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발효조건을 달리한 현미 막걸리의 술덧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서로 다른 발효제와 발효온도에 따른 알코올의 차이는 $30^{\circ}C$ 발효가 $20^{\circ}C$보다 알코올 도수가 평균 2%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화력 차이는 발효 초기부터 $20^{\circ}C$보다 $30^{\circ}C$ 발효액의 당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알코올 도수에도 영향을 미치며, pH는 발효 4일까지는 서서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 변화의 폭은 크지 않았다. 적정산도는 발효가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circ}C$ AK의 적정산도가 가장 높게(0.57%) 나타났고, $30^{\circ}C$ 발효 술덧에서는 0.66%로 산패 가능성은 없었다. 색도 중 L 값과 a 값은 발효초기의 모든 술덧에 비해 발효 종료시점에 조금 낮아지며, b 값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상승하였다. 발효 술덧의 유기산은 총 9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Lactic acid는 오히려 $20^{\circ}C$ 발효술덧에서 더 많이 검출된 것으로 보아 발효온도에 따라 생성된 유기산이 차이가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제 종류 및 발효온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고, 유리아미노산은 $20^{\circ}C$보다 $30^{\circ}C$ 발효 술덧에 많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30^{\circ}C$에서 제조한 현미 막걸리가 더욱 우수한 품질을 가지며, 누룩 종류 및 발효온도에 따라서 현미 막걸리의 주질이 결정된다. 향후, 농가형 흑초 제조에 적합한 현미 막걸리의 술덧 제조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preparing brewed brown rice makgeolli, a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under diverse conditions. For this purpos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brewed at different temperatures, utilizing a variety of nuruks, the traditional Kore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양조식초의 발효법과 이미 · 이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밀누룩으로 현미 막걸리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특성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향후, 이를 활용한 농가형 양조식초 제조의 품질지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발효조건을 달리한 현미 막걸리의 술덧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서로 다른 발효제와 발효온도에 따른 알코올의 차이는 30°C 발효가 20°C보다 알코올 도수가 평균 2%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b) L: Lightness; a: Redness; b: Yellownes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살균 막걸리와 비교한 생 막걸리의 특징은? 이 술은 일반 주류와는 달리 당질, 비타민 B군 및 단백질 등이 풍부하고, 다양한 아미노산(valine, leucine, serine, proline, glycine)들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약주와 과실주보다도 영양가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생 막걸리는 효모와 유산균이 살아있어 살균 막걸리보다 양조적성과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4, 16].
막걸리는 일반 주류와 비교하여 영양적으로 어떤 특징이 있는가? 우리나라 술을 대표하는 막걸리는 주로 멥쌀을 원료로 누룩을 이용하여 빚는 발효 곡주이다[18]. 이 술은 일반 주류와는 달리 당질, 비타민 B군 및 단백질 등이 풍부하고, 다양한 아미노산(valine, leucine, serine, proline, glycine)들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약주와 과실주보다도 영양가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생 막걸리는 효모와 유산균이 살아있어 살균 막걸리보다 양조적성과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4, 16].
막걸리의 주원료는? 막걸리의 주원료는 멥쌀, 찹쌀, 소맥분 등을 사용하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옥수수, 고구마, 보리, 좁쌀 등 다양한 잡곡류로 차별화된 막걸리를 제조하고 있다[19]. 주원료인 쌀은 도정 정도에 따라 현미와 백미로 구분되며, 현미는 백미에 비해 영양성분(식이섬유, 칼슘, 철분 등의 무기질 및 thiamine과 riboflavin 등의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그 활용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6, 9,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S. M., Y. H. Lee, M. K. Lee, S. A. Kang, and C. Cheong. 2008. Effect of traditional nuruk ration and yeast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yakju.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41-48. 

  2. Cho, K. S., E. Y. Jong, and M. K. Kim. 2012.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chisandrachinensisYakju. J. Appl. Biol. Chem. 55: 163-167. 

  3. Han, E. H., T. S. Lee, B. S. Noh, and D. S. Lee.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makgeolli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Technol. 29: 555-562. 

  4. Han, E. H., T. S. Lee, B. S. Noh, and D. S. Lee.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makgeolli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5. Jin, T. Y., H. J. Chung, and J. B. Eun. 2006.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14-418. 

  6. Jo, D. H., H. J. Chung, H. Y. Cho, and S. T. Lim. 2011. Health function and utilization products of germinated brown rice. Food. Sci. Ind. 44: 76-86. 

  7. Kim, H. R., S. J. Jo, S. J. Lee, and B. H. Ahn.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51-557. 

  8. Kim, M. J., B. H. Kim, J. K. Han, S. Y. Lee, and K. S. Kim. 2011. Analysis of quality properties and fermentative microbial profiles of makgeolli and yakju brewed with or without steaming process. J. FdHyg. Safety 26: 64-69. 

  9. Ko, M. R., H. J. Choi, D. K. Han, S. S. Yoo, H. S. Kim, H. S. Choi, S. W. Choi, N. Y. Hur, C. N. Kim, B. Y. Kim, and M. Y. Baik. 2011.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brown and black rice. Food. Eng. Prog. 15: 195-202. 

  10. Lee, H. S., C. S. Park, and J. Y. Choi.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makgeolli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6-62. 

  11. Lee, O. S., Y. J. Jeong, Y. D. Ha, K. E. Kim, J. S. Shin, and H. Kwon. 2001.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with brown rice using raw starch-digesting enzyme. Korean J. Post. Sci. Technol. 8: 412-418. 

  12. Lee, S. J. and B. H. Ahn. 2010.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19-123. 

  13. Lee, S. W., J. H. Kwon, S. R. Yoon, S. M. Woo, S. Y. Jang, S. H. Yeo, J. H. Choi, and Y. H. Jeong. 2010. Qualityh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by different yeasts and fermenta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Nutr. 39: 1366-1372. 

  14. Min, Y. K., M. K. Lee, and H. S. Jeong.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rom different additional level of jujube fruit. J. Korean Agric. Chem. Soc. 40: 433-437. 

  15. Oh, Y. A., S. D. Kim, and K. H. Kim. 1997. Changers of sugars, organic acid and amino acids content during fermentation of pine needle added Kimchi. J. Food. Sci. Technol. Cuth. 9: 45-50. 

  16. Park, C. W., S. Y. Jang, E. J. Park, S. H. Yeo, O. M. Kim, and Y. J. Jeong.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884-890. 

  17. Shin, J. S., O. S. Lee, K. E. Kim, and Y. J. Jeong. 2003.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of brown rice using raw starch diges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75-380. 

  18. Son, H. S., B. D. Park, B. K. Ko, and C. H. Lee.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produced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53-457. 

  19. Song, J. C. and H. J. Park. 2003. Makgeolli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47-854. 

  20. Woo, K. S., J. S. Lee, J. Y. Ko, S. B. Song, B. G. Oh, J. R. Kang, M. H. Nam, I. S. Ryu, and M. C. Seo.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fermented from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 Beauvios) and nuruk at different addition 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298-303. 

  21. Woo, S. M., T. Y. Kim, S. H. Yeo, S. B. Kim, J. S. Kim, M. H. Kim, and Y. J. Jeong.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broth and by-product of brown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Preserv. 14: 557-563. 

  22. Woo, S. M., J .S. Shin, J. H. Seong, S. H. Yeo, J. H. Choi, T. Y. Kim, and Y. J. Jeong.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1-3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