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교육효과분석
An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and Education Effect in School-Based Oral Health Clinic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4 no.2, 2014년, pp.248 - 255  

양진영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구강보건실을 운영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교육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4월 11일부터 4월 30일까지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중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3개교를 선정하여 4, 5, 6학년 재학생 326명의 자료를 SPSS ver. 12.0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학생의 구강보건지식 평균 점수를 성별로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 없이 나타났다. 학년별 비교에서는 4학년($6.60{\pm}1.52$), 5학년($6.89{\pm}1.43$), 6학년($7.49{\pm}1.19$) 순으로 상급학년이 될수록 구강건강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나 학년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학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의 차이를 문항별로 살펴본 결과 적절한 칫솔질 시간(p=0.011), 치주질환 증상(p<0.001), 치주질환 예방법(p=0.020), 그리고 올바른 칫솔질 방법(p<0.001)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구강보건실에서 받은 처치에서 성별에 따라 치아우식병(p=0.015)과 치은염(p=0.044)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칫솔질 방법(회전법)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학년에 따른 차이는 치아우식병에서 4학년이 38.8%, 5학년이 55.1%, 6학년이 6.1%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p=0.004). 학교구강보건실에서 교육 후 칫솔질 방법 변화는 성별(p=0.022)과 학년별(p=0.001)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의 71.1%가 칫솔질 교육 후에도 태도변화 없이 자유롭게 칫솔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의 28.9%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4학년 43.9%, 5학년 37.2%, 6학년 18.9%의 학생이 칫솔질 교육 후 회전법으로 칫솔질을 하는 것으로 응답하여 저학년일수록 교육 후 실천하는 태도변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년별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칫솔질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학교구강보건사업의 다양한 프로그램 중 발치, 치아 홈 메우기, 불소도포 등은 전문가가 직접시술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바른 칫솔질 교육, 구강건강지식 교육은 실시 후 초등학생의 이해 정도 및 실천 정도에 따라 교육의 효과에 차이가 크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년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red, perceived, and practiced oral health knowledge provided by an elementary school-based oral health clinic (SBOHC). It is respectively investigated by gender and year of school. The paper will be relevant...

주제어

참고문헌 (20)

  1.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Oral health program guidebook.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46-190, 2012. 

  2. Kwon HK, Kim BI, Lee YH, et al.: Identification of caries risk factors in primary school children in korean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J Korean Acad Dent Health 2: 1-2, 1997. 

  3.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6-708, 2011. 

  4. Kim JB: Public oral health. 1st ed. Komoonsa, Seoul, pp. 14-15, 1990. 

  5. Kim JY: Request analysis research about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administration estimatio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00. 

  6. Kim EK, Moon HS, Jung JY, et al.: A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of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Acad Den Hyg Educ 1: 39-51, 2001. 

  7. Lee JH, Kim JB, Bae KH, et al.: Survey on oral health cognition level and attitude of benefited school children by the operating period of incremental school oral health program. J Korean Acad Dent Health 32: 115-126, 2008. 

  8.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national oral health state surve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8, 2011. 

  9. Jeon HJ, Song KB, Lee SK: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and management capability of oral health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School Health 12: 295-303, 1999. 

  10. Lee ST: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al development.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Seoul, 1992. 

  11. Kim JH: School education. Soomoonsa, Seoul, p.27, 1994. 

  12. Min HH, Min SH: Effects on the school dental clinic operation for children's oral health. J Korean Soc Dent Hyg 10: 495-502, 2010. 

  13. Han JH, Hwang JM: Comparison of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students in schools with and without dental clinic in the city of Gwacheon. J Dent Hyg Sci 8: 28-33, 2008. 

  14. Kang SH, Kim MS, Lee SM, et al.: Effectiveness evaluation of an incremental oral health program by school dental clinic. J Korean Acad Dent Health 30: 231-242, 2006. 

  15. Song KB, Park HS, Park JY: The Effect of fluoride mouthrinsing program on dental health of school children. J Korean Acad Dent Health 16: 95-112, 1992. 

  16. Choi YK, Song EJ, Oh SH, et al.: Evaluation of comprehensive oral health programs in the school-based oral health clinic at Dong-gu, Daejeon, Korea. J Korean Acad Dent Health 32: 386-395, 2008. 

  17. Ahn YS, Jang JH, Lee YS: The effect of an oral health program by B school dental clinic in Anyang city. J Dent Hyg Sci 8: 345-380, 2008. 

  18.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national oral health state survey-dept analysi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61-396, 2011. 

  19. Harris NO, Horowitz AM: Primary preventive dentistry. 5th ed. Appleton & Lange, Connecticut, pp.482-483, 1999. 

  20. Kim JS: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center for school and oral health state of the pupils. J Kor Soc Hyg Sci 15: 71-7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