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생방 방호시설의 행동 절차 분석을 통한 진입 소요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Chemical/Biological/Radiological Protective Facility Entering Time Estimation Simulation with Procedur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5, 2014년, pp.40 - 48  

박선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수영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화생방 공격에 대한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화생방 방호시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화생방전 발생 시 화생방 방호시설 외부에 있는 작전인원은 화생방 방호시설 내 오염통제구역 및 무해구역에서 제독과정을 거쳐 방호시설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부족한 설비 등으로 인해 특정 절차 및 구역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할 경우 작전인원은 제시간에 방호시설 내로 진입 할 수 없게 되며, 이는 전시 작전 수행의 효율성 저하뿐만 아니라 큰 인명피해로도 이어지게 된다. 현재의 화생방 방호시설 설계기준은 공조시스템 등 특정 설비에 국한되어 있으며, 실제 화생방전 발생 시 실제 진입 소요시간을 고려한 설계기준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생방 방호시설 진입 소요시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여 화생방 방호시설 진입 소요시간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오염통제구역 및 무해구역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절차를 세분화하고, 각 행동절차에 소요되는 실제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다. 또한 진입 소요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하여 이들의 조절을 통해 대안을 작성하고 각 대안별 진입 소요시간 및 전체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모델은 향후 화생방 방호시설 진입 시뮬레이터의 모듈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방호시설 설계 및 운용자의 의사결정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CBR(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attack increases, the importance of CBR protective facilities is being emphasized. When CBR warfare emerges, a task force team, who exist outside of CBR protective facility, should enter the CBR protective facility through neutralizing process in CCA(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생방 방호시설의 전시 작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화생방 방호시설 진입 소요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오염통제구역 및 무해구역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절차를 세분화하고 각 행동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화생방 방호시설 진입 소요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에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기 시공된 화생방 방호시설의 진입소요시간을 예측하고 예상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 이에 따른 대비책을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장비 및 설비, 개인의 차이 등에서 발생하는 실제 시간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일괄적인 값을 적용 하였기 때문에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소요시간과의 차이를 반영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화생방 방호시설 안에서 이루어지는 오염 제독 절차 및 시간을 분석하여 화생방 방호시설의 진입 소요시간을 예측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화생방 방호시설 진입 과정 중 발생 가능한 병목구역을 사전에 예측하고, 각종 대안에 따른 방호시설 진입 소요시간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설계자 및 관련분야 종사자들의 효율적인 방호시설 설계 및 작전 운용의 기초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화생방전 시 외부에 있는 군 작전 인원의 방호시설 진입과정에서 발생하는 병목현상의 원인을 찾아내고 이에 따른 대안 제시 및 개선 효과 분석을 통해 화생방 방호시설의 작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경우 화생방 방호시설로 진입하는 인원은 군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인간의 다양한 행태와 의사결정·감정을 배재한 채 충분한 훈련을 통해 해당 정보 및 절차를 명확히 숙지한 상태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의 화생방 방호시설 설계기준은 무엇에 국한되어 있는가? 이 과정에서 부족한 설비 등으로 인해 특정 절차 및 구역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할 경우 작전인원은 제시간에 방호시설 내로 진입 할 수 없게 되며, 이는 전시 작전 수행의 효율성 저하뿐만 아니라 큰 인명피해로도 이어지게 된다. 현재의 화생방 방호시설 설계기준은 공조시스템 등 특정 설비에 국한되어 있으며, 실제 화생방전 발생 시 실제 진입 소요시간을 고려한 설계기준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생방 방호시설 진입 소요시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여 화생방 방호시설 진입 소요시간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최근 화생방 공격에 대한 방호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본의 옴진리교 독가스 테러, 미국의 탄저균 테러부터 가장 최근의 시리아 독가스 살상에 이르기까지 화생방 무기는 적은 양으로도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화생방 공격에 대한 방호는 매우 중요하다(Jeong 2010). 화생방 방호시설은 화생방전 발생 시 개인 보호 장구를 착용하지 않고도 임무를 수행 할 수 있는 보호공간을 의미하며, 최근 현대전의 양상이 다양해지고 화생방 무기의 공격 위험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Kim 2011).
화생방 방호시설은 어떠한 공간을 의미하는가? 일본의 옴진리교 독가스 테러, 미국의 탄저균 테러부터 가장 최근의 시리아 독가스 살상에 이르기까지 화생방 무기는 적은 양으로도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화생방 공격에 대한 방호는 매우 중요하다(Jeong 2010). 화생방 방호시설은 화생방전 발생 시 개인 보호 장구를 착용하지 않고도 임무를 수행 할 수 있는 보호공간을 의미하며, 최근 현대전의 양상이 다양해지고 화생방 무기의 공격 위험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nks, J., Carson, J. S., Nelson, B. L. and Nicol, D. M. (2000). Discrete-event System Simulation, 3rd Ed, McGraw-hill, p. 12. 

  2. Benjamin P. T., and Lawrence C. B. (2008). "Survey of Bioterrorism Risk in Buildings", Journa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14(1), pp. 7-17. 

  3. Jeong, Y. S. (2010). "A Study on Problems with the ROK's Bioterrorism Response System and Ways to Improve it", Korea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22, pp. 113-144. 

  4. Kim, K. M., Seo, H. B., Hwang, H. J., and Kim, K. J. (2007). "Application of Discrete Event Simulation on Tunnel Muck Hauling Operation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8(1), pp. 141-149. 

  5. Kim, Y. H. (2011). "A Study on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shelter facilities operations in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warfare", Master thesis, University of Yonsei. 

  6.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2). National Defense.Military Facility Design Criteria -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ve Facility Design Bo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9). The Criteria and Practical Use of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ve Facility. 

  8.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Standard Model of Emergency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ve Facility for Private Citizen. 

  9.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Manual of Civil Defense Equipment of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Warfare. 

  10. Park, D. W. (2009). "The threat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attack",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KACEM, 1(1), pp. 389-400. 

  11. Sim, W. S., and Hwang, T. Y. (2003).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System for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ve Facility",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16(4), pp. 49-60. 

  12. U.S. Department of Defense (2008). Security Engineering: Procedures for Designing Airborne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on for Buildings, U.S. 

  13. Victor M. N., William J. G., and Dulcy M. A. (2009). "Methodology to Assess Building Designs for Protection against Internal Chemical and Biological Threat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23(1), pp. 14-21. 

  14. Wladyslaw K., William B., and Amy M. (2003). "Modeling Immune Building Systems for Bioterrorism Defense", Journa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9(2), pp. 86-96. 

  15. Yang, K. H., Lee, H. S., Park, M. S., Jeong, M. H., and Hwang, S. J. (2013). "A Study of the Tower Crane Hoisting Time Estimation Simulation Model with Climate Element for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2), pp. 96-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