koo YJ (1993) Manufacture of fermented cantaloupe melon with lactic starter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386-390 

  9. Kim JG, Jeong ST, Jang HS, Kim YB (1997) Quality properties of dried melon with different pretreatmen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4, 147-153 

  10. Rhee SJ, Lee CY, Kim KK, Lee CH (2003) Comparision of the traditional (Samhaeju) and industrial (Chongju) rice wine brewing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42-247 

  11. Lee J (1982) Studies on the qualities of Takju with various Koji strains. MS Thesis, Seoul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10-30 

  12. Lee SB, Chang WG, Im BJ, Kim DC (1969) Studies on chemical components of fermented mash in the brewing of Maggerley (Korean wine). Korean J Microbiol, 7, 153-158 

  13. Park KH, Oh BH, Hong SS, Lee KH (1984) Production of alcohol from starch without cooking. Korean J Agric Chem Soc, 27, 52-54 

  14. Ueda S, Zenin CT, Monteiro DA, Park YK (1982) Ethanol production from raw cassava starch. Biotechnol Bioeng, 23, 291-299 

  15. Park CW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kgeolli prepared with mashing types and different yeasts. M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Daegu, Korea, p 5-10 

  16.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Jeong Y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kgeolli prepared by mashing ty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07-215 

  17.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18. Lee HK (2010) Effects of yeast arginase (CAR1) gene disruption on the quality of Korea traditional rice wine. M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Daegu, Korea, p 4-8 

  19. Yang HS, Eun JB (2011)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Makgeoll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is SIEB ex TANAKA)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38-445 

  20. Kim IH, Park WS, Koo YJ (1996)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prepared by different brewing methods and their quality changes after aging. Korean J Dietary Culture, 11, 497-506 

  21. Kim MJ, Kim BH, Han JK, Lee SY, Kim KS (2011) Analysis of quality properties and fermentative microbial profiles of Takju and Yakju brewed with or without steaming process. J Fd Hyg Safety, 26, 64-69 

  22. Lee HN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vaccinium macrocarpon ait. M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p 29-32 

  23.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1-307 

  24. Lee SM,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 71-79 

  25. Song JC, Park HJ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47-854 

  26. Park JH, Bae SM, Cheol Yook, Kim JS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09-615 

  27. Jang SY, Woo SM, Jo YJ, Kim OM,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wine on fermentation condition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9, 443-448 

  28. Eom JS (2013) The effect of cellulose hydrolysis and pectin hydrolysis process on red wine fermentation (MBA). M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p 19-21 

  29. Food Additive Code (2013) Korea Food Industry Associate, Seoul, Korea 

  30. Kim BH, Eun JH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