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절에 따른 길거리 제조 식품의 미생물 오염 특성
Microbial Quality of Street Foods Sold by Season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4, 2014년, pp.481 - 487  

서영호 (원광보건대학교 외식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도시지역(서울, 대전, 부산, 광주)에서 판매되는 길거리 식품(김밥, 어묵, 순대)에 대한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하여, 이들 제품에 대한 위생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김밥의 총호기성균은 5.1~9.9 log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여름철에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호냉성균은 총호기성균과 유사한 패턴으로 검출되었으며, 여름철에 수거된 순대 7건에서 6.0~7.9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Total coliform은 53.6%의 검출률을 나타내었으며, 김밥의 70.8%에서 4.0 log CFU/g 이상 검출되었다. E. coli는 김밥과 순대에서 15건이 검출되었으며, 어묵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중 S. aureus가 28건(7.8%)이 검출되었으며, C. perfringens는 12건(3.3%)이 검출되었다. 특히 김밥에서 S. aureus, C. perfringens가 각각 24건, 10건에서 검출되어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계절별로 보면 겨울에 비해 봄, 여름의 검출률이 높았으며, 지역별로 보면 부산지역에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street foods(kimbab, fish cake, Korean sausage) by microbiological analysis. A collection of 360 samples of street foods was obtained seasonally in four major cities(Seoul, Daejeon, Busan, Gwangju) in Korea. Aerobic mesophilic counts ranged betw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도시지역(서울, 대전, 부산, 광주)에서 판매되는 길거리 식품(김밥, 어묵, 순대)에 대한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하여, 이들 제품에 대한 위생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김밥의 총호기성균은 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도시(서울, 대전, 부산, 광주) 인구 밀집 지역에서 판매되는 있는 길거리 식품을 계절별로 수거하여 위생 지표 세균과 식중독균의 분포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식중독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고, 우리나라 길거리 식품 판매업소의 위생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근거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길거리 식품이란? 길거리 식품(street vended foods 또는 street foods)이란 노상이나 기타 공공장소에서 노점 상인에 의하여 만들어져 판매하는 식품이나 음료로서, 즉석에서 섭취되거나 더 이상의 가공처리 없이 일정시간 후에 섭취되는 것을 말한다(WHO, 1996). 길거리 식품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섭취 가능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때문에 계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길거리 식품의 소비가 증가하는 이유는? 길거리 식품(street vended foods 또는 street foods)이란 노상이나 기타 공공장소에서 노점 상인에 의하여 만들어져 판매하는 식품이나 음료로서, 즉석에서 섭취되거나 더 이상의 가공처리 없이 일정시간 후에 섭취되는 것을 말한다(WHO, 1996). 길거리 식품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섭취 가능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때문에 계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식생활 패턴은 칼로리 및 영양 위주의 식품소비에서 건강과 안전성, 편이성을 중시하는 식품소비로 변화하고 있는데, 특히 편이성을 중시하는 식품 소비 형태로의 변화가 두드러진다(Choi MS 2002).
식품의 안전 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는 학교 및 역 주변, 재래시장의 포장마차에서 판매되는 길거리식품이, 식중독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길거리 식품과 유사한 즉석 섭취 식품에 대해서 식품공전 상에 기준 및 규격을 따로 두어 별도로 관리하고 있으며, 불량식품에 대해서는 긴급 회수 제도 등의 각종 지침이나 법령을 통해서 부정, 불량식품을 다각도로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즉석 섭취 식품과는 달리 길거리 식품은 이를 규제하는 식품 안전 법규가 없어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길거리 식품은 식품 원재료 관리, 식품 조리 및 보관 등에 있어 취약하며, 사후관리도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언제든지 식중독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식품의 안전 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는 학교 및 역 주변, 재래시장의 포장마차에서 판매하는 김밥, 떡볶이, 순대 등 길거리 식품들에 대한 집중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MS (2002) Survey on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minimally processed fresh fruits and vegetables by urban women.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Gyeonggi. pp 5-12. 

  2. Frazier WC, Westhoff DC (1988) Food Microbiology 4th ed., McGraw-Hill Book, New York. p 17-22. 

  3. Garg N, Churey JJ, Sittstoesser DF (1990) Effect of conditions on the microflora of fresh-cut vegetables. J Food Prot 53: 701-703. 

  4. Im MN, Lee SJ, Lee KG (2007)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ing for Staphylococcus aureus in sushi. Food Engineering Progress 11: 77-83. 

  5. KFDA(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Korean Food Standard Code, Korea. 

  6. Kim HK, Lee HT, Kim JH, Lee SS (2008a) Analysis of micro- biological contamination in ready-to-eat foods. J Fd Hyg Safety 23: 285-290. 

  7. Kim MG, Oh MH, Lee GY, Hwang IG, Kwan HS, Kang YS, Koh YH, Jun HK, Kwon KS (2008b) Analysis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in various foods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7: 483-488. 

  8. Kim MJ, Oh SY, Yoon KS (2007) A study on students' intake of street foods and their perception toward hygiene status of street foods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Korean J Food Culture 22: 342-352. 

  9. Mukherjee A, Spec D, Jones AT, Buesing KM, Diez-Gonzalez F (2006) Longitudinal microbiological survey of fresh produce grown by farmers in the upper Midwest. J Food Prot 69: 1928-1936. 

  10. Nguyen-The C, Carlin F (1994) The microbiology of minimally processed fresh fruits and vegetables. Crit Rev Food Sci 34: 371-401. 

  11. Novak JS, Juneja VK (2002) Clostridium perfringens : Hazards in new generation foods. Innov Food Sci Emerg 3: 127-132. 

  12. Park SY, Choi JW, Yeon JH, Lee MJ, Oh DH, Hong CH, Baek GJ, Woo GJ, Park JS, Ha SD (2005) Assessment of contamination level of food-borne pathogens in the main ingredients of Kimbab during the prepar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22-128. 

  13. Ragaert P, Devlieghere F, Debevere J (2007) Role of microbiological and physiological spoilage mechanisms during storag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Postharvest Biol Tec 44: 185-194. 

  14. Seo YH, Jang JH, Moon KD (2010) Microbial evaluation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nd sprouts produced in Seoul, Korea. Food Sci Biotechnol 19: 1283-1288. 

  15. Ser JH, Lee AR, Kim MN (2000) Bacteriological quality of foods on sale at resting places of the highways in Korea. J FD Hyg Safety 15: 61-67. 

  16. Solberg M, Bucklew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 Essential Safety Requirement for Street-vended Foods. pp 4-29. 

  18. Yoon SK, Kang YS, Sohn MG, Kim CM, Park JY (2007) Prevalence of enterotoxigenic Staphylococcus aureus in retail ready-to-eat Korean Kimbab ro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621-62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